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쿠버시의 사설 ​마리화나 판매업소. [사진=이광호 기자] 

 

美 연방법무 '법대로 단속' 지시...주정부와 갈등

加 합법 앞두고 연방·주 협의

 

연방 차원에서 기호용 마리화나 합법화를 결정한 캐나다와 달리 미국이 이를 두고 연방과 주정부 간에 큰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 연방법무부는 4일 주정부에 마리화나 관련 결정 재량권을 줬던 기존 정책을 폐기한다고 밝혔다. 주정부 차원의 마리화나 정책에 대해 연방 정부가 개입하지 않는다는 오바마 정부 당시 정책을 무효로 한 것이다. 

 

마리화나 산업 최대 시장이라는 캘리포니아주에서 기호용 마리화나를 재배하거나 사고팔 수 있게 된 지 나흘 만에 제프 세션스 법무장관이 연방검사들에게 내린 지시대로 연방기관이 단속하려 든다면 주정부와의 대립이 불가피하다. 흡연·건강권뿐 아니라 주정부의 세수와도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약물과 관련된 연방법은 어떤 이유로든 마리화나의 소유를 금지한다. 반면 절반이 넘는 29개 주에서는 의료용 목적의 마리화나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캘리포니아를 포함해 워싱턴, 오리건, 알래스카 등 태평양 연안 주와 콜로라도, 네바다, 매사추세츠, 메인주 등 8개 주는 기호용 마리화나 거래가 가능하도록 법에 정해져 있다. 마리화나 관련 형법을 없앤 주도 모두 22개 주에 달한다.

 

캐나다는 7월부터 기호용 마리화나 거래가 가능하다. 그 전까지는 의료용 목적으로만 마리화나를 접할 수 있는 것이 현행법이다. 그러나 디스펜서리라는 이름을 걸고 불법재배한 마리화나를 판매하는 곳이 시내 곳곳에 있어도 단속은 없다시피 하다. 적발해도 훈방으로 풀려날 뿐 아니라 곧 사문화될 법이라 집행할 근거가 약하기 때문이다.

 

캐나다는 연방 정부 차원에서 규제를 풀고 영업 허가와 단속 등 실제 관리는 기초자치단체에서 하면서 연방과 주정부는 거둬들일 세수 배분까지 조율을 마쳤다. 캐나다와 달리 주정부와 협의를 거치지 않는 미국의 향후 진행 방향에 관심이 집중된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광호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75 캐나다 밴쿠버, 정말 서울보다 살기 좋은 도시인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3.
1674 캐나다 밴쿠버영사관, 10월 16일 한국어능력시험 밴쿠버중앙일.. 21.07.14.
1673 캐나다 이번 주도 무사히...BC 주말 3일간 확진자 123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4.
1672 캐나다 버라드역 대대적인 보수공사 돌입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4.
1671 캐나다 오케이투어 본격적으로 록키투어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5.
1670 캐나다 코로나19 상황, 이젠 한국보다 캐나다가 더 안전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5.
1669 캐나다 넬리 신 의원, 에린 오툴 보수당 대표와 밴쿠버 사업가 고충 경청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1668 캐나다 밴쿠버 한인신협, 올해 세계한인의 날 포상 대상 후보로 선정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1667 캐나다 필수 인력 9만 명 및 유학생, 영주권 신청 중 취업 자격 유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1666 캐나다 7월 6일부터 백신접종 주기 4주로… 2차 접종 예약 재변경 가능 file Hancatimes 21.07.17.
1665 캐나다 200억 투자한 COVID Alert 앱 “결과는 여전히 기대에 못미쳐” file Hancatimes 21.07.17.
1664 캐나다 메리 사이먼, 원주민 출신 최초 캐나다 총독으로 임명 file Hancatimes 21.07.17.
1663 캐나다 퀘벡주 12일부터 상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및 이용객 제한 완화 file Hancatimes 21.07.17.
1662 캐나다 최근 캐나다에서 발견된 “람다 변이”에 대해 file Hancatimes 21.07.17.
1661 캐나다 퀘벡주 9월부터 “백신여권” 시스템 본격 도입 file Hancatimes 21.07.17.
1660 캐나다 수용 인원 제한 완화에 한시름 놓은 퀘벡주 소매업체들 file Hancatimes 21.07.17.
1659 캐나다 FDA, 얀센 백신 부작용으로 신경성 질환 가능성 언급 file Hancatimes 21.07.17.
1658 캐나다 캐나다, 개발도상국에 AZ 백신 1,770만 회분 기증...백신 구매 자금 지원도 file Hancatimes 21.07.17.
1657 캐나다 퀘벡주, 이전 COVID-19 감염자에게도 2차 백신 접종 허용 file Hancatimes 21.07.17.
1656 캐나다 12세 미만 어린이 COVID-19 백신접종은 언제쯤? file Hancatimes 21.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