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한우 가격 대비 저렴한 수입 쇠고기 소비가 늘어나고 있지만 캐나다산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매우 낮아 보인다.

 

한국의 소비자원이 수입 쇠고기 시장 및 유통실태 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캐나다산 쇠고기 경험률은 전체 응답자의 2.1%에 불과할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한국에서 외국산 쇠고기의 수입 및 소비 규모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수입쇠고기의 시장 점유율은 51.9%에서 2015년 54%, 그리고 작년에는 62.3%로 높아졌다. 

 

지난 7월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광역·특별시에 거주하는 수입쇠고기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소비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격’ 만족도가 5점 만점 중 3.84점으로 가장 높았고, ‘맛’(3.70점), ‘안전성’(3.52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전반적 만족도: 3.72점).

 

수입쇠고기를 주로 구매하는 소비자(471명)를 대상으로 수입쇠고기 구매이유에 대해 질문한 결과, 88.7%(418명)는 ‘가격’이라고 응답했다. 국내산 쇠고기를 주로 소비하는 소비자(223명)의 구매 이유는 ‘맛’이 75명(33.6%)으로 가장 많았고, 원산지(27.8%, 62명), 안전성(26.0%, 58명), 가격(11.2%, 25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만족하여 수입 쇠고기를 소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97.3%(973명)가 향후 수입쇠고기를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현재와 비슷한 규모(73.6%, 736명)로 구입하거나 더 많이 구매하겠다(23.7%, 237명)고 답변하였다. 

 

수입 쇠고기의 원산지별로는 호주산 소비 경험률 61.7%(617명), 미국산 소비경험률 30.7%(307명) 등 호주와 미국산이 전체의 92.4%(924명)를 차지하였고, 그 외 뉴질랜드산(5.5%, 55명), 캐나다산(2.1%, 21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수입육협회가 발표한 수입축산물 검사 기준 실적 보고서를 보면, 쇠고기의 경우 호주가 작년도에 전체 수입쇠고기의 49.1%인 총 1억 7753만톤으로 1위를 이어 미국이 1억 5318만톤(42.4%), 뉴질랜드가 2029만톤(5.6%), 그리고 캐나다가 556만톤(1.5%)이다. 캐나다는 올해 11월 상순까지 누계에서는 미국이 역전해 1억 4190만톤을, 호주가 1억 2929만톤을 기록했으며, 뉴질랜드가 1581만톤, 캐나다는 390만톤을 기록했다. 캐나다는 올 전체 수입쇠고기의 1.3%로 작년보다 0.2%포인트가 줄어들었다. 지난 2002년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이 중단되기 직전 수입량은 1만2000톤으로 전체 수입 쇠고기 시장의 4%로 아직 그때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원산지별 소비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 ‘가격’측면에서 미국산 소비경험자의 만족도가 3.90점으로 호주산(3.83점)보다 높았고, ‘맛’에서도 미국산 소비경험자 만족도(3.76점)가 호주산(3.70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맛과 가격측면에서 미국산 쇠고기 소비만족도가 모두 호주산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15 캐나다 연방조기 총선, 자유당 과반 의석 차지할까?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4.
1614 캐나다 A형 간염 감염 가능성 여러 브랜드 냉동 망고 리콜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4.
1613 캐나다 코로나19 대처 누가 누가 잘하나!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4.
1612 캐나다 BC주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마침내 15만 명 넘겨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5.
1611 캐나다 H-Mart, 밴쿠버장학재단에 2021년도 한인 장학기금 전달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5.
1610 캐나다 292곳에서 BC 산불 진행 중... 주말 비 소식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6.
1609 캐나다 BC 주의 영구 유급 병가에 대한 의견 수렴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6.
1608 캐나다 버나비시, 끈끈한 한국전 전우애 재 확인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6.
1607 캐나다 BC 코로나19 4차 대유행 고속 주행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7.
1606 캐나다 밴쿠버시 정해진 곳 이외 야외 음주 230달러 벌금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7.
1605 캐나다 트랜스링크, 다음에 오는 버스 빈 좌석 수도 알려줘! file 밴쿠버중앙일.. 21.08.07.
1604 캐나다 BC 보건당국, 센트럴 오카나간에서의 나이트클럽,술집 영업중단 및 집합 제한 시행 밴쿠버중앙일.. 21.08.10.
1603 캐나다 7월 BC주 전국 유일하게 취업률 대유행 이전 회복 file 밴쿠버중앙일.. 21.08.10.
1602 캐나다 BC주 다시 지역간 이동제한 조치가 떨어지나 file 밴쿠버중앙일.. 21.08.10.
1601 캐나다 캐나다 보건당국, 변종 바이러스에 의한 4차 웨이브 경고 file Hancatimes 21.08.11.
1600 캐나다 캐나다 정부, 코로나 팬데믹 관련 비지니스 지원 기간 연장 file Hancatimes 21.08.11.
1599 캐나다 퀘벡주와 몬트리올, 급증하는 총기 사건을 위해 새 부서 창설 file Hancatimes 21.08.11.
1598 캐나다 캐나다, 퀘벡주의 보육 시스템 강화를 위해 60억 달러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1.08.11.
1597 캐나다 퀘벡주, 백신 여권 시행 예정… 트뤼도 “연방 정부 근로자 백신접종 의무화 요구” file Hancatimes 21.08.11.
1596 캐나다 주말 지나며 BC 일일 확진자 200명 대로 감소 file 밴쿠버중앙일.. 2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