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어권, 비유럽권 이민자 비중 점차 확대

 

2036년이 되면 영어나 불어와 같은 공식언어보다 비공식 언어를 쓰는 캐나다인들이 지금보다 2배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36년까지의 이민자, 민족문화 다양성과 언어(immigration, ethnocultural diversity and languages in Canada up to 2036, 2011 to 2036)' 보고서는 2036년까지 해외에서 출생한 이민자와 그 자녀가 캐나다 전체 인구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본지 1월 26일자 신문 A1면)

 

또 이민자 대부분은 밴쿠버나 토론토, 몬트리올과 같이 대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에서는 이와 함께 2036년 공식언어와 비공식 언어 사용자 비중에 대해 추산을 했다. 2011년에 실시한 전국가계조사(National Household Survey, 이하 NHS)에서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은 약 2,010만 명이었다. 반면 불어를 모국어로 둔 인구는 730만 명, 그리고 기타 언어는 690만 명에 불과했다.

 

그런데 이번 보고서에서 각 언어별 인구 증가와 이민자 유입 시나리오를 고려해 추산한 결과 2036년에 영어 모국어 인구는 최소 약 2,280만에서 최대 2,370만명 사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 불어는 최소 750만에서 최대 780만명으로 추산된다. 이에 반해 기타 언어를 모국어로 둔 인구는 새 이민자 인구 유입 비중이 높아지면서 2036년에는 1,380만 명을 기록, 두 배 가깝게 증가한다. 

 

2036년에는 영어 사용자가 전체 인구의 52%-56%, 불어가 17%-18%로 현재보다 비중이 낮아지고, 비공식어 사용 인구가 26%에서 31% 사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1년 인구센서스 조사에서는 펀잡어 사용자가 43만 705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어 사용자가 이 보다 작다는 통계가 나와 실제 비공식 언어 사용자 숫자가 영어 사용자보다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인구센서스 결과는 언어별 정부 예산 배정에도 큰 변수로 작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인구센서스 조사가 한국어나 중국어 등 영어와 불어 이외 언어 사용자 측정에 다소 미비하다는 지적이 계속 되고 있다.  /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35 캐나다 봄 맞아 대중교통 노선 야외 공원 운행 확대 및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5.
1034 캐나다 컴패스벤딩 기계에 신용카드 복제기 불법 설치 주의보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5.
1033 캐나다 퀘벡주, 올 가을 10년 만에 새로운 지역 번호 도입 file Hancatimes 22.04.06.
1032 캐나다 퀘벡주, 다른 주의 프랑스어 지원을 위한 새로운 계획 도입 file Hancatimes 22.04.06.
1031 캐나다 BC주 역세권 공동 개발 위한 방향으로 정책 추진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6.
1030 캐나다 퀘벡주, 특정 그룹에 COVID-19 4차 접종 제공 file Hancatimes 22.04.06.
1029 캐나다 캐나다 자유당, NDP과 연합하여 다수 의석 확보 file Hancatimes 22.04.06.
1028 캐나다 BC주 다시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 강화 조치 취할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6.
1027 캐나다 퀘벡주 새 예산안 발표… “소득 10만 달러 이하 주민에게 $500 지급” file Hancatimes 22.04.06.
1026 캐나다 르고 주총리, 자유당-NDP 연합 비판 file Hancatimes 22.04.06.
1025 캐나다 퀘벡주 예방접종위원회, COVID-19 추가 백신 제공을 위한 대규모 캠페인 제의 file Hancatimes 22.04.06.
1024 캐나다 캐나다 연방정부, 퀘벡주 의석수 보호를 위한 법안 상정 file Hancatimes 22.04.06.
1023 캐나다 퀘벡주, 6차 확산에 경고하면서 스텔스 오미크론 주의 촉구 file Hancatimes 22.04.06.
1022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 기후변화 대응에 1억 1,700만 달러 투자 file Hancatimes 22.04.06.
1021 캐나다 퀘벡주, 2025년까지 의료 시스템 전면 개편 약속 file Hancatimes 22.04.06.
1020 캐나다 퀘벡주, 비상사태 종료 법안 검토 시작 file Hancatimes 22.04.06.
1019 캐나다 8일부터 식당 갈 때 백신 카드 필요 없어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7.
1018 캐나다 포코 살인사건 희생자 한인으로 추정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7.
1017 캐나다 내년 세계한상대회, 미국 오렌지카운티에서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8.
1016 캐나다 <세자매>, 가족이란 이유로 묵인했던 상처들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