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버타와 B.C주정부, 모두 물러설 수 없는 상황

 

news_img1_1519670285.jpg

 

트랜스마운틴 사태를 두고 앨버타와 B.C주의 갈등이 점점 더 심각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는 양 주의 집권당의 정치적 사활이 걸린 이슈가 되어 어느 한 쪽도 물러설 수 없는 싸움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B.C주 존 호간 NDP정부는 소수 정당으로 녹색당과 연정을 통해 집권했으며 파이프라인 반대를 총선 핵심 공약으로 제시하며 정권을 창출했다. 2016년 트뤼도 연방정부의 트랜스마운틴 파이프라인 승인에도 불구하고 B.C주 버나비 시의 행정 승인 지연, B.C주정부의 오일 누출 연구 등 파이프라인 좌초를 위한 매우 치밀한 방법을 사용하며 저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B.C주 존 호간 NDP정부는 자신들의 공약을 취소할 경우 연정 와해 등의 심각한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뒤로 물러설 틈이 없다. 
앨버타 노틀리 주정부 또한 내년 2019년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트랜스마운틴에 대한 포기는 정권 재창출 포기나 다름 없는 사형선고이기 때문에 한 치의 양보나 물러서는 모습을 앨버타 시민들에게 보여서는 안되는 중차대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양측 모두 배수의 진을 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트뤼도 연방정부의 승인이나 결정이 현재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주 NEB가 트랜스마운틴 터널 입구 일부 공사 시행을 결정했지만 B.C주나 버나비 시는 미동도 하지 않으며 항소의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노틀리 주정부는 B.C주에 대해 전력 구매 협상 중단과 B.C주 와인 전면 수입금지 조치를 시행하고 추가로 더욱 강력한 경제 보복조치를 강구하고 있다며 B.C주를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방정부 또한 양측의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강온전략을 구사하고 나섰다. 현재 B.C주정부와 트랜스마운틴 사태 해결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는 동시에 지난 주 B.C주와 연방정부간의 차일드 케어 예산 지원 기자회견을 급작스럽게 취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방정부는 기자회견 취소에 대해 “트랜스마운틴 사태와 연관이 없다”라고 밝혔지만 B.C주와 연방정부는 약 1억 5천 백만 달러의 예산 지원에 대한 합의를 한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궁금증이 일고 있다. 
이런 와중에 B.C주 야당인 자유당이 “파이프라인 논쟁은 결국 수 많은 B.C주 시민들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며 앨버타와 연방정부의 대B.C주 보복조치를 우려하고 나섰다. 자유당 앤드류 윌킨스 리더는 “B.C주를 향한 앨버타와 연방정부의 제재조치가 기다리고 있다. 앨버타와 연방정부는 모두 부인하고 있지만 그들의 움직임은 이미 B.C주를 향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B.C주 존 호간 주정부는 이번 트랜스마운틴 사태를 장기화하는 전략을 사용하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다. 앨버타 노틀리 주정부와 연방정부, 그리고 B.C주정부가 정치적 사활이 걸린 싸움을 벌이고 있는 형국이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35 캐나다 캘거리 눈 폭탄 이후 40중 충돌 사고 발생 CN드림 18.02.21.
4434 캐나다 B.C와인 수입금지 조치에 비즈니스 업계 우려 표명 CN드림 18.02.21.
4433 캐나다 고급 인력 부족한 BC, 빈 자리 장기간 공석 밴쿠버중앙일.. 18.02.22.
4432 캐나다 작년 한인 방문자 29만4000명 밴쿠버중앙일.. 18.02.22.
4431 캐나다 주민 1만명 항의에 '공원 주차비 축소' 밴쿠버중앙일.. 18.02.22.
4430 캐나다 건강보험료 내년말이면 끝 밴쿠버중앙일.. 18.02.22.
4429 캐나다 연방 보수당, 한인실업인 목소리 경청 밴쿠버중앙일.. 18.02.22.
4428 캐나다 캐나다 거주 한인은 과연 몇 명일까?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7 캐나다 자녀 둔 포스트세컨더리 학생 보조금 확대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6 캐나다 이번 추위 언제까지 가나?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5 캐나다 밴쿠버에서 피아노 배웠다면 이 얼굴 주목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4 캐나다 NHL선수 빠져도 준결승 진출 밴쿠버중앙일.. 18.02.23.
4423 캐나다 독립 채비 갖춘 하이틴 증가 밴쿠버중앙일.. 18.02.24.
4422 캐나다 작년 BC 찾은 한인 11만 2127명 밴쿠버중앙일.. 18.02.24.
4421 캐나다 BC-알버타 갈등에 퀘벡은 누구 편? 밴쿠버중앙일.. 18.02.24.
4420 캐나다 한인 젊은이 교통사고 사망 밴쿠버중앙일.. 18.02.24.
4419 캐나다 밴쿠버 한국 어린이 세계 로봇 대회 참가 밴쿠버중앙일.. 18.02.24.
4418 캐나다 "한국과 다른 교통법 꼭 숙지해야" 밴쿠버중앙일.. 18.02.24.
» 캐나다 트랜스마운틴 사태, 정치적 사활 걸린 싸움 CN드림 18.02.27.
4416 캐나다 앨버타, 마리화나 판매점 250개로 시작한다 CN드림 1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