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코퀴틀람 센턴 인근 아파트촌 모습(밴쿠버중앙일보 DB)

 

매물 대비 거래 건 수 하락세

다세대 가격 상승폭 더 커

 

 

2월 메트로밴쿠버지역의 주택거래가 10년 래 2월 평균 거래 건 수보다 줄어들었지만 가격은 탄성에 의해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갔다.

 

밴쿠버부동산협회(Real Estate Board of Greater Vancouver, REBGV)가 발표한 2월 주택거래 통계에 따르면 총 2207 채가 거래돼 작년 동기대비 9%가 감소했다. 이는 지난 10년간 2월 평균 거래 건 수에 비해 14.4%나 낮은 수치다.

주택 형태별로 보면 전국에서 가장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단독주택이 지난 10년간 2월 평균 거래 건 수에 비해 39.4%나 낮았다. 반면 타운하우스와 같은 다세대는 6.8%, 그리고 아파트는 5.5%가 높았다.

 

REBGV의 질 아우딜 대표는 "이자 상승과 까다로워진 모기지 대출 조건이 구매력을 약화시켰다"고 분석했다.

 

2월에 메트로밴쿠버의 MLS에 신규 매물로 등록된 주택은 총 4223개로 작년에 비해 15.2%나 늘어났다. 이에 따라 2월 현재 매물로 나온 총 주택은 7822채이다. 이는 작년 2월에 비해 3%나 늘어난 수치다.  

 

이렇게 매매는 줄었지만 매물은 증가하면서 매물 대비 실제 거래가 성사된 비율이 28.2%이었다. 주택 형태별로 보면 단독주택은 13%로 10채가 매물로 나오면 1채가 팔리는 셈이다. 타운하우스는 37.6%, 그리고 아파트는 59.7%였다.

 

REBGV는 매물 대비 거래 건 수가 12% 이하일 때는 주택가격이 하락하지만 20%대는 아직 가격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단독주택의 2월 벤치마크 가격은 160만 2000달러로 작년 동기대비 8.2%가 상승했다. 아파트는 68만 2800달러로 27.2%가, 다세대는 81만 9200달러로 18.1%가 각각 상승했다.

 

써리 등 프레이져강 이남 지역을 관할 하는 프레이져밸리 부동산협회(FVREB)가 내 놓은 통계는 REBGV 거래 건 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프레이져밸리 지역 2월 거래량은 1358 건으로 작년 2월보다 0.8% 감소했다.

 

그러나 주택 형태별로 보면 REBGV와는 정반대로 움직였다. 작년 2월과 비교해서 단독주택이 6.7% 거래가 증가한 반면 타운하우스는 8.9%, 아파트는 3.1%가 감소했다. 그러나 타운하우스가 336건, 아파트가 379건으로 전체 거래량의 52%를 차지했다.

 

매물은 전달에 비해 9.5% 증가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해서는 6.6%가 감소했다. 반면 신규 매물은 작년 동기 대비 5.6%가 증가한 2293채를 기록했다.

 

아파트는 매물로 나온 지 13일, 타운하우스는 16일 걸리는 반면 단독주택은 38일이 평균 소요됐다.

 

단독주택의 벤치마크 거래가는 99만 2100달러로 작년 2월에 비해 15.7%가 상승했다. 타운하우스는 53만 1000달러로 25.4%가, 아파트는 42만 2300달러로 46.7%가 각각 급등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75 캐나다 12-15세 청소년도 화이자 백신 접종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6.
1874 캐나다 몬트리올시 “연방 예산안 몬트리올 경제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 Hancatimes 21.05.06.
1873 캐나다 45세 이상의 퀘벡 주민 “AZ백신 접종 가능” Hancatimes 21.05.06.
1872 캐나다 퀘벡주 4개 지역, 경찰 바디캠 시범 프로젝트 참여 Hancatimes 21.05.06.
1871 캐나다 COVID-19 백신 당일 예약을 찾는 웹사이트 “Vaxstat.ca” Hancatimes 21.05.06.
1870 캐나다 퀘벡주 세접들 입학 수준이 점점 높아져…높은 성적은 받은 학생들도 불합격 부지기수 Hancatimes 21.05.06.
1869 캐나다 AZ백신 연령 제한이 주마다 다른 이유는? Hancatimes 21.05.06.
1868 캐나다 퀘벡주 ‘만성질환 및 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도’ 백신 접종 Hancatimes 21.05.06.
1867 캐나다 5월 3일부터 몬트리올 및 라발지역 통행금지 다시 오후 9시 30분으로 변경 Hancatimes 21.05.06.
1866 캐나다 퀘벡주, 4월 30일부터 일반인 백신 접종 예약 file Hancatimes 21.05.06.
1865 캐나다 6일부터 BC RCMP 지역간 이동제한 자동차 검문검색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7.
1864 캐나다 백주 대낮 아시아계 일가족 연달아 인종혐오 공격 당해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7.
1863 캐나다 11일부터 40세 이상 백신접종 예약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7.
1862 캐나다 BC 최초 코로나19 백신 혈전 환자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7.
1861 캐나다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순회 사진전 6월 오타와에서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8.
1860 캐나다 4월 버나비 코로나19 행정명령 불이행 티켓 27건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8.
1859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이번에 중남미대상 '찾동' 화상 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1.
1858 캐나다 ‘수출새싹기업’ 202곳, 지원사업 통해 2년간 945만 달러 수출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1.
1857 캐나다 문화원, 신규 한식 웹툰 “곰곰이의 한식 여행” 연재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2.
1856 캐나다 밴쿠버총영사관 '포스트코로나시대 청소년을 위한 리더십' 무료특강 file 밴쿠버중앙일.. 21.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