Éduc'alcool은 지난주 라발에서 숨진 14세 소녀의 사망원인이 알콜성분이 함유된 에너지 드링크 섭취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관련법안을 강화해달라며 캐나다 보건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이번에 숨진 Athena Gervais 양에 대한 정확한 부검결과가 아직 나오지는 않았지만 그녀는 친구들과 함께 점심시간을 이용해 학교에서 빠져 나와 Provi-Soir 매장에서 알콜이 함유된 FCKD UP 음료를 몇 개 훔쳐 나누어 마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Provi-Soir의 본사인 Couche-Tard측은 FCKD UP 음료의 철수를 결정한 가운데 금요일 저녁 성명을 통해 해당제품의 판매가 합법적으로 허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건의 심각성을 인식해 자사의 매장에서 더 이상 취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FCKD UP 음료 판권 소유자인 Aldo Geloso은 희생자 가족에게 위로의 뜻을 전하는 한편 매장에서 음료의 철수방안 및 제품의 홍보전략에 관해 전면적인 검토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미성년자들이 해당음료의 구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관련규정을 강화해 달라고 관계당국에 촉구하였다.

Éduc'alcool의 총책임자 Hubert Sacy은 전문가들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하는 이 제품에 대해 지금이야말로 연방정부가 나서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 음료 한 캔에는 술 4잔 정도의 알콜이 함유되어 있으며 카페인을 다량 함유한 guarana 성분으로 인해 술에 취했다는 자각을 하지 못하게 된다고 Santé Canada는 경고하고 있다. 따라서 M. Sacy는 연방정부가 이 음료에 대한 규정을 한층 강화해야 하며 음료에 포함된 알콜 성분을 낮추고 상품디자인을 덜 자극적으로 제작하도록 요청하고 나섰다. 그는 이 음료를 일반 편의점이 아닌 Sociétés des alcools du Québec (SAQ)에서 취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매주 주말 응급실에 가서 이 음료때문에 병원신세를 지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확인해 보라”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이번 비극적인 사건을 계기로 이 음료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캐나다 보건부는 본지 La Presse에 보낸 서신을 통해 알콜 에너지음료의 판매 및 규제는 전적으로 주정부의 재량에 달려 있다고 전하며 이미 퀘벡 정부와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고 알려왔다.

캐나다 보건부의 공보관 Éric Morrissette에 따르면 알콜음료가 시장에 출시 전 Santé Canada 의 허가를 취득해야 하는 의무는 없으며 제품에 관련된 식품위생 의무조항을 따른다면 합법적으로 판매하는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퀘벡 보건부 역시 홈페이지를 통해 알콜 에너지음료는 술에 대한 자각증상을 흐리게 하여 마실 경우 술에 취하지 않고 멀쩡하다고 느끼기 쉽지만 이는 음료에 포함된 에너지 드링크성분 때문이라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15 캐나다 러시아와 중국이 백신 외교에서 미국을 제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입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2.
1914 캐나다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 대부분 찬성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2.
1913 캐나다 뉴웨스트민스터, 청소년 30명 패싸움에 자상 피해자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2.
1912 캐나다 한국방문계획 있다면 꼭 알아보고 떠나야 할 사항들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3.
1911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김 이사장, "진정한 공공외교 세계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3.
1910 캐나다 21일 오전 랭리 스포츠플렉스서 살인사건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3.
1909 캐나다 통행금지 반대시위로 6명 체포 및 192명에게 벌금 발부 Hancatimes 21.04.23.
1908 캐나다 에어캐나다, 연방정부와 합의안을 통해 59억 달려 지원계획 발표 Hancatimes 21.04.23.
1907 캐나다 퀘벡주 총리, 젊은이들에게 COVID-19 관련 ‘규칙을 존중’하라고 강조 Hancatimes 21.04.23.
1906 캐나다 퀘벡주, COVID-19 확산 통제를 위해 야외 마스크 규칙 변경 Hancatimes 21.04.23.
1905 캐나다 퀘벡주 여성, 캐나다에서 최초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관련된 혈전 발견 Hancatimes 21.04.23.
1904 캐나다 일부 전문가들, “COVID-19 백신 접종 속도를 높어야 할 때”라고 강조 Hancatimes 21.04.23.
1903 캐나다 퀘벡주, 장기요양센터에 대한 새로운 정책 목표 설정 Hancatimes 21.04.23.
1902 캐나다 캐나다 보건부 "AZ백신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 혈전 위험성도 낮아" file Hancatimes 21.04.23.
1901 캐나다 BC 코로나19 입원환자 또 다시 최고 기록...비응급 수술들 연기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4.
1900 캐나다 한국 외국인 토지 중 외국 국적 한인이 56%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4.
1899 캐나다 23일, 60세 이상 백신 접종 예약 시작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4.
1898 캐나다 2021 재미한인장학기금 캐나다 한인장학생 선발 밴쿠버중앙일.. 21.04.27.
1897 캐나다 BC주정부 여행 제한 조치 한글 안내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7.
1896 캐나다 캐나다서 한국행 비행기 탑승 거부...외항사 직원 때문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