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영사관 브라운백 환율 세미나

RBC 애론 리 투자컨선턴트 전망 

 

주밴쿠버총영사관(김건 총영사관)이 주최하는 브래운백 행사가 올해 두번째로 26일 오후 12시 총영사관 회의실에서 RBC의 애론 이 투자컨설턴트가 나와 '캐나다 환율, 그것이 알고싶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됐다. 

 

작년부터 시작된 브라운백 세미나는 부동산 전망, 빅데이터, 디지털 미디어 등의 주제로 진행됐으며, 올해 첫 행사는 캐나다 역사에 대한 인문강좌로 시작했다.

  

한국에서 태어나, 호주, 캐나다, 중국 등에서 생활했고 미국과 캐나다 금융회사에서도 오랜 기간 투자전문가로 경력을 가진 애론 이 투자컨설턴트는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10년이 됐다며 강의를 시작했다.

2008년 이후 미국은 주식시장이 2배 이상 성장한 반면 한국은 40% 회복을 캐나다는 10-20% 회복을 할 정도로 회복과 성장에서 나라별로 큰 차이가 났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삼성전자가 코스피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대기업에 집중돼 있지만 삼성전자보다 3배나 규모가 큰 애플은 미국주식 시장에 3.8%에 불과하다며 금융시장의 펀드멘탈에 대한 기본적인 안정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 투자컨설턴트는 캐나다는 자원과 금융 두 개가 전체 경제를 이끌고 가는데 현재 세계의 원자재 가격 폭락으로 금융이 혼자서 이끌고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올해말까지 캐나다 달러는 미 달러대비 78센트에서 82센트 사이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그 이유로 아직 원자재 가격이 완전회복되지 못했기 때문이고, 향후 1-2년이 더 걸린다고 내다봤다. 

 

이 투자컨설턴트는 한국 원화에 대해서는 더 박하게 전망했다. 한국의 원화가 다른 화폐들에 비해 작년에 너무 가치가 높게 올랐기 때문에 고점을 찍었다고 봤다. 특히 삼성전자의 비중이 높듯 전자기기에 많이 의존하는데 중국 시장에 대한 수출도 이제 정점에 달해 증가세가 둔화된다고 봤다.

 

건설투자도 저조해 부동산에 의한 경제 성장도 한계가 있어 결국 호재가 없어 원화가 연말까지 캐나다 달러대비 960원으로 조정된다고 예상했다. 미 달러 대비해서는 올해말까지 1130원, 내년에 1160원으로 내다봤다.

 

이 투자컨설턴트는 세계 경기가 상황에 따라 부침이 심하기 때문에 투자자산도 오르고 내릴 수 밖에 없고 그래서 20개 이상 분산투자를 해서 내리는 투자자산이 있을 때 오르는 투자자산으로 비중을 높이는 등 위험도 분산하라고 조언했다.

  

한편 총영사관이 주최하는 차기 브라운백 세미나는 3월말이나 4월 초 3D프린팅을 주제로 열릴 예정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55 캐나다 BC 유급 병가 최대 3일, 하루 200달러까지 보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2.
1854 캐나다 일일 확진자 수 감소세 뚜렷, 사회봉쇄도 풀릴 징조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2.
1853 캐나다 밴쿠버공항 총격 사망자 28세 남성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2.
1852 캐나다 진미식품 노인회에 김치 60병 전달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3.
1851 캐나다 2021 재외동포 국내교육과정 2회차 모집 안내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3.
1850 캐나다 BC주 최초 여행금지 행정명령 위반 575달러 벌금 부과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3.
1849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골프는 같은 집에 사는 사람끼리만 라운딩 가능 - 독신자는 지인 두명까지 칠수 있어 CN드림 21.05.13.
1848 캐나다 퀘벡주, 이번 가을학기부터 많은 대학생들이 다시 학교로 복귀하길 희망 file Hancatimes 21.05.13.
1847 캐나다 퀘벡 주총리, ‘향후 몇 주’이내에 일부 제재 완화 예정 file Hancatimes 21.05.13.
1846 캐나다 COVID-19 드라이브 스루 백신접종소, 5월 17일에 몬트리올 트뤼도 공항에 개장 file Hancatimes 21.05.13.
1845 캐나다 캐나다, 12~15세 청소년들에게 화이자 백신 사용 승인 file Hancatimes 21.05.13.
1844 캐나다 캐나다, AZ백신 희귀혈전 부작용으로 또 2명 사망 file Hancatimes 21.05.13.
1843 캐나다 캐나다, G20와 협력하여 백신 여권 추진 file Hancatimes 21.05.13.
1842 캐나다 퀘벡주와 캐나다, 사회주택 리모델링을 위해 1억 달러 투자 file Hancatimes 21.05.13.
1841 캐나다 퀘벡주 백신 접종 12~17세 청소년으로 확대 file Hancatimes 21.05.13.
1840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 전문가 간담회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4.
1839 캐나다 그레이하운드 캐나다 국내 버스 운행 사업 영구 철수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4.
1838 캐나다 백신 여권 미국인보다 캐나다인이 더 지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4.
1837 캐나다 20여 년 전 한인 청소년 죽음...현재 연이은 총격 살인과 맞닿아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5.
1836 캐나다 버나비 또 13일 총격살인 사건 발생..2명 중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