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9AZlxXsy_7b297561ac4aecbc

연방통계청의 실업률 그래프

 

9월, 전달 대비 일자리가 0.3% 늘어나

BC 실업률 전달보다 0.2%P 높은 5.4%

 

미국이 9월 일자리 33만여 늘어나면서 긴축 기조를 이어가기 위해 또 금리 인상이 예상되는데, 캐나다도 같은 상황이 벌어질 지표가 나왔다.

 

연방통계청이 6일 발표한 9월 노동시장조사 자료에 따르면, 일자리가 전달에 비해 6만 4000개가 전달에 비해 늘어나 0.3%의 증가율을 보였다. 실업률도 전달과 같은 5.5%를 유지했다.

 

8월에도 한 달 기준으로 4만개의 일자리가 늘어나 0.2%의 증가율을 보여, 연속 두 달 고용강세를 보였다. 올해 들어서 매달 일자리가 3만 개씩 늘어나고 있다.

 

팬데믹 이후 과열된 경기와 물가 상승을 경착륙 시키기 위해 기준금리를 작년부터 빠르게 인상해 왔지만, 이렇게 고용이 계속이 늘어나면서 긴축종료 기대에 '찬물'을 끼얹고 있는 셈이다.

 

연방통계청은 새 일자리가 늘어나는 이유 중의 하나로 캐나다의 인구가 1957년 이후 15세 이상 인구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봤다. 고용 증가율이 15세 인구 증가율과 동조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고용은 늘어나지만 고용의 질은 좋게만 볼 수 없다. 9월 새 일자리 중 파트 타임 일자리가 주로 늘어나, 4만 8000개로 전달에 비해 1.3%의 증가율을 보였다. 올해 들어서 9월까지 파트 타임은 1.9% 늘어난 반면 풀타임은 1%로 절반의 증가율에 머물렀다.

 

고용에 있어 또 특별한 점은 자영업자가 연 2달 동안 늘어난 점이다. 8월 1.9% 증가 한 후 9월에도 1%가 증가했다. 전체 노동자 중 자영업자는 13.2%로 7월의 12.9%에 비해 늘어났다. 하지만 팬데믹 이전인 2020년 2월 14.6%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아직 자영업 비율이 코로나 이전까지 회복하지 못한 셈이다.

 

9월 실업률은 전달과 같은 5.5%를 유지했다. 전체적으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고용 인구도 늘었지만, 실직자 인구가 같은 비율로 증가했다.

 

고용은 주로 서비스 분야가 주도했는데, 교육 서비스가 견인차 역할을 했다. 교육 서비스는 8월에 큰 폭 감소를 했다가 다시 개학과 함께 원위치로 돌아선 셈이다. 그 뒤로 수송창고업이 큰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건설업, 정보문화레크리에이션업은 감소세를 보였다.

 

BC주는 고용율이 전달에 비해 0.9%가 증가했다. 반면 실업률은 5.4%로 전달에 비해 0.2% 포인트가 올랐다.

 

대도시별로 볼 때 (메트로)밴쿠버는 고용률이 전달에 비해 1% 증가했지만 실업률도 5.9%로 전달에 비해 0.1% 포인트 상승했다. 밴쿠버는 전체 BC주에 비해 상황이 좋지 못한 편으로 보인다. 빅토리아는 실업률이 전달에 비해 0.3% 포인트 올랐지만 3.8%의 낮은 수준을 보였다.

 

연방정부가 긴축정책이 약발을 받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며, 오는 25일로 예정된 기준금리 발표에서 다시 인상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이 높아진다. 연방은행(BANK OF CANADA)은 지난 9월 6일 기준금리 발표 때 5%로 동결을 했었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에서도 3% 이상 높은 물가상승율이 나온다면 다시 돈 줄을 죄어 경착륙을 시도할 수 밖에 없다.

 

미국도 긴축 정책이 먹히지 않고 계속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결과적으로 11월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금리 인상 결정을 내릴 것이라는 예측들이 나오고 있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5 캐나다 국민훈장 모란장에 오유순 밴쿠버무궁화재단 이사장 file 밴쿠버중앙일.. 23.10.06.
214 캐나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한인 입양인들의 추석 축제. file 밴쿠버중앙일.. 23.10.06.
» 캐나다 캐나다 긴축·불황에도 일자리 늘어…금리인상 가능성 file 밴쿠버중앙일.. 23.10.07.
212 캐나다 주변에 응급상황이 벌어지면 얼마나 걱정될까? file 밴쿠버중앙일.. 23.10.07.
211 캐나다 캐나다 유학생이라면 룸렌트 사기가 뭔지 알아야 밴쿠버중앙일.. 23.10.11.
210 캐나다 국제통화기금, 캐나다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1.
209 캐나다 퀘벡 주, 프랑스어 사용 촉진을 위한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3.10.11.
208 캐나다 퀘벡 주, 백신 접종 캠페인 업데이트…모든 주민 10일부터 접종 가능 file Hancatimes 23.10.11.
207 캐나다 해외동포 세계지도자협의회 제4차 세계서울대회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3.
206 캐나다 제21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美서 개막!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3.
205 캐나다 주밴쿠버총영사관, 재외선거 신고·신청 접수요원 모집 밴쿠버중앙일.. 23.10.14.
204 캐나다 연방 자유당- NDP 합당해도 보수당에 밀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4.
203 캐나다 복수국적 허용 연령 60세로 낮추자는 법안 다시 발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7.
202 캐나다 밴쿠버 차세대 리더 그룹 지난 온 20년, 앞으로 20년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7.
201 캐나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 3.8% 상승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8.
200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5년, 사용자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8.
199 캐나다 제7회 투게더 행사 K-POP 알리기 file 밴쿠버중앙일.. 23.10.18.
198 캐나다 캐나다서 살아가기 위해 평균 6만 7천불 벌어야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0.
197 캐나다 지지층도 떠나간 현 정부 어떻게 하나?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0.
196 캐나다 "지난 2년 캐나다 한인 수 맞먹는 재외동포 감쪽같이 사라졌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