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ODxXGWPI_18e92ac5899a6b28

(사진=주한캐나다대사관)

 

박철희 국립외교원장 60주년 기념 학술회의서 밝혀

학술·문화·비즈니스·인적 교류 통한 양국 강화 토론

 

한국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소장 박철희) 미주연구부는 지난 21일(수), 「Korea-Canada Relations at 60: Stronger Together」을 주제로 공개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타마라 모휘니 주한캐나다대사, 크리스 나카무라 캐나다 아시아태평양재단 부회장, 라몬 파르도 킹스칼리지 런던대학 교수, 우정엽 외교부 전략기획관, 김은기 고려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국립외교원은 한국-캐나다 수교 60주년을 기념하여 이번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북태평양, 인도-태평양 및 국제무대에서의 한-캐 관계 강화 및 협력 증진 방안을 고안함에 있어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고 국민과의 쌍방향 소통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박철희 국립외교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한국과 캐나다는 호주 등과 더불어 흔히 미들파워라는 개념으로 표현되곤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한국과 캐나다는 강대국과 약소국의 중간에 위치해 있는 미들파워(middle power)라는 개념을 넘어서서 글로벌하게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협력 파트너로 자리매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한-캐나다는 자유, 평화, 번영의 편에 서서 글로벌 사회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 나가는 최상, 최적의 파트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공개 회의의 제1세션에서는 ‘한-캐 관계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김현욱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장의 사회 하에 라몬 파체코 파르도(Ramon Pacheco Pardo) 킹스칼리지런던대 교수의 기조발제가 진행되었으며, 타마라 모휘니 주한캐나다대사와 우정엽 외교부 외교전략기획관의 지정토론이 이어졌다. 

 

제2세션에서는 ‘학술, 문화, 비즈니스 및 인적 교류를 통한 한-캐 관계 강화’ 제하 김태환 국립외교원 교수의 사회로 크리스틴 나카무라(Christine Nakamura) 캐나다 아시아태평양재단 부회장과 김은기 고려대 교수의 발제가 진행되었다. 이후 박철희 국립외교원장의 폐회사를 통해 회의를 종료하였다.

 

국립외교원은 현장에 참석한 일반 참가자 및 언론 관계자와의 질의응답도 실시하였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5 캐나다 남녀노소 다 함께 즐긴 레트로 일일주막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3.
354 캐나다 가장 사랑받는 직장 밴쿠버 소재 O2E Brands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4.
353 캐나다 올 여름 자동차 대신 자전거로 밴쿠버섬을 즐겨볼까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4.
352 캐나다 산불에 강풍까지 죽어라 죽어라 하는 캐나다 날씨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4.
351 캐나다 캔남사당 한카수교 60주년 기념 한국전통예술축제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5.
350 캐나다 타민족 대비 한인에게 유달리 많은 혈액형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6.
349 캐나다 한국서 전입 외국인 유령취급 14일부터 해소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6.
348 캐나다 평통 밴쿠버협의회 2분기 정기회의 '폭풍 전의 고요'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6.
347 캐나다 캐나다 인구 4천 만명 돌파... 밴쿠버 시간 16일 정오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7.
346 캐나다 주정부 인종 차별없이 모두 공평한 서비스 제공 위한 설문조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7.
345 캐나다 메트로밴쿠버는 우중이지만, BC산불은 최악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344 캐나다 시경찰 문제로 주정부와 써리시 갈등 표면화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343 캐나다 '트뤼도를 국가 수반으로 인정할 수 없다' 59%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0.
342 캐나다 캐나다, 한국의 해외순투자 대상국 중 2위 밴쿠버중앙일.. 23.06.21.
341 캐나다 캐나다 국적자, 한국 거소자면 입국시 자동심사대로 빠르게 밴쿠버중앙일.. 23.06.21.
340 캐나다 비영주거주자 한국인 비중 3.1%로 국가순 8위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1.
339 캐나다 BC 인구대비 이민자 비율 전국 최고 수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338 캐나다 2011년 이후 한인 이민자 주로 BC주 선택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 캐나다 "한국과 캐나다 미들파워이자 자유, 평화, 번영의 한편"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3.
336 캐나다 밴쿠버 영상산업과 한국의 K-콘텐츠 관심 갖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