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세대일수록 불안감 높아

입소스캐나다 조사보고서

 

캐나다 중앙은행이 지난 7월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후 캐나다인들이 금리인상 효과를 피부로 느끼기 시작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입소스캐나다는 23일자 금리인상 여론조사 보고서를 통해 35%의 캐나다인이 인상 효과를 이미 경험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9%의 응답자는 아주 강하게 느끼고 있고 27%는 어느 정도 느끼고 있다고 대답했다. 

 

응답자 40%는 만약 이율이 더 높아진다면 금융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 46%는 이율이 상승함에 따라 전보다 부채를 갚을 능력이 되는 지에 대해 걱정이 된다고 답했다. 28%의 응답자는 이자가 상승하면 혹시 파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금리인상이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72%는 더 주의깊게 지출을 해야 한다고 대답했다.

세대별로 밀레니엄 세대가 더 금리인상에 민감해서 40%가 기준금리 인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고 대답했다. 향후 더 이율이 높아지면 금융상황이 악활 될 수 있다고 느끼는 비율도 49%였다. 밀레니엄 세대의 38%는 금리인상으로 파산할 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반면 X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는 30%와 1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밀레니엄 세대는 금리인상이 어떻게 자신의 금융상태에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해 확실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캐나다인 전체로 보면 27%가 확실하게 이해하지 못한다고 대답한 반면 29%는 확실하게 이해한다고 대답했다.

 

이해부족을 보여주는 예로, 27%의 응답자는 현 상황에서 이자로 130달러를 추가 지불할 경우 이전보다 사정이 더 악화 될 것이라고 대답한 반면 16%는 은행금리가 1%포인트 증가하면 이전보다 더 악화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실제로 캐나다의 평균 모기지를 기초로 했을 때 둘 다 같은 액수에 해당한다. 즉 캐나다인은 액수와 %로 각기 다르게 나타났을 때 자신들이 부담해야 할 부채 증가 정도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 보고서의 분석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여름 휴가시즌이 지나면서 캐나다인은 월말에 잔액이 줄었다는 결과도 나왔다. 캐나다의 평균 월말 평균 잔액은 모든 비용과 부채 이자를 다 지불 후 743달러였다. 이는 기준금리가 인상되기 전 6월 말 평균 잔액이 892달러였던 것에 비해 149달러가 준 금액이다.

 

또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인 중 42%는 향후 1년간 추가로 빚지지 않고도 생활비나 가족의 지출을 감당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같은 비율로 월말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 200달러 이하라고 대답했다. 이중에 25%는 이미 단 한 푼도 여유돈이 없어 더 이상 공공요금이나 이자를 추가로 감당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향후 갑작스런 금융적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고 확신하는 캐나다인도 크게 줄어들어 오직 27%만이 향후 금리인상 등에 대응할 수 있다고 대답했다.

 

이번 조사는 9월 18일~21일까지 18세 이상 200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준오차는 ±2.5 %포인트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35 캐나다 코로나19, 북한 학자 지식교류 협력 온라인으로 추진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2.
1534 캐나다 2일 오전에만 메트로타운 곳곳 교통사고에 사망자 3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3.
1533 캐나다 버나비 15세 소년 3명의 여성 성폭행 혐의로 입건 밴쿠버중앙일.. 21.09.03.
1532 캐나다 9월 1일부터 12세 이하 BC 대중교통 무료 이용 시작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3.
1531 캐나다 연방 총선, 자유당과 보수당 초박빙의 승부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4.
1530 캐나다 BC주 일일 확진자 다시 800명 대 돌파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4.
1529 캐나다 9월 연휴 아직 BC주 산불은 진행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4.
1528 캐나다 캐나다 한인 인터넷 커뮤니티 송금/환전 사기 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8.
1527 캐나다 넬리 신 오차 범위 내 선두...재선 위해 한인 참여도 중요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8.
1526 캐나다 BC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인서 발급 웹사이트 7일 중 런칭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8.
1525 캐나다 월요일에 발생한 오류 지진 보고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9.
1524 캐나다 한국, 캐나다의 상호주의 파기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9.
1523 캐나다 몬트리올 응급실, 수용인원 초과 file Hancatimes 21.09.10.
1522 캐나다 1일부터 퀘벡주 ‘백신여권’관련 이모저모 file Hancatimes 21.09.10.
1521 캐나다 몬트리올, 폭력 예방을 위해 일하는 지역사회 단체에 500만 달러 지원 발표 file Hancatimes 21.09.10.
1520 캐나다 퀘벡주, 학생들의 정신건강 및 학업 성취도를 위한 계획 발표 file Hancatimes 21.09.10.
1519 캐나다 백신여권에 대한 몬트리올 지역 업체들의 엇갈린 반응 file Hancatimes 21.09.10.
1518 캐나다 주한 캐나다 대사관 백신 접종 완료 여행자 입국 안내 file 밴쿠버중앙일.. 21.09.10.
1517 캐나다 캐나다한국학교연합회 학술대회, 뜨거운 여름을 더 뜨거운 학구열로! file 밴쿠버중앙일.. 21.09.10.
1516 캐나다 9만 명 필수 인력과 유학생 영주권 신청 중 취업 자격 유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