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port Canada Twitter

캐나다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점점 확산하는 가운데 아프리카 3개국의 여행을 추가로 제한하고 코로나19 부스터샷에 대한 지침을 구하고 있다.

 

쟝-이브 듀클로(Jean-Yves Duclos) 캐나다 보건부 장관은 지난 30일 기자회견에서 지난 2주 내에 나이지리아, 말라위, 이집트를 방문한 경우 캐나다에 입국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26일 캐나다가 금지한 7개의 아프리카 국가인 남아프리카공화국, 모잠비크, 나미비아, 짐바브웨, 보츠와나, 레소토, 에스와티니에 이은 추가 조치이다. 

 

캐나다인과 영주권자는 물론 지난 2주간 해당 국가들을 거쳐 입국한 모든 사람은 공항에서 검사를 받고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격리해야 하며, 백신 접종을 마친 캐나다인과 영주권자에게도 똑같은 검사 요건이 적용된다.

 

오마르 알하브라(Omar Alghabra) 캐나다 국토부 장관은 10개국에서 시행된 코로나19 검사는 승인되지 않기 때문에 캐나다에 입국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 외에 다른 나라에서 유효한 검사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미국 이외의 외국에서 캐나다로 들어오는 모든 사람에 대한 코로나19 검사 요구 사항도 확대되지만,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여행객에 대한 규정인 14일 자가 격리 및 8일째에 자가 코로나19 검사는 계속 유지된다.

 

듀클로 장관은 오미크론 변이로부터 오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국경에서 신속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캐나다 공중보건국(PHAC) 부책임자인 하워드 느주(Howard Njoo) 박사는 국경 조치를 통해 캐나다가 전염성, 질병의 심각성 및 백신 효율성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번 조치는 단지 바이러스 확산을 늦추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캐나다 국립항공협의회(NACC)는 연방정부가 발표한 새로운 조치를 이행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일 것이라면서도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항공 분야가 직면한 경제적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마이크 맥네이(Mike McNaney) 캐나다 국립항공협의회 회장 겸 최고 경영자(CEO)는 30일 서명을 통해 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새로운 조치가 조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여행 및 관광 분야의 재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백신 부스터샷관련 지침 요청
캐나다 전역에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 국립접종자문위원회(NACI)에 새로운 오미크론 변이와 관련하여 백신 부스터샷에 대한 국가 표준, 태도 및 조치를 개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신속하게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캐나다 보건부는 최근 18세 이상의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을 승인했지만, 국립접종자문위원회는 노인, 의료 종사자, 장기 요양원 거주자 및 기타 고위험군에만 추가적인 부스터샷을 권하고 있다.

 

매니토바주에서는 18세 이상을 위한 부스터샷이 승인됐지만, 온타리오주는 70세 이상, 의료 종사자, 간병인, 원주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에게만 승인했다.

 

퀘벡주 역시 최근 70세 이상 노인들에 대한 부스터샷 접종 자격을 확대했으며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유콘 준주는 50세 이상 노인들도 이용할 수 승인 하고 있다.

 

몇몇 백신 제조사들은 이미 빠르게 퍼지는 변이 바이러스 억제를 목표로 자사의 약을 더욱 강화하거나 바꾸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백신과 항체 칵테일에 대한 변이체의 영향을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고 화이자는 오미크론 변이에 맞는 새로운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면 모더나는 이 새로운 변종에 대항하기 위한 보조제를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으며, 노바백스는 이미 백신 개발에 착수했다고 언급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FNyzzDXwAI0aKL-696x392.jpg (File Size:37.4KB/Download: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15 캐나다 밴쿠버에서 한국을 알리는 문화행사 곳곳에서 펼쳐져 밴쿠버중앙일.. 17.08.11.
1314 캐나다 담배꽁초 무단투기가 살인사건 불러 밴쿠버중앙일.. 17.08.11.
1313 캐나다 BC 주민 소수만이 만약의 사태 대비 현금 보유 밴쿠버중앙일.. 17.08.11.
1312 캐나다 메트로폴리스 쇼핑몰도 재개발 밴쿠버중앙일.. 17.08.11.
1311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공기질 산불지역과 같은 위험수준 밴쿠버중앙일.. 17.08.11.
1310 캐나다 7월 신축 건 수 전달보다 증가 밴쿠버중앙일.. 17.08.11.
1309 캐나다 밴쿠버시 여름 시민 쉼터 5곳 추가 밴쿠버중앙일.. 17.08.11.
1308 캐나다 외국인 부동산 취득세 효과 사라져 밴쿠버중앙일.. 17.08.11.
1307 캐나다 일식이 주유비 인상에 한 몫 주장 밴쿠버중앙일.. 17.08.11.
1306 캐나다 BC 성인 기초교육(ABE) 및 영어(ELL) 수업료 면제 밴쿠버중앙일.. 17.08.11.
1305 캐나다 리치몬드에서 펼쳐진 한국의 날 행사 밴쿠버중앙일.. 17.08.11.
1304 캐나다 캘거리 지난주 수요일 밤, 136년만에 최고 더위 기록 CN드림 17.08.09.
1303 캐나다 재외국민 양도세 등 바뀐 세제에 영향 밴쿠버중앙일.. 17.08.03.
1302 캐나다 캐나다 한국어 사용자 총 157,225명 밴쿠버중앙일.. 17.08.03.
1301 캐나다 캐나다도 1인가구 비중 빠르게 증가 밴쿠버중앙일.. 17.08.03.
1300 캐나다 메트로 밴쿠버 공기질 경보 주말까지 연장 예상 밴쿠버중앙일.. 17.08.03.
1299 캐나다 BC 페리 신형 선박 조기 투입 결정 밴쿠버중앙일.. 17.08.03.
1298 캐나다 이번주 고온 대비 열사병 주의보 밴쿠버중앙일.. 17.08.03.
1297 캐나다 라이온스클럽 최태주 회장 정부 포상 후보로 밴쿠버중앙일.. 17.08.03.
1296 캐나다 김 건 총영사 데비드 에비 BC주 신임 법무장관과 오찬 밴쿠버중앙일.. 17.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