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TGEejFLd_64e9a2a005ab7a5a

앵거스 리드의 고물가에 따른 생활비 감당 여부를 묻는 질문에 53%가 힘들다는 대답을 했다. 앵거스 리드 보고서 캡쳐

 

 

70% 돈 때문에 스트레스 받고 있어

1000달러 이상 초과 지출 감당 불가

13세 미만 자녀 둔 가구일수록 심각

 

코로나19로 통화량이 증가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물가가 폭등하는 상태에서 절반 이상의 캐나다인이 늘어나는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을 것으로 우려했다.

 

비영리설문조사기관인 앵거스 리드가 28일 발표한 최신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활비를 따라 잡을 수 없다고 대답한 53%에 달했다. 

 

각 주별로 보면 BC주는 57%가 감당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알버타주, 사스카추언주 그리고 대서양 연해주는 59%로 높았고, 퀘벡주는 41%로 가장 낮았으며, 온타리오주는 54%로 2번째로 낮았다.

 

13세 미만 자녀를 둔 가정은 60%가 감당하기 힘들다고 대답해 그렇지 않는 가정의 50%에 비해 10% 포인트가 높았다.

 

또 앵거스 리드가 개발한 생활비 지수(Cost of Living Index)에서 이미 보조를 맞추지 못한 가구가 27%, 이미 뒤쳐진 가구가 21% 등 48%의 가구가 실제로 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잘 생활비 상승률을 따라가고 있는 가구는 21%, 그리고 훨씬 앞서가는 가구는 31%였다.

 

돈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지에 대한 질문에서 70%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대답했고, 28%만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가계 추가 지출이 어느 정도 증가하면 감당하기 어려운 지에 대한 질문에서 추가 지출을 전혀 감당하지 못한다는 대답이 14%, 100달러까지가 5%, 250달러까지가 8%, 500달러까지가 9%, 그리고 1000달러까지가 15%였다. 그리고 1000달러를 넘기면 나머지 50% 모두가 감당 못한다고 대답을 했다.

 

각 주별로 볼 때 BC주는 단 1달러도 추가 지출을 감당하지 못한다는 비율이 14%, 100달러가 3%, 250달러가 7%, 500달러가 10%, 1000달러까지가 11%, 그리고 1000달러 이상이 53%로 전국에서 가장 양호한 상태를 보였다. 사스카추언주와 대서양연해주는 39%만이 1000달러 이상에 힘들다고 대답해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자녀가 있는 가정일수록 추가 지출을 감당하기에 더 심각한 것으로 나왔다.

 

본인이나 가족이 실직할 것이라고 우려하는 경우도 전국적으로 36%였는대, BC주는 43%로 알버타주(46%), 사스카추언주(41%), 그리고 마니토바주(40%) 등 서부주들과 함께 40%를 넘기는 주가 됐다. 온타리오주는 36%, 퀘벡주는 30%, 그리고 대서양연해주는 29%로 동부로 갈수록 걱정이 덜했다.

 

소수민족은 47%가 걱정이 된다고 대답해 백인의 34%에 비해 훨씬 더 실직에 대한 공포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전국적으로 너무 많은 빚이 있다고 대답한 비율이 36%인데, BC주는 36%로 전국 평균이었다. 온타리오주(34%)와 퀘벡주(31%) 등 3대 주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서부평원주 3개와 대서양 연해주는 모두 40%를 넘겼다.

 

13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은 빚이 너무 많다는 비율이 48%로 그렇지 않은 가정의 33%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돈을 절약하기 위해 한 행동에 대해, (비필수적인)재량지출(discretionary spending)을 줄였다는 대답이 53%, 주요 구매를 늦췄다가 41%, 덜 운전이 31%, 계획된 여행 취소연기가 29%, RRSP 등을 축소 등이 22%였다.

 

이번 조사는 2월 11일부터 13일까지 캐나다 성인 1622명으로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준오차는 +/- 2.5%포인트이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35 캐나다 플레이돔 22-26일 오픈 밴쿠버중앙일.. 17.03.23.
5134 캐나다 밴쿠버 패션 위크 개막 밴쿠버중앙일.. 17.03.23.
5133 캐나다 1월 소매 매출 2.2% 증가 밴쿠버중앙일.. 17.03.23.
5132 캐나다 BC 자유당 세금으로 광고, 피소 당해 밴쿠버중앙일.. 17.03.23.
5131 캐나다 최악 실업률에 특별 조치 내놓은 노틀리 주정부 CN드림 17.05.02.
5130 캐나다 연방정부 2016년 익스프레스 엔트리 현황 발표 CN드림 17.05.09.
5129 캐나다 캘거리 시의회, 2018년 재산세 동결 추진 CN드림 17.05.09.
5128 캐나다 집권 3년 차 맞는 NDP, 노틀리 주수상의 자신감 CN드림 17.05.16.
5127 캐나다 자녀세대가 부모세대보다 더 많은 소득 올려 밴쿠버중앙일.. 17.05.25.
5126 캐나다 환경보호단체, 밴쿠버 석탄 운반확장 반대 소송 밴쿠버중앙일.. 17.05.25.
5125 캐나다 빅토리아에 울려퍼진 한인전통 문화 행렬 밴쿠버중앙일.. 17.05.25.
5124 캐나다 캐나다 올 관광객 수 3.7% 증가 전망 밴쿠버중앙일.. 17.05.25.
5123 캐나다 BC 24일 최종 집계 여전히 소수 정부로 잠정 결론 밴쿠버중앙일.. 17.05.25.
5122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 금리 0.5%로 동결 밴쿠버중앙일.. 17.05.25.
5121 캐나다 밴쿠버, 4월 수출입물동량 8.8% 상승 밴쿠버중앙일.. 17.05.25.
5120 캐나다 차이나타운 재개발 의견 엇갈려 밴쿠버중앙일.. 17.05.30.
5119 캐나다 BC주민, 녹색당-NDP 연정 더 선호 밴쿠버중앙일.. 17.05.30.
5118 캐나다 밴쿠버 선 기자 상습적 이민 반대 여론 및 인종 차별 조장 밴쿠버중앙일.. 17.05.30.
5117 캐나다 밴쿠버 출신 한인 디자이너 최초 영국 패션 카운슬 수상 밴쿠버중앙일.. 17.05.30.
5116 캐나다 빅토리아데이 퍼레이드 관중 한인팀에 뜨거운 찬사 밴쿠버중앙일.. 17.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