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AY4J8lE7_73aa8e4ebf11f34e

한국의 유학박람회 모습(한국 중앙일보)

 

캐나다 전체 노동인력 부족 돕기 위해

코로나19로 인한 입국 제한으로 지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과 2021년간 캐나다 입국이 제한되면서 해외에서 접수된 취업과 이민 관련 신청서 처리가 지연되면서 캐나다가 필요로 하는 인력 수급에 차질이 생겼는데, 이에 대해 신속 이민 신청 선발을 7월부터 재개될 예정이다.

 

션 프레이저 연방이민부장관(Minister of 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은 신속 이민(Express Entry) 선발을 곧 재개해 7월 초에 영주권 신청을 하려는 신청자를 대상으로 초청장을 발송할 예정이라고 22일 발표했다.  

 

이번에 다시 신청 서류에 대한 재개를 하고 나면 대부분의 새 신청서를 6개월 이내에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프레이저 장관은 코로나19 회복 단계에 들어감에 따라, 전국적으로 모든 산업분야에서 고용주들이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캐나다 경제 성장률이 노동자를 찾아내고 유지하는 것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이민자가 캐나다의 경제 발전을 위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존재라고 봤다.

 

2020년과 2021년 방역 조치로 취해졌던 여행 제한으로 해외 이민 관련 신청서류 처리가 지연됐고, 이에 따라 적체된 신청서가 크게 늘어난 상황이다. 이런 적체 신청서를 처리하기 위해 연방이민부는 캐나다 경력 분야와 연방숙련 노동자 분야, 그리고 연방 숙련 기술자 분야 등 연방 고숙련 이민 분야 관련 신청자에 대한 초대장 발송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되기 전 접수된 신청 서류가 4만 8000개였으나 2021년 9월에 11만 1900개로 급증했었다. 결국 일시적으로 새 신청 서류 접수를 중단하면서 적체 됐던 신청서를 절반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는 7월 이면 처리 가능한 수준으로 신청 서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번에 다시 신청 접수를 재개할 수 있다고 봤다.

 

또 이번 발표에서 캐나다에 와 있는 유학생들이 캐나다에서 임시 거주 기간을 연장하는 일시적인 정책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올 여름부터 올 1월부터 12월까지 졸업 후 취업 허가를 받은 경우 최대 18개월까지 추가로 개방형 취업 허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캐나다는 캐나다의 교육기관에서 수학을 한 유학생들이 캐나나 노동시장에 빨리 적응할 수 있고, 부족한 노동력을 채울 수 있다고 보고 적극적으로 영주권자로 받아 들여왔다. 이를 통해 매년 수 많은 유학생 신분에서 영주권자 신분으로 바뀌었다. 2021년에만 유학생 출신 15만 7000명 이상이 영주권자가 됐다. 이중 8만 8000명 이상이 졸업후 취업 허가에서 바로 영주권자로 신분이 바뀌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5 캐나다 BC주, 파이프라인 청정 유지 위해 15억불 투입 밴쿠버중앙일.. 17.01.14.
5274 캐나다 써리, 성추행 사고 예방 당부 밴쿠버중앙일.. 17.01.14.
5273 캐나다 밴쿠버 공원위원회, '커뮤니티 센터 폐쇄' 안건 부결 밴쿠버중앙일.. 17.01.18.
5272 캐나다 "올 겨울 노보바이러스 유행, 굴 반드시 익혀 먹어야" 밴쿠버중앙일.. 17.01.18.
5271 캐나다 휘슬러, 스키장에 야외 ATM 설치-캐나다 최초 밴쿠버중앙일.. 17.01.18.
5270 캐나다 부동산 과열 해소, BC주 전체 확대 밴쿠버중앙일.. 17.01.18.
5269 캐나다 김 총영사, BC주 RCMP 경찰청장과 면담 밴쿠버중앙일.. 17.01.18.
5268 캐나다 노동계 1.5% 임금인상 예상 밴쿠버중앙일.. 17.01.18.
5267 캐나다 올해 가스 값 3년 내 최고치 전망 많아 밴쿠버중앙일.. 17.01.18.
5266 캐나다 로버트슨 밴쿠버 시장, 캐나다 주요 10개 도시 중 지지율 최하위 밴쿠버중앙일.. 17.01.18.
5265 캐나다 애보츠포드에서 KKK 전단지 배포, 이번이 두 번째 밴쿠버중앙일.. 17.01.18.
5264 캐나다 대중교통 노선 확장, 그러나 트라이시티 지역 학생 불편 커져 밴쿠버중앙일.. 17.01.18.
5263 캐나다 선출직 중도 사퇴 증가, 이유는 ? 밴쿠버중앙일.. 17.01.19.
5262 캐나다 굴 업계, 노보바이러스 유행 울쌍 "문제있는 굴 일부" 주장 밴쿠버중앙일.. 17.01.19.
5261 캐나다 지자체들, 이번 주 홍수 대비 나서 밴쿠버중앙일.. 17.01.19.
5260 캐나다 밴쿠버 벚꽃 축제, 2월 11일 OPEN 밴쿠버중앙일.. 17.01.19.
5259 캐나다 CMHC 모기지 보험 인상 밴쿠버중앙일.. 17.01.19.
5258 캐나다 스카이트레인 운행 횟수 확대 밴쿠버중앙일.. 17.01.19.
5257 캐나다 도서관에서 원격 인쇄 가능 밴쿠버중앙일.. 17.01.19.
5256 캐나다 한국, 11월 캐나다 수출입 증가율 1위 밴쿠버중앙일.. 17.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