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w65J4RWx_ee0fa80ff345978d

 

 

중국계, 유색인종 중 가장 낮은 항체 형성

캐나다인, 2022년 4~8월 98% 항체 보유

한국·미국 독감처럼 매년 백신 접종 시사

 

작년 한 때 캐나다의 전국민이 거의 다 코로나19 항체를 갖고 있었지만, 세계적인 추세가 독감처럼 매년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연방통계청은 작년 4월부터 8월 사이에 캐나다 국민의 98.1%가 코로나19에 대한 항체를 갖고 있었다고 27일 발표했다. 

 

연방통계청은 연방공중보건청(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PHAC)과 캐나다 코로나19면역대책본부(Canada's COVID-19 Immunity Task Force)와 공조해 코로나19 항체 관련 조사를 실시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를 통해 조사기간 내에 전국민 거의 다가 코로나19(SARS-CoV-2)에 대한 항체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항체는 백신 접종과 이전 감염,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봤다. 

 

개인주거지에 살고 있는 캐나다 성인의 53.9%인 1640만 명은 항체가 형성됐는데 이는 이전에 코로나19에 감염이 됐기 때문이라고 봤다. 이 수는 2020년 11월부터 2021년 4월 사이에 2.6%였던 것에 비해 20배나 높았다. 

 

이는 사실 코로나19에 감염됐어도 자신이 감염됐는지 몰랐다는 뜻이다. 이때 스텔스 코로나19라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코로나19에 감염되고 치유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2022년 여름에 이전에 한 번 이상 코로나19 양성 결과를 경험한 환자는 47.9%였다. 반면 10.3%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됐지만 검사 결과 양성으로 판정을 받지 않은 경우다. 또 항체를 갖고 있는 41.7%는 양성 검사결과도 없었고, 감염을 의심도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보고서에서 젊을수록 과거 감염으로 인한 항체 형성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왔다. 또 인종적으로 유색인종이 과거 감염으로 항체를 형성한 비율이 60.1%로 유럽계 백인의 51.8%보다 높았다. 

 

하지만 유색인종 중 중국계는 53.2% 상대적으로 낮았고, 흑인이 80.7%, 아랍계가 78.1%, 필리핀계가 69.8%,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계가 64.6%였다. 같은 동아시아계인 한국도 상대적으로 낮았을 것으로 보인다.

 

각 주별로 보면 BC주는 이전 감염으로 인한 항체 형성 비율이 51.1%로 10개 주중에 7번째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5 캐나다 버리지 마세요, ‘못 생긴’ 청과물 밴쿠버중앙일.. 16.03.15.
474 캐나다 써리 뺑소니 사고 사망자 발생, 가해 운전자 및 동승자 오리무중 밴쿠버중앙일.. 16.03.15.
473 캐나다 시리아 난민, 현재까지 써리에 가장 많이 정착 밴쿠버중앙일.. 16.03.15.
472 캐나다 코퀴틀람, '에버그린 라인 개장 앞서 주차 공간 확보 전쟁' 밴쿠버중앙일.. 16.03.15.
471 캐나다 버나비, 밤길 귀가 여성 폭력 사건 잇따라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15.
470 캐나다 포트 무디, 폭풍으로 나무 쓰러져 사망자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15.
469 캐나다 밴쿠버 패션위크 2016 F/W 14일 개막 밴쿠버중앙일.. 16.03.15.
468 캐나다 스카이트레인 개찰구, 다음 달 8일 완전 폐쇄 밴쿠버중앙일.. 16.03.11.
467 캐나다 써리의 월리 구역 재개발, 10년 계획 시작된다 밴쿠버중앙일.. 16.03.11.
466 캐나다 여성의 날, 웨이트리스 복장 두고 갑론을박 밴쿠버중앙일.. 16.03.11.
465 캐나다 테리 폭스 아버지 롤리 폭스, 폐암 원인 사망 밴쿠버중앙일.. 16.03.11.
464 캐나다 밴쿠버 빈 집 비율 4.8%, 콘도는 12.5% 밴쿠버중앙일.. 16.03.11.
463 캐나다 써리와 뉴웨스트, 패툴로 유료화 MOU 체결 밴쿠버중앙일.. 16.03.11.
462 캐나다 '세계 여성의 날' 맞아 NDP 성명 발표 밴쿠버중앙일.. 16.03.10.
461 캐나다 스탠리 공원 자전거 도로 공사 완료 밴쿠버중앙일.. 16.03.10.
460 캐나다 CKIFG, 북한 핵 규제 UN 방침 지지 성명 발표 밴쿠버중앙일.. 16.03.08.
459 캐나다 ETA 시행, 가을 이후 연기 밴쿠버중앙일.. 16.03.08.
458 캐나다 늘어나는 학교 성추행, 각 학교에 의무 방지대책 필요 밴쿠버중앙일.. 16.03.08.
457 캐나다 휘슬러 아트 박물관, 12일 개관 밴쿠버중앙일.. 16.03.08.
456 캐나다 트루도 총리 엄마 '마가렛 트루도' 여사, SFU '뛰어난 졸업생'상 받아 밴쿠버중앙일.. 16.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