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 만족도, 경기 침체 여파로 하락세

 

news_img1_1517858295.jpg

(사진: 캘거리 헤럴드) 

캘거리 시 연례 시민 만족도 서베이 조사 결과 캘거리 시민들이 시간이 갈수록 시의 재정운용에 불만이 높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 재산세 인상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 가량이 불만을 표시하며 서비스 축소로 이어지더라도 재산세 감면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해 8월부터 11월까지 캘거리 시민 성인 약 4천여 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응답자의 45%는 재산세를 줄이는데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지난 해 46%와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2015년에 36%에 비해서는 상당히 많은 수의 시민들이 캘거리 시의 재산세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응답자의 50%는 현재 공공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거나 확대하기 위한 세금 인상을 받아 들일 수 있다고 응답했다. 이 수치는 지난 해 보다는 소폭 증가했지만 2015년 59%보다는 상당히 하락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캘거리 시민들은 자신이 부담하는 세금 대비 공공서비스의 만족도 또한 조금씩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60%의 응답자가 만족스럽다고 응답했지만 지난 해 65%보다는 하락한 수치이다. 
Ward 12지역구의 셰인 키팅 의원은 “많은 사람들이 재산세 감면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실제 공공서비스가 축소될 경우 시민들의 대답은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시민들은 세금 감면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믿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실제 대중교통 운행이 줄어 들 경우 큰 불편을 느끼게 된다”라며 시민 만족도 조사 결과를 나름대로 분석했다. 
캘거리 시는 지난 해 시 유보자금을 이용해 세금을 동결한 이후 향후 2년에 걸쳐 3.8%의 재산세 인상을 승인했다. 
캘거리 시민들은 대체적으로 캘거리의 삶에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해와 동일하게 응답자의 35%는 대중교통 인프라를 시의 최우선 해결 과제로 지적했다. 
넨시 시장은 “시민 만족도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시민들이 캘거리의 삶의 질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부문이 64%로 자전거 전용 레인으로 나타났다”라며 상당한 만족감을 나타냈다. 
재산세 부문에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60% 이상의 응답자들이 공공 서비스 확대를 원하고 있는 만큼 시민들의 세금을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넨시 시장은 “2015년 80%의 만족도에서 지난 해 65%로 하락한 것은 국제 유가 폭락 이후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시의 핵심과제 또한 일자리와 경제 회복이다. 앨버타 전체 경기가 살아 나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캘거리 시의 경제도 큰 반등을 보일 것으로 본다”라고 밝혔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75 캐나다 쌍둥이 자매, '환상적인' 음주운전 적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1774 캐나다 BC 중소기업회복 보조금 신청 마감 임박...7월 1일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1773 캐나다 캐나다 고용회복 프로그램 6일부터 11월 20일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1772 캐나다 캐나다 8월 말까지 화이자 백신 매주 200만회분 공급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1771 캐나다 주토론토총영사관 일반직 행정직원 채용 중 밴쿠버중앙일.. 21.06.08.
1770 캐나다 최근 내 주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는?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8.
1769 캐나다 일본·IOC 독도 도발 속 밴쿠버 차세대는 '독도 사랑'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9.
1768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전세계 한글학교와 ‘찾동’ 화상간담회 시행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9.
1767 캐나다 코로나19 대유행 속 밴쿠버의 현충일 66주년 행사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9.
1766 캐나다 병적증명서, 나라사랑 전자우편 인증 후 온라인 발급 가능 밴쿠버중앙일.. 21.06.10.
1765 캐나다 주캐나다한국문화원, 영화 <69세> 온라인 상영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0.
1764 캐나다 존 호건 BC주 수상, 온타리오 무슬림 가족 테러에 비판 성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0.
1763 캐나다 중국계 젊은 캐나다인 인종차별 경험 높아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1.
1762 캐나다 늘푸른 장년회, 차세대 사업 본격 추진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1.
1761 캐나다 버나비RCMP, 불법 마약 범죄자 체포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1.
1760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과 MOU 체결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
1759 캐나다 한국 청년 해외진출, 밴쿠버 등 전 세계 '케이 무브' 센터에 길이 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
1758 캐나다 버나비 학생을 분노케 한 뉴라이트식 왜곡 역사시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
1757 캐나다 몬트리올 영사관, 반아시아 혐오 및 인종주의 대응 언론회견 참석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1756 캐나다 백신 접종자 7월 1일부터 한국 방문 때 격리면제 방침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