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락의 공격적인 정치자금 모집, 권력 사유화 비판 받기도

기업과 노조 정치자금 기부, 찬반 여부 쟁점화 

 

향후 4년 동안 BC주를 새로 이끌 수상과 집권 여당을 선출하는 <2017 B.C. General Election>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5월 9일 예정된 총선 승리를 위해 집권당 자유당은 ‘클락 연임을’ 그리고 제1 야당인 신민당은 ‘정권 교체’를 위해 뛰고 있다.

 

선거가 다가오면서 클락 수상의 공격적인 정치자금 모금 방법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자유당은 지난 2016년에 펀드레이징(Fundraising) 행사를 통해 1천 2백 5십만 달러의 정치 자금을 모았다. 이것은 지난 2013년 총선 당시 모은 1천 4백만 달러에 거의 육박하는 수준이다. 아직도 정치 자금을 모을 수 있는 기간이 남아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지난 총선 기록을 갱신할 전망이 크다. 자유당은 지난 총선 이후 합계 3천 2백 4십만 달러의 정치자금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BC주 선거법에 의하면 각 정당은 매년 3월까지 모은 정치 자금을 Elections BC에 보고해야 한다. 각 정당 자료가 정리된 후 대략 4월 경 이 정보는 공개된다.

 

클락 수상의 공격적인 정치자금 모금은 꽤 유명하다. 클락은 펀드레이징 참가 티켓을 고가에 팔고, 이것을 많이 사는 인사들을 각료에 임명하기도 해 구설수에 올랐다. 제1 야당인 신민당은 이 같은 자유당의 정치자금 모금이 정치권력을 사유화하고 민주주의를 퇴행시킨다고 비판하고 있다.

 

자유당 총선 캠페인 단장을 맡고 있는 토드 스톤(Todd Stone) 교통부 장관은 이 같은 비난에 대해 “일고의 가치도 없다. 자유당은 주 선거법이 정한 엄격한 법을 지키고 있다”며 “엄정한 선거자금 관리는 BC 주민들이 갖고 있는 큰 자부심”이라고 반박했다.

 

자유당이 제출한 내용에 따르면 2016년에 모은 1천 2백 5십만 달러의 정치자금 중 64 %는 거대 기업으로부터 받은 것이다. 거의 8백만 달러에 육박한다.

 

BC주의 또 다른 야당인 녹색당(Green Party)은 작년부터 대기업과 노조의 정치 자금 기부를 받지 않고 있다. 또 이것을 법제화하기 위해 시도했으나 자유당 정부의 거부로 무산된 바 있다.

 

호간(John Horgan) 신민당 당수는 “기업과 노조의 정치 자금 기부가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금지한다면 자유당의 독주는 더 가속화 될 것”이라며 반대 의사를 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신민당이 집권한다면 기업과 노조로부터 받는 정치자금의 투명성을 높이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 밴쿠버 중앙일보 천세익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55 캐나다 트랜스링크 고객 서비스 확 개선한다는데...7월 1일 요금 인상 밴쿠버중앙일.. 22.03.25.
1054 캐나다 담배값 오르면 싸게 구입할 수 있는 불법 담배도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5.
1053 캐나다 ICBC 자동차 보험 가입자 5월 110달러 돈이 통장으로 들어온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6.
1052 캐나다 3번 고속도로 지역 휴대폰 통신 개선 작업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6.
1051 캐나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해제---캐나다 국민 걱정스럽게 지켜본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6.
1050 캐나다 코퀴틀람 남성 27일 다운타운서 10대 여성 묻지마 폭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1049 캐나다 ICBC 구제보조금 110달러 문자는 모두 사기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1048 캐나다 여행객 대신 화물이 항공기 자리를 차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1047 캐나다 BC주정부, 관련 법 개정으로 주택 구매자 보호 강화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1046 캐나다 BC주정부, 유급 병가 규정 단순화-강화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1045 캐나다 주말 3일간 코로나19 사망자 6명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1044 캐나다 한인회, 한국문화청소년사절단 발대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22.03.31.
1043 캐나다 4월 2일 밴쿠버무역관의 케이무브 네트워킹 데이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1.
1042 캐나다 H-마트 8호점 코퀴틀람 센터 지역에 3월 31일 영업 개시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1041 캐나다 BC 전기료 4월부터 평균 1.4% 인하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1040 캐나다 캐나다 여권 갱신 절차 간소화 대상자 크게 확대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1039 캐나다 BC주도 엔데믹으로 갈 수 있을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1038 캐나다 올 1분기에만 캐나다 영주권 결정 14만 700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1037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세계 한글학교협의회와 찾동 화상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1036 캐나다 지난 주말 BC주 코로나19 상황이 심상치 않았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