1200-758783364_0w1qprHM_55480ab6aae70bf7

 

 

여성 경영진 중 10분의 1에 불과

전체 이민자 여성보다도 적은 수

 

연방통계청이 18일 발표한 전국 직장의 이사와 임원 다양성 관련 통계자료에서 유색인종 여성 이민자가 이사나 임원의 수가 백인계 여성 이민자의 절반에 불과했다.

 

통계에 따르면, 전체 이사와 임원을 포함한 경영진 중 여성은 5분의 1에 해당했다. 이들 여성 경영진 중 이민자는 또 5분의 1이었다. 그런데 경영진에 속한 여성 중 유색인종 여성은 10분의 1에 불과했다.

 

2016년을 기초로 한 이 데이터에서 유색인종 여성 경영진 비율이 적당한 지 알아보기 위해 2016년 인구센서스에 대입해 보면, 우선 전체 여성 대비 유색인종 여성의 인구는 22.6%, 즉 5분의 1이다. 따라서 같은 여성이어도 유색인종일 경우 경영진이 되기 더 힘들다는 의미다.

 

유색인종이 이민자 비율이 높아서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전체 인구 5명 중 1명이 외국 출생자라는 점을 감안할 경우 이민자 여성이 전체 경영진 여성의 5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여성 내에서는 정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셈이다. 하지만 유색인종 여성이 모두 이민자가 아닌데도 10분의 1이 됐다는 얘기는 오히려 이민을 온 유색인종 여성이 더 10분의 1에도 못미친다는 계산이 나온다.

 

또 하나의 다양성에서의 특이한 점은 유색인종 여성 경영진 중 임원이자 이사를 동시에 맞는 비율은 34%로 백인계 여성의 48%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유색인종 남성의 52%나 백인계 남성 62%에 비해 적은 비율이다. 즉 유색인종 여성들은 경영진이 되도 임원만이 될 가능성이 제일 높았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35 캐나다 캘거리 눈 폭탄 이후 40중 충돌 사고 발생 CN드림 18.02.21.
4434 캐나다 B.C와인 수입금지 조치에 비즈니스 업계 우려 표명 CN드림 18.02.21.
4433 캐나다 고급 인력 부족한 BC, 빈 자리 장기간 공석 밴쿠버중앙일.. 18.02.22.
4432 캐나다 작년 한인 방문자 29만4000명 밴쿠버중앙일.. 18.02.22.
4431 캐나다 주민 1만명 항의에 '공원 주차비 축소' 밴쿠버중앙일.. 18.02.22.
4430 캐나다 건강보험료 내년말이면 끝 밴쿠버중앙일.. 18.02.22.
4429 캐나다 연방 보수당, 한인실업인 목소리 경청 밴쿠버중앙일.. 18.02.22.
4428 캐나다 캐나다 거주 한인은 과연 몇 명일까?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7 캐나다 자녀 둔 포스트세컨더리 학생 보조금 확대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6 캐나다 이번 추위 언제까지 가나?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5 캐나다 밴쿠버에서 피아노 배웠다면 이 얼굴 주목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4 캐나다 NHL선수 빠져도 준결승 진출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3 캐나다 독립 채비 갖춘 하이틴 증가 밴쿠버중앙일.. 18.02.24.
4422 캐나다 작년 BC 찾은 한인 11만 2127명 밴쿠버중앙일.. 18.02.24.
4421 캐나다 BC-알버타 갈등에 퀘벡은 누구 편? 밴쿠버중앙일.. 18.02.24.
4420 캐나다 한인 젊은이 교통사고 사망 밴쿠버중앙일.. 18.02.24.
4419 캐나다 밴쿠버 한국 어린이 세계 로봇 대회 참가 밴쿠버중앙일.. 18.02.24.
4418 캐나다 "한국과 다른 교통법 꼭 숙지해야" 밴쿠버중앙일.. 18.02.24.
4417 캐나다 트랜스마운틴 사태, 정치적 사활 걸린 싸움 CN드림 18.02.27.
4416 캐나다 앨버타, 마리화나 판매점 250개로 시작한다 CN드림 1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