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명의 대규모 아이스쇼 공연

다양한 민족 한마음으로 꾸민 무대

 

밴쿠버에서 한국의 평창평화올림픽을 바라는 모두의 마음을 담은 행사가 성대하게 치러졌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캐나다 밴쿠버협의회(회장 정기봉, 이하 민주평통 밴쿠버협의회)가 개최하는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기원하는 아이스쇼'가 지난 20일 오후 8시 30분부터 뉴웨스트민스터에 위치한 퀸즈파크 아레나에서 거행됐다. 이날 행사장에는 행사가 치러지기 2시간 전인 6시 30분 이전부터 관람객들이 입장해 높은 열기를 반영했다. 

 

같은 시간, 민주평통 밴쿠버협의회는 김건 주밴쿠버 총영사를 초청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위한 재외동포의 역할'이라는 제목의 통일강연회를 가졌다.

 

김 총영사는 "올해 초 북한이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한다고 나왔다"며 "북한이 병진정책을 쓰고 있지만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해봤자 안보도 보장이 안되고 경제도 힘들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까지 평화적인 대화로 설득해 가는 것이 한국 정부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김 총영사는 미국이 냉전시대 핵무기로 소련에 우위에 서려했지만 핵무기를 써야 하는 상황이 와도 결국 쓸 수가 없어 핵억지력이 실패했던 사례를 들었다.

김 총영사는 재외국민이 한반도 평화를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할 지에 대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 가장 강력하게 항의를 하고 제재를 한 나라가 캐나다"라며 "바로 캐나다에 우크라이나 이민사회가 크게 형성돼 있고 또 정치적으로 큰 목소리를 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주최측 추산으로 약 2000명이 자리를 한 가운데, 8시 30분부터 공식행사에 앞서 밴남사당의 탈춤과 북공연이 있었다.

이어 밴쿠버 협의회의 위원인 김지훈 변호사와 정성 변호사의 사회로 행사 공식 행사에서 정 회장은 세계가 모두 하나가 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희망한다는 환영사를 했다. 김 총영사는 주밴쿠버 통 시아오링 중국 총영사와 주밴쿠버 아사코 오카이 일본 총영사와 함께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2022년 북경 동계올림픽, 그리고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을 함께 기원하는 구호를 외쳤다.

연아 마틴 상원의원과 리차드 스튜어트 코퀴틀람 시장, 젝 프로제 랭리 타운십 시장이 나와 축사를 했다.

마지막으로 BC주에서 평창동계올림픽 홍보활동을 펼친 장민우 씨가 나와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소개의 자리를 가졌다.

 

본 아이스쇼의 첫무대는 유현아 코치로부터 피겨스케이팅을 받은, 한인어린이를 비롯한 캐나다의 차세대 피겨스케이팅 꿈나무들이 나와 그 동안 갈고 닦은 기량을 뽑냈다.

이어 올림픽 기를 들고 나온 데빗 깁슨 코치가 이끄는 선수들이 나와 화려한 개막 몸풀기 쇼를 보여줬다.

또 미카 커, 델라 윌림엄슨, 타랄린, 게디, 아니카 피네이가 동시에 나와 한무대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솔로 연기를 보여줬다.

이후 솔로 선수로 네오 트랜, 마호 하라다, 다이아나 홍, 씨에라 로리아, 데비드 리, 데본 널, 잔 드종, 에렌 창 등이 나와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페어팀으로는 애슬린 스테어즈와 리 로열, 미쿠 마키타와 타일러 구나라 등이 멋진 하모니를 보였다. 그리고 싱크로팀으로 아이스 X-퍽테이션, 사쿠라, 아이스엔젤스 팀들이 나와 멋진 군무를 보여줬다.

 

마지막 무대는 전 출연진이 대형 태극기와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기념 대형 현수막을 들고 나와 평화 올림픽을 위한 염원을 보여줬다. 2000여 관객도 자리에서 일어나 박수갈채를 보내며 멋진 무대를 축하했다.

 

(아이스쇼 현장 모습들은 밴쿠버 중앙일보 홈페이지(www.joongang.ca)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35 캐나다 7월 1일 한국 격리면제 대상서 비필수 목적 방문은 제외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8.
1734 캐나다 BC 초중고교 9월부터 등교 수업 정상화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8.
1733 캐나다 20일 한국전 추모 행사 오타와에서 거행...전국 온라인 중계 밴쿠버중앙일.. 21.06.19.
1732 캐나다 대중교통 이용 시 자전거 보관 편리해져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9.
1731 캐나다 올 가을이면 해외 여행 쉬워질까...연방, 백신 여권 도입 추진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9.
1730 캐나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완료자 ‘해외입국체계’ 국민 궁금증 5문 5답!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2.
1729 캐나다 평택시-캐나다대사관이 함께하는 캐나다문화주간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2.
1728 캐나다 캐나다, 7월 5일 이후 백신접종 완료 입국자 격리 면제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2.
1727 캐나다 영주권 확인서 소지자 캐나다 입국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3.
1726 캐나다 BC 위기 가구 대상 전기요금 보조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3.
1725 캐나다 트뤼도 총리, "미국과의 육로 오픈은 시기상조"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3.
1724 캐나다 메트로 밴쿠버 폭염, 얼마나 계속될까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4.
1723 캐나다 4월 육로 이동 캐나다 및 미국 거주자 여전히 낮은 수준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4.
1722 캐나다 밴쿠버 총영사관, 한국 직계가족 방문 격리면제 신청 접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4.
1721 캐나다 스마트팩토리 해외진출, ‘캐나다 기업과 함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5.
1720 캐나다 한-캐나다, 6·25참전 캐나다군 미수습 실종자 신원확인 양해각서 체결 밴쿠버중앙일.. 21.06.25.
1719 캐나다 설훈 의원, 우편 투표 허용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 발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25.
1718 캐나다 퀘벡주-온타리오주 국경 16일부터 다시 개방 file Hancatimes 21.06.25.
1717 캐나다 르고 주총리, "코로나19 감소 불구 단계별 접종 신중하게 완화해야" file Hancatimes 21.06.25.
1716 캐나다 퀘벡주, 종류 관계없이 2차 백신접종 예약 변경 가능 file Hancatimes 21.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