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 소사이어티 커리어컨퍼런스 

다양한 기관 행사 후원

여러 분야 멘토와 만남

 

밴쿠버 사회에서 가장 오래 된 한인 차세대 그룹 C3의 주요 연례 행사인 한인 선배와 차세대와의 만남 행사가 많은 관심 속에 치러졌다.

 

C3 소사이티(회장 티나 랭포드)의 제 11회 커리어 컨퍼런스가 지난 17일 오전 10시부터 SFU 하버센터에서 열렸다.

 

올해 행사 후원은 TD은행이 파트너로 그리고 한인신협, H 마트, VCAD(Visual college of Art and Design)이 플래티넘 후원사로, 그리고 심슨토마슨앤어소시에이션 법무법인이 다이아몬드 후원사로, Sprake Song & Konye와 Mackenzie Fujisawa 법무법인이 골드 후원사로 지원을 했다.

 

이날 행사장에는 김건 총영사와 TD은행의 코퀴틀람 지점 에릭 김 매니저 등이 함께 해 참석자들을 격려했다.

 

이번 행사에서 12년 전 SFU 한인학생회 하나다의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C3소사이티가 설립될 때 함께 했던 안젤라 옥 창립회원이 나와 C3의 역사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 총영사는 캐나다의 한인으로 각자가 누구인지 먼저 정체성을 찾고 자기개발을 하자는 내용의 축사를 했으며 천 회장은 C3소사이티가 순수 자원봉사자 단체로 많은 한인 차세대의 자발적인 참여로 운영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오전 행사의 마지막 순서로 에밀리카에서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학부에 재직 중인 김우남 교수가 나와 기조연설을 하는 시간 등을 가졌다.

 

이날 행사는 오후에 인터뷰와 네트워킹, 그리고 직업 찾기 등 3개의 워크숍이 나뉘어 진행됐다. 

 

그리고 오후 2시부터는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활동 중인 선배 멘토들이 나와 캐나다에서 전문직업을 가지려는 한인 후배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직접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다. 

 

C3소사이티는 세컨더리에서 대학교 재학중인 한인 차세대를 위한 커리어 컨퍼런스와 함께 매년 초등학생 이하를 대상으로 한 캠프코리아를 여름방학 동안 진행하며 한인 차세대의 정체성과 사회지도자로의 능력을 함양하는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35 캐나다 BC주민 소득 신고, 혼자 힘으로 해결 63%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5.
1934 캐나다 필수 인력-유학생 9만 명, 영주권 우선 부여 기회 준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5.
1933 캐나다 전문가들 몬트리올에도 추가적인 제재 요구 Hancatimes 21.04.15.
1932 캐나다 55세 이상의 퀘벡 주민, 4월 8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가능 Hancatimes 21.04.15.
1931 캐나다 몬트리올 및 다른 적색구역, 다음주부터 규제 강화 Hancatimes 21.04.15.
1930 캐나다 퀘벡주, 직장 근무시 의료용 마스크 착용 의무화 Hancatimes 21.04.15.
1929 캐나다 몬트리올 필수 근로자들, 4월 9일부터 백신 접종 예약 가능 Hancatimes 21.04.15.
1928 캐나다 코로나19 확산 퀘벡주 일부 지역 패쇄조치 연장, 통금 시간 되돌려 file Hancatimes 21.04.15.
1927 캐나다 BC주 응급상황조치 13개월도 넘겨...27일까지 또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6.
1926 캐나다 써리RCMP, 월리 모델 총격사건 조사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6.
1925 캐나다 살다보니 ICBC가 보험금 리베이트도 주네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6.
1924 캐나다 BC주 응급상황조치 13개월도 넘겨...27일까지 또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7.
1923 캐나다 강력한 접촉 차단 없으면 확진자 2배로 급증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7.
1922 캐나다 주밴쿠버총영사관 민원예약 절차 일부 변경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7.
1921 캐나다 이번에는 모더나 백신 공급 차질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0.
1920 캐나다 이틀 연속 코로나19 감염 중 환자 1만 명 넘겨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0.
1919 캐나다 경상 교통사고 재판으로 가거나 최대 5만 달러까지 받거나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0.
1918 캐나다 2살 이하 어린이 코로나19로 BC주 최연소 사망 밴쿠버중앙일.. 21.04.21.
1917 캐나다 사회봉쇄 강화조치 5월 24일까지 다시 연장 밴쿠버중앙일.. 21.04.21.
1916 캐나다 코퀴틀람 라파지레이크 공원서 총격 살인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