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a8NFuYg9_5fdeb9340594e014

중부 오카나간 지역 다시 실내 마스크 의무 조치

확진 후 아직 감염 상태인 환자 수도 1000명 넘겨

 

BC주의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가 100명을 넘기면서 연이어 3일 만에 200명 대로 늘어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BC주 보건당국이 29일 발표한 코로나19 브리핑 보도자료에 따르면, 20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누적 확진자 수는 14만 9648명을 기록했다. 15만 명까지 352명이 남아 이 추세라면 1~2일 이내에 15만 명을 넘길 것이 확실해 보인다.

 

27일 150명의 확진자가 나오고, 28일 185명으로 늘어난 후 다시 200명 대를 넘어선 것이다.

 

7월 첫 2주간 일일 평균 확진자가 43.7명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3주도 안되어 4배 이상 급증했다는 뜻이다.

 

현재 감염 중인 환자 수도 1055명으로 전날 909명에서 146명이 늘어나며 다시 1000명 대를 넘겼다.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환자는 51명으로 전날보다 4명이 늘었다. 이들 입원환자 중 중증으로 집중치료를 받는 환자는 20명으로 전날과 같았다. 다행히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내륙보건소가 107명의 확진자가 나오고 600명이 현재 감염 중인 것으로 나올 정도로 상황이 가장 좋지 못하다. 

 

이에 따라 주보건당국은 중부 오카나간 지역에 대해 전체 새 확진자의 50% 가량이 나오고 있어 12세 이상 모두 실내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의 행정 명령을 28일 발동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는 식당의 실내 인원 제한 등 재출발 3단계에서 뒤로 후퇴하는 지시가 내려졌다.

 

프레이저보건소는 58명의 새 확진자에 241명의 감염 중 환자가, 밴쿠버해안보건소는 23명의 새 확진자와 139명의 감염 중 환자가 있다.

 

이날 12세 이상 백신 접종대상자의 1회 이상 접종률은 81%가 됐으며, 2차 접종률은 64.1%를 기록했다.

 

BC주 정부는 아직 1회도 접종하지 않은 대상자의 접종을 늘리기 위해 직접 차량을 이용해 찾아가는 접종 시스템을 가동하는 등등 적극적인 접종률 높이기 조치를 취하고 있다.

 

미국은 백신을 맞으면 100달러의 인센티브까지 약속하며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많은 수의 접종 거부자로 인해 1차 접종률이 60% 초반에 머물고 있다. 이러는 와중에 확진자가 매일 급증하면서 마스크 판매량이 다시 증가하는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그런데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실제보다 60%까지 적게 집계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워싱턴대 연구팀은 치명률과 감염 여부 검사 수와 검사 대상 가운데 확진자 비율 등의 데이터를 종합하고, 인디애나주와 오하이오주에서 시민을 상대로 무작위로 실시한 표본 검사 결과도 반영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진은 이런 자료를 기반으로 미국에서 지금까지 6500만 명이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즉 미국 인구의 5명 중 1명 꼴로 감염됐다는 것이다.

 

한국의 30일 코로나19 확진자는 1674명으로 여전히 많은 수를 기록하고 있다. 캐나다는 28일 오후 7시 기준으로 일일 확진자가 766명이었다. BC주는 알버타주에 이어 2번째로 많은 수를 기록했다. 29일 기준으로 다시 통계가 나올 경우 가장 많은 수를 기록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일일 확진자가 급증하는 가운데에서 모든 규제를 해제한 영국은 최근 확진자 수가 감소를 하면서 집단 면역 효과이냐 아니면 아직 19일에 취해진 조치에 따른 전염 효과가 14일이 경과하지 않아서냐 등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또 다른 원인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여행을 못가게 될까봐 코로나19 검사를 기피하기 때문이라는 설도 나오고 있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35 캐나다 8월 써리로 오가는 스카이트레인 불편 예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7.
1634 캐나다 주말 BC 산불 상황은 나아졌을까?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7.
1633 캐나다 1980년대 이후 캐나다 청년 고용도 점차 악화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7.
1632 캐나다 다문화자문위원 반인종차별 관련 입법 촉구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8.
1631 캐나다 BC 산불 진압 위해 외국 소방관들 속속 입국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8.
1630 캐나다 29일부터 사흘간 밴쿠버 다시 고온 날씨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8.
1629 캐나다 퀘벡주 8월부터 “백신 복권” 시행 file Hancatimes 21.07.29.
1628 캐나다 퀘벡주 보건부, 마스크 착용 의무화 당분간 계속 유지한다고 밝혀 file Hancatimes 21.07.29.
1627 캐나다 트뤼도 총리, 원주민 기숙학교관련 수사 지원 밝혀 file Hancatimes 21.07.29.
1626 캐나다 캐나다, 8월 9일부터 외국인 관광객 규제 완화 file Hancatimes 21.07.29.
1625 캐나다 몬트리올, 8월 국경 개방에 관광산업 부흥 기대 file Hancatimes 21.07.29.
1624 캐나다 ”화이자 및 AZ 백신 접종완료 시, 델타 변이에도 여전히 효과적” file Hancatimes 21.07.29.
1623 캐나다 한국전 종전 기념일 및 캐나다 한국참전 용사의 날 행사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9.
1622 캐나다 BC 일일 확진자 수 2주도 안돼 다시 3배로 급증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9.
1621 캐나다 BC 하루가 다르게 크게 늘어나는 확진자 수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0.
1620 캐나다 한카문화산업교류재단, 올해 다문화 행사는 한국 전통 돌잔치 시연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0.
1619 캐나다 밴쿠버 무역관, 하반기 멘토링 프로그램 멘티 모집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0.
1618 캐나다 백신 접종 이동 버스 30일 트와슨 페리 터미널에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1.
» 캐나다 마침내 BC주 일일 확진자 200명 대로...9월 정상화 물 건너 갈 듯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1.
1616 캐나다 캐나다 유럽계 다문화주의에 가장 부정적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