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를 통해 평창 겨울올림픽을 카운트다운하는 캐나다올림픽위원회 [사진=COC]

 

소치 올림픽서 러·미 담합 피해 의혹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러시아의 평창 겨울올림픽 참가 금지를 결정한 것과 관련, 캐나다가 IOC에 적극적으로 이를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캐나다올림픽위원회(COC)는 러시아 출전 불허가 발표된 당일 성명을 내 "IOC 결정은 깨끗하고 올바른 스포츠를 위한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COC는 공정한 경기를 위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고 견해를 밝혔다. 또 스포츠는 모두에게 공정한 규칙이 적용될 때 비로소 스포츠로 인정받는다며 이를 위한 기준은 제한 없이 적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COC는 러시아에 대한 강한 징계를 촉구해왔다. 러시아의 조직적인 도핑 파문이 확산되자 캐나다의 트리샤 스미스 IOC 위원은 지난 10월 도핑 의혹을 적극적으로 조사해 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우선 러시아의 출전 자격 정지라도 취하라고 IOC를 압박한 바 있다.

 

러시아 출전 금지를 끌어낸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캐나다인이 수장이다. 2016년 캐나다인 변호사 리처드 맥래런(LcLaren)이 이끄는 조사위원회는 2011년에서 2015년 사이 1000명이 넘는 러시아 선수가 조직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관리자는 도핑 사실을 은폐했다며 러시아가 국가적으로 개입한 정황을 공개하는 보고서를 몬트리올에서 공개했다.

 

캐나다는 2014년 소치에서 열린 겨울올림픽에서 러시아에 금메달을 내주고 은메달에 머문 기억이 있다. 이 과정에 잡음도 나왔다. 피겨 스케이팅 종목 경기가 치러지는 중간에 러시아와 미국이 금메달을 나눠 갖기로 밀약했다는 보도가 나온 것이다. 당시 프랑스 스포츠 전문지는 단체전에선 러시아가 금메달을 가져가고 아이스댄싱에서는 캐나다와 라이벌인 미국이 금메달을 가져가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와 미국은 극구 부인했지만 결과는 예상대로였다. 공교롭게도 두 경기 모두 캐나다가 은메달을 받았다.

 

러시아가 국가 자격으로 평창올림픽에 나가지 못하게 되면서 캐나다가 메달 수를 늘려 소치에서의 담합 피해 의혹을 갚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광호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35 캐나다 8월 써리로 오가는 스카이트레인 불편 예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7.
1634 캐나다 주말 BC 산불 상황은 나아졌을까?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7.
1633 캐나다 1980년대 이후 캐나다 청년 고용도 점차 악화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7.
1632 캐나다 다문화자문위원 반인종차별 관련 입법 촉구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8.
1631 캐나다 BC 산불 진압 위해 외국 소방관들 속속 입국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8.
1630 캐나다 29일부터 사흘간 밴쿠버 다시 고온 날씨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8.
1629 캐나다 퀘벡주 8월부터 “백신 복권” 시행 file Hancatimes 21.07.29.
1628 캐나다 퀘벡주 보건부, 마스크 착용 의무화 당분간 계속 유지한다고 밝혀 file Hancatimes 21.07.29.
1627 캐나다 트뤼도 총리, 원주민 기숙학교관련 수사 지원 밝혀 file Hancatimes 21.07.29.
1626 캐나다 캐나다, 8월 9일부터 외국인 관광객 규제 완화 file Hancatimes 21.07.29.
1625 캐나다 몬트리올, 8월 국경 개방에 관광산업 부흥 기대 file Hancatimes 21.07.29.
1624 캐나다 ”화이자 및 AZ 백신 접종완료 시, 델타 변이에도 여전히 효과적” file Hancatimes 21.07.29.
1623 캐나다 한국전 종전 기념일 및 캐나다 한국참전 용사의 날 행사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9.
1622 캐나다 BC 일일 확진자 수 2주도 안돼 다시 3배로 급증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9.
1621 캐나다 BC 하루가 다르게 크게 늘어나는 확진자 수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0.
1620 캐나다 한카문화산업교류재단, 올해 다문화 행사는 한국 전통 돌잔치 시연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0.
1619 캐나다 밴쿠버 무역관, 하반기 멘토링 프로그램 멘티 모집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0.
1618 캐나다 백신 접종 이동 버스 30일 트와슨 페리 터미널에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1.
1617 캐나다 마침내 BC주 일일 확진자 200명 대로...9월 정상화 물 건너 갈 듯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1.
1616 캐나다 캐나다 유럽계 다문화주의에 가장 부정적 file 밴쿠버중앙일.. 21.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