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BC주 96명 감염, 8명 사망

치사율 높고, 생존해도 팔 다리 절단

 

세 밀레니엄이 시작된 후 밴쿠버섬에서 감염자들이 급증하며 사망을 하거나 팔 다리를 잘라내며 주민들을 공포에 몰아 넣었던 바이러스가 20대 여성의 다리를 집어삼켰다.

일명 '근육을 갉아먹는 박테리아(flesh eating disease)'라고도 불리우는 괴사성근막염(necrotizing fasciitis)을 앓고 있는 20대 써리 여성의 이야기가 지역 언론에 보도됐다.

 

21세의 셰이 알바레즈(Chey Alvarez)라는 젊은 여성은 지난달 3일 무언가에 물린 이 후 급작서럽게 발병한 괴사성근막염으로 최근 오른쪽 무릎 아래를 절단했다. 

 

셰이는 당시 무언가에 물렸고, 이 후 의식을 잃고 열흘 간 혼수 상태에 빠졌다. 이 후 12일 간은 산소호흡기에 의존하기도 했다. 그를 문 것의 정체는 확실치 않으나, 가족은 갈색의 독거미 'Recluse Spider'를 의심했다.

그리고 셰이는 괴사성근막염 진단을 받았다. 괴사성근막염이란 박테리아 감염을 통해 걸리게 되며, 발병 후 피부와 지방층을 빠른 시간안에 파괴시킨다. 

 

그룹 A 연쇄상구균들(Group A streptococci, GAS)에 의해 1-2일 만에 근육을 순간적으로 괴사시키는 이 질병은 1994년까지만 해도 전 세계적으로 40건이 감염보고되는 정도였다.

하지만 2001년 전후로 밴쿠버섬을 시작으로 BC주에 96건의 감염환자가 발생하며 주민을 공포로 몰아넣었다.

2001년도에만 밴쿠버에서 21건, 사우스 프레이져와 캐피탈에서 16건, 심슨 프레이져이져에서 14건, 톰슨에서 7건, 그리고 노던 인테리어에서 6건이 보고됐다.

 

한번 감염이 되면 치료 방법도 없어 팔과 다리의 근육이 괴사돼 결국 절단해야 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

2001년도에만 8명이 사망을 했다.

이들 환자는 손 쓸 사이도 없이 감염 후 2-3일 만에 혼수상태에 빠지고 이내 사망에 이르렀다.

 

사실 그룹 A 연쇄상구균은 아주 흔한 박테리아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갖고 있지만 이것이 괴사로 이어지는 환자 수는 극히 일부이다.

 

학교에 다니는 연령대 어린이의 10-15%가 목구멍에 GAS를 갖고 있을 정도다.

이 박테리아는 피부 접촉, 특히 키스나 같이 음식물을 먹으며 전달된다.

그런데 암, 당뇨, 신장질환과 같이 만성질환을 갖고 있거나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위험한 상황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베인 상처나, 수술부위, 수두를 통해 감염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 보건부에 따르면 현재 매년 90명에서 200명이 괴사성근막염으로 발전하며 이중 20-30%가 생명에 위협을 받는 상태다. 

 

감영 증상은 처음에는 독감증상과 비슷하다. 그러다 작은 트라우마 증상이 나타나고 피부가 붉어지거나 보라색으로 바뀌고 작열감과 함께 피부가 푹 꺼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후 참을 수 없는 고통이 나타나고 감기와 같이 열과, 쇠약감, 구토, 어지러움증, 탈수증을 보인다.

또 화상을 입었을 때 같은 짙은 색의 물집이 생기거나 쇼크로 의식을 잃기도 한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이지연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5 캐나다 올해 재산세 부과 기준 주택 자산 가치 작년 비해 큰 폭 상승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5.
1254 캐나다 5일 BC 확진자 수 다시 4000명에 육박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7.
1253 캐나다 폭설에 얼음비 예보, 상황 따라 교량 고속도로 통행금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7.
1252 캐나다 캐나다라인 캡스탠역 공사로 제한 운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7.
1251 캐나다 BC 백신접종완료자 한국에선 인정 못 받을 수도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8.
1250 캐나다 캐나다 출발 한국 도착 확진자 수도 이제 못 말릴 정도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8.
1249 캐나다 송해영 신임 총영사, 평화의 사도 기념비에 헌화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8.
1248 캐나다 폭우 예보에 또 홍수 범람 우려 높아져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1.
1247 캐나다 상처로 가득 찬 그 시절을 위로하는 영화로 코로나19 극복 기원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1.
1246 캐나다 밴쿠버 평통 신년 정기회의 및 신년하례회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1.
1245 캐나다 BC 주말 3일간 코로나 확진자 6966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2.
1244 캐나다 새해벽두부터 이어지는 메트로밴쿠버의 강력 사건들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2.
1243 캐나다 BC주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저렴한 주택 공급 주체는?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2.
1242 캐나다 코로나19로 임시휴업 명령 사업체 구제지원금 신청 시작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3.
1241 캐나다 밴쿠버 2명의 여성들, 낯선 남성들에 추격 당해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3.
1240 캐나다 12일 출근시간 포트만 대교 코퀴틀람 지역 대형 교통사고 file 밴쿠버중앙일.. 22.01.13.
1239 캐나다 퀘벡주, 통금 및 개학 연기 등 새로운 COVID-19 규제 시행 file Hancatimes 22.01.13.
1238 캐나다 퀘벡주 낮은 어린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고민 file Hancatimes 22.01.13.
1237 캐나다 퀘벡주, COVID-19 격리 기간 감축 및 고위험군에게 우선 PCR 검사 진행 file Hancatimes 22.01.13.
1236 캐나다 퀘벡주 예정대로 17일부터 다시 대면 수업 재개 file Hancatimes 2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