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3537767272_1kY9RJ42_54badd3e7b1e533

Pixabay

 

부동산 소유주 평균 3834달러 부과

시 운영비, RCMP 계약 비용 증가 탓

 

코퀴틀람에 재산을 보유한 시민의 재산세 부담이 작년보다 평균 179달러 늘어나게 됐다.

 

코퀴틀람 시의회는 재산세와 유틸리티 공과금 등을 포함한 시 세금을 5.48% 인상하는 예산안을 7대 1로 통과시켰다.

 

이로써 재산 보유자 당 평균 시 납세액은 작년보다 179달러 늘어난 3834달러가 됐다.

 

재산세 등의 인상은 시의 예산이 늘어났기 때문인데, 우선 RCMP 계약을 위해 180만 달러, 그리고 시 운영 예산이 320만 달러 각각 증액됐다.

 

이렇게 예산이 늘어난 이유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시의 운영 예산도 상승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또 연방 차원에서 RCMP와의 계약액 상승으로 시 예산 상승분의 5분의 1 기여하게 됐다.

 

버나비시는 예산안을 통해 3.99%의 재산세 상승 계획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향후 5년간 장기 시예산안에서 매년 7% 재산세 상승을 예고했다.

 

밴쿠버시는 재산세를 5% 인상하는 안을 내놓았다. 써리는 시 자체 경찰 설립을 할 경우 재산세가 55%나 인상된다며, 현행처럼 RCMP 체재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보이고 있는 등 갈등을 겪고 있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5 캐나다 웨이트리스 희롱 건설회사 간부, 자진사퇴 밴쿠버중앙일.. 16.03.24.
514 캐나다 밴쿠버, 캐나다에서 교통 체증 가장 심한 도시 밴쿠버중앙일.. 16.03.24.
513 캐나다 버나비 고층 건설 붐, 밴쿠버 뛰어넘는 빌딩 숲 될까? 밴쿠버중앙일.. 16.03.24.
512 캐나다 피트 메도우, 택시 운전사 강도 사건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24.
511 캐나다 소도시 벨카라, '모든 주요 절차 영어로만' 정책 추진 밴쿠버중앙일.. 16.03.23.
510 캐나다 부동산 정책 '갑론을박'. 다가온 총선 때문? 밴쿠버중앙일.. 16.03.23.
509 캐나다 메이플 릿지, 노숙인 보호 시설 반대 대규모 시위 밴쿠버중앙일.. 16.03.23.
508 캐나다 20일(일), 밴쿠버와 써리에서 살인사건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23.
507 캐나다 UBC 이사, 탈세 혐의 사임 밴쿠버중앙일.. 16.03.22.
506 캐나다 교사연합과 주정부 갈등, 이번에는 아동가족부로 불똥 튀어 밴쿠버중앙일.. 16.03.22.
505 캐나다 성 패트릭의 날, 밴쿠버 녹색 물결로 뒤덮어 밴쿠버중앙일.. 16.03.22.
504 캐나다 포트 무디 주유소 펌프 경고 스티커 프로젝트, 찬반 갈등 속 진행 밴쿠버중앙일.. 16.03.22.
503 캐나다 부동산 시장 과열 공개 미팅, 주민 7백여 명 참석 밴쿠버중앙일.. 16.03.22.
502 캐나다 클락 수상, "녹색당 발의, 대학 성폭력 예방법 통과시키겠다" 밴쿠버중앙일.. 16.03.22.
501 캐나다 '운전 중 핸드폰 사용' 요주의 인물, 일주일 사이 두 차례 더 적발 밴쿠버중앙일.. 16.03.22.
500 캐나다 코크레인 무슬림 묘지에서 총격전 발생 CN드림 16.03.22.
499 캐나다 캐나다 역대 최고 복권 당첨 금액 주인공은 중국계 여성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0.
498 캐나다 캘거리 도로청소, 따뜻한 겨울로 예년보다 2주 앞서 시작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0.
497 캐나다 캘거리 실업률 8.4%, 과거 20년 동안 최고 수치 file 앨버타위클리 16.03.19.
496 캐나다 앨버타주 경제 난민, BC주로 건너가 '고용 지원금' 수령 file 앨버타위클리 16.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