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정부는 원치 않는 임신을 할 우려가 있는 여성을 위해 낙태약을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주정부는 올해 공식 첫 공식 보도자료로 오는 1월 15일부터 임신중절약 ‘미페지미소(mifegymiso, 미페프리스톤·미소프로스톨 혼합 의약품)’ 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미페지미소 이미 2015년에 캐나다 보건부의 판매승인을 받은 바 있다.

 

미페지미소 임신중절 수술을 대신해 임신 초기에 낙태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약이다. 마지막 생리 후 9주 이내에 복용을 하면 효과를 볼 수 있는 이 약은 작년 7월 11일부터 BC주의 의약품 보험(PharmaCare)에 의해 무료로 제공됐지만 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없을 경우 300달러를 지급해야 했다. 

 

이런 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원치않는 임신을 한 여성을 위해 주정부는 합법적으로 비용 부담없이 미페지미소를 구매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 놓은 것이다. 약사들은 유효한 처방전을 소지한 초기 임산부에게 미페지미소를 지급할 수 있게 됐다. 처방전을 받기 위해서는 환자는 가정의 등을 방문해 초음파 검사를 받고 자궁외 임신(ectopic pregnancy)이 아니라는 확인을 받아야 한다. 

 

현재 해당 약은 BC주 어디에서나 얻을 수 있으며 재고가 떨어진 지역은 2일 이내에 받을 수 있다. 

 

캐나다 보건부도 지난해 11월 7일 해당 약의 처방에 관한 규정을 완화해 원치 않는 임신을 한 여성들이 몸에 좋지 않은 중절(낙태)수술 대신 약으로 중절을 할 수 있도록 편의를 도모했다. 알버타주의 경우 작년 7월에 이미 무료로 이 약을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 바 있다.

 

한편 현재 한국에서는 임신중절의 효능·효과로 허가된 의약품은 없다. 따라서 임신중절약 처방 자체가 불법이고 약 구매도 불법이다. 또 임신중절약이 성윤리나 생명경시적인 생각을 갖게 만든다는 반대도 많다. 반면에 여성의 신체적 자기결정권과 건강권을 위해 인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75 캐나다 밴쿠버, 정말 서울보다 살기 좋은 도시인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3.
1674 캐나다 밴쿠버영사관, 10월 16일 한국어능력시험 밴쿠버중앙일.. 21.07.14.
1673 캐나다 이번 주도 무사히...BC 주말 3일간 확진자 123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4.
1672 캐나다 버라드역 대대적인 보수공사 돌입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4.
1671 캐나다 오케이투어 본격적으로 록키투어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5.
1670 캐나다 코로나19 상황, 이젠 한국보다 캐나다가 더 안전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5.
1669 캐나다 넬리 신 의원, 에린 오툴 보수당 대표와 밴쿠버 사업가 고충 경청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1668 캐나다 밴쿠버 한인신협, 올해 세계한인의 날 포상 대상 후보로 선정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1667 캐나다 필수 인력 9만 명 및 유학생, 영주권 신청 중 취업 자격 유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1666 캐나다 7월 6일부터 백신접종 주기 4주로… 2차 접종 예약 재변경 가능 file Hancatimes 21.07.17.
1665 캐나다 200억 투자한 COVID Alert 앱 “결과는 여전히 기대에 못미쳐” file Hancatimes 21.07.17.
1664 캐나다 메리 사이먼, 원주민 출신 최초 캐나다 총독으로 임명 file Hancatimes 21.07.17.
1663 캐나다 퀘벡주 12일부터 상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및 이용객 제한 완화 file Hancatimes 21.07.17.
1662 캐나다 최근 캐나다에서 발견된 “람다 변이”에 대해 file Hancatimes 21.07.17.
1661 캐나다 퀘벡주 9월부터 “백신여권” 시스템 본격 도입 file Hancatimes 21.07.17.
1660 캐나다 수용 인원 제한 완화에 한시름 놓은 퀘벡주 소매업체들 file Hancatimes 21.07.17.
1659 캐나다 FDA, 얀센 백신 부작용으로 신경성 질환 가능성 언급 file Hancatimes 21.07.17.
1658 캐나다 캐나다, 개발도상국에 AZ 백신 1,770만 회분 기증...백신 구매 자금 지원도 file Hancatimes 21.07.17.
1657 캐나다 퀘벡주, 이전 COVID-19 감염자에게도 2차 백신 접종 허용 file Hancatimes 21.07.17.
1656 캐나다 12세 미만 어린이 COVID-19 백신접종은 언제쯤? file Hancatimes 21.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