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본 시장, "단기 숙박 제공 주택 늘어나면 장기 체류자 어려움 커져"

 

BC 주정부가 ‘나눔의 경제(Sharing Economy)’를 강조하며 우버(Uber)와 에어비앤비(Airbnb) 등 스마트폰 앱 서비스들의 밴쿠버 진출을 지지한 바 있다.

 

그런데 지난 15일(화), ‘에어비앤비와 같은 서비스들이 지역 주민들이 주거 공간을 찾는데 방해가 되고 있다’고 주장해 온 토피노(Tofino) 시의회가 에어비앤비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에어비앤비 뿐만 아니라 숙박 시설 운영 자격이 없는 일반 주택이 유료로 단기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금지 내용을 담고 있다. 

 

조시 오스본(Josie Osborne) 시장은 “에어비앤비만을 지목한 것이 아니다. 지자체로부터 허가를 받지 않고 숙박 시설을 운영하는 것은 지역 사회에 혼란을 낳는다. 따라서 이런 행위를 모두 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밴쿠버 아일랜드에 위치한 토피노는 인구 2천의 소도시다. 그러나 휴양지로 인기가 많아 여름에는 1만 여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이 곳에 머무른다.

 

이로 인한 혼란을 예방하기 위해 시의회는 10년 전, 주소 등록 규정을 재정비하고 단기 임대 규정을 정비했다.

 

규정에는 구역제와 임대 허가 자격 취득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오스본 시장은 지난 해, 에어비앤비에 직접 접속해 이 곳에 등록된 토피노의 주거 시설이 무려 273곳임을 확인하고 크게 놀랐다.

 

당시 단기 임대 자격을 갖추고 있던 곳은 단 120 곳으로, 에어비앤비에 리스팅된 곳 중 반 이상은 지자체 규정을 어기고 있던 셈이다. 

 

오스본 시장은 “단기 임대 허가 자격은 그 수를 한정시키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장기 임대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주로 토피노에서 일시 채용된 사람들이다. 이들은 물론 영구 거주자들 중에도 경제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이 장기 임대를 얻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부작용”이라고 말했다.[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5 캐나다 "코퀴틀람 공기총 총격 피해자나 목격자 찾습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3.04.
494 캐나다 밤 8시간 동안 4명 각기 다른 곳에서 흉기에 찔려 file 밴쿠버중앙일.. 23.03.07.
493 캐나다 멕시코 여행 계획 중 - 안전문제 확인 밴쿠버중앙일.. 23.03.07.
492 캐나다 작년 새 한인 시민권자 2577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03.07.
491 캐나다 높은 물가에 필수품 구매 어려움 느끼는 국민 늘어 file 밴쿠버중앙일.. 23.03.08.
490 캐나다 코퀴틀람 작년 범죄률 하락 불구 대인 범죄 증가 밴쿠버중앙일.. 23.03.08.
489 캐나다 국가 자유도서 캐나다 5위, 한국 공동 59위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0.
488 캐나다 캐나다에서 태어나야 오래 살까 한국에서 태어나야 오래 살까?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0.
487 캐나다 밴쿠버 이스트사이드 끊일 줄 모르는 흉기 폭행 사고들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0.
486 캐나다 세계에서 공부하기 좋은 도시 1위로 몬트리올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1.
485 캐나다 1월 새 한인 영주권자 작년에 비해 크게 늘어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4.
484 캐나다 밴쿠버, 새 영주권자에게 매력적인 도시일까?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5.
483 캐나다 "BC 주택시장 봄맞아 회복세 보인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5.
482 캐나다 밴쿠버 한인사회 관련 끊임없이 이어지는 보이스피싱 피해 밴쿠버중앙일.. 23.03.17.
481 캐나다 한국 여성, 캐나다 국적 남성과 혼인 좋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7.
480 캐나다 주정부, 밴쿠버 대중교통 요금 인상 막기 위한 예산 투입 file 밴쿠버중앙일.. 23.03.17.
479 캐나다 퀘벡주 정부, 원주민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캠페인 시작 file Hancatimes 23.03.20.
478 캐나다 주 총리들,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이라며…연방정부의 의료지원 기금 수락 file Hancatimes 23.03.20.
477 캐나다 르고 주 총리, 트뤼도 총리에 망명 신청자의 캐나다 입국을 막으라고 촉구 file Hancatimes 23.03.20.
476 캐나다 퀘벡 주, 민간 의료기관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법안 발표 file Hancatimes 2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