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먼튼 경찰과 폭력방지 단체에서 기금 사용 예정

 

 

news_img1_1517248832.jpg

사진출처: CBC  

 

 

앨버타 주정부가 젊은이들의 온라인을 통해 급진적 테러단체에 가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위해 연방정부로부터 4백만 달러를 배정 받았다고 아마짓트 소히(Amargeet Sohi) 인프라 및 커뮤니티 장관이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이 개발된 것은 지난 9월30일 트럭 공격 이전으로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다고 경찰 대변인이 밝혔으나 관계자들은 이 프로그램과 트럭 공격을 연계하고 있다. 
폭력 예방기구 (OPV)의 존 맥코이 (John McCoy) 이사는 "예방의 첫 걸음은 인식으로 적절한 사람들에게 이 문제를 알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적절한 사람들이란 부모와 교사, 급진화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사람들, 법 집행기관, 급진화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기관을 의미한다.
연방 공공 안전부 보도에 따르면 5 년 동안 약 220 만 달러가 에드몬튼 경찰에 보내져 급진 폭력 그룹의 근원인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청소년들의 급진화를 방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OPV는 앨버타에서 3 년간의 연구를 위해 별도의 120 만 달러의 지원금을 받게 될 것이며, 폭력적인 극단주의의 잠재적 인 출처를 지도하고 지역 사회 단체들과 파트너십을 맺을 예정이다.
맥코이 이사는 특히 급진적인 극단주의자 그룹의 오랜 역사를 가진 앨버타주의 급진화가 주요 이슈라고 지적했다.
"캐나다의 다른 대부분의 지방과 비교할 때 앨버타가 이 문제로 인해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토대로 우리가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소말리아 - 캐나다 공동체 지도자이자 이 단체의 공동 설립자인 아메드 압둘 카디르 (Ahmed Abdul kadir)는 특정 공동체나 집단을 목표로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증오심을 유발하는 모든 폭력은 다른 그룹이나 개인들로부터 온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에드먼튼 경찰서장 로드 넥트 (Rod Knecht)는 새로운 기금으로 경찰과 지역 사회 단체들에게 왜 젊은이들이 폭력적인 이데올로기에 이끌렸는지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부모, 교사 또는 학교 자원 봉사단은 폭력적으로 되기 전에 징조를 보여 있는 청소년들에게 개입 할 수 있다.
"우리가 십대 초 중반이었을 때 취약했던 그 때 기억이 난다. 우리는 삶을 통해 자신의 길을 발견하려고 노력했으며 사람들은 그것을 이용했다." 술회한 넥트 서장은 "소셜 미디어는 청소년 급진화의 큰 구성 요소"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감시를 피해 다니며 주류 사회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나는 이 프로젝트가 그들을 식별하고 그것을 이해하고 그들과 협력 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
기금 조달은 9 월 30 일 테러 용의자가 에드먼튼 경관을 자동차로 치고 재스퍼 애비뉴에서 행인을 트럭으로 치기 전에 칼로 공격한 사건이 생긴 후 한 달 후에 발표되었다. 
소말리아 난민 출신 압둘라 하산 샤리프 (Abdulahi Hasan Sharif) 는 2015 년에 "극단적 이데올로기"를 주장한다는 신고가 접수 된 후 연방경찰 조사를 받았으나 추가 조사를 요구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넥트 서장은 폭력을 방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이 이루어 졌다고 믿고 있다면서 "우리는 민주주의 사회를 살고 있다. 캐나다는 경찰 국가가 아니며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자원도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가능한 한 최선을 다해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면 최대한 많이 할 수 있다. 이 것이 프로젝트가 우리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어떤 경우에는 지역 사회 단체들과 보건 의료 제공자들이 극단주의자들의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는 누군가와 개입 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극단주의 수준과 위협 정도에 따라 경찰 개입이 될 수도 있다"고 그는 밝혔다. (오충근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55 캐나다 코로나19 환자, 당뇨병 걸릴 가능성 높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1754 캐나다 7월 1일 이후 한국 방문 계획 있다면 꼭 확인할 사항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1753 캐나다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모집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1752 캐나다 올 여름 밴쿠버의 또 다른 명소...선셋비치 공원의 팝업 플라자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1751 캐나다 대학교 및 세젭들, 백신 접종률 75% 이상이면 9월 대면수업 재개 file Hancatimes 21.06.17.
1750 캐나다 몬트리올 및 라발 지역 6월 7일부터 ‘주황색 구역’으로 변경 file Hancatimes 21.06.17.
1749 캐나다 캐나다 국립접종자문위원회, '백신 혼합 접종' 관련 지침 발표 file Hancatimes 21.06.17.
1748 캐나다 6월 3일부터 몬트리올 구 항구지역 자정에는 폐쇄 file Hancatimes 21.06.17.
1747 캐나다 퀘벡주, 9번째 AZ백신 희귀혈전 부작용 환자 보고 file Hancatimes 21.06.17.
1746 캐나다 퀘벡주 신학기 정상화 계획 중… 교사들은 여전히 오리무중 file Hancatimes 21.06.17.
1745 캐나다 퀘벡주 코로나19 백신접종 주기, 16주에서 8주로 단축 file Hancatimes 21.06.17.
1744 캐나다 퀘벡주 학생들, '교실내 마스크 착용'에서 해방 file Hancatimes 21.06.17.
1743 캐나다 퀘벡주 백신 접종 ‘Vaccin-O-Bus’ 운영 file Hancatimes 21.06.17.
1742 캐나다 퀘벡주 전 지역, 6월 14일부터 ‘황색’ 또는 ‘녹색’ 구역으로 변경 file Hancatimes 21.06.17.
1741 캐나다 캐나다 백신접종 완료자, 7월부터 ‘호텔 의무격리’ 면제...관광객은 제외 file Hancatimes 21.06.17.
1740 캐나다 퀘벡 주민들, 2차 백신 접종 예약 변경에 어려움 겪어 file Hancatimes 21.06.17.
1739 캐나다 BC주 15일 하루 2차 접종자 4만 4천 명 이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7.
1738 캐나다 밴쿠버 주민 환경부담 주차세 도입 여부 조사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7.
1737 캐나다 5억 넘는 해외금융자산 6월 30일까지 신고해야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7.
1736 캐나다 한국 국가경쟁력 23위... 그럼 캐나다는?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