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 당시 터키군 한국 고아 소녀 이야기

28일 오후 5시 30분... 무료

버나비 마이클 J 폭스 극장

 

 

주밴쿠버총영사관(김건 총영사)은 터키총영사관과 공동으로 한국전에 참전한 터키군과 한국 고아 소녀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 '아일라(Ayla)' 를 버나비시 후원으로 무료로 상영한다고 밝혔다.

 

상영일은 오는 28일 오후 5시 30분부터 8시 55분까지이며, 상영장소는 버나비의 마이클 J. 팍스 극장(7373 Macpherson Ave.)이다. 

 

영화는 한국 전쟁의 폐허 속에 터키 참전 군인 '슐레이만'은 고아로 남겨진 어린 소녀를 발견하고, 목숨을 걸고 소녀를 자신의 부대로 데려오는 내용으로 시작된다. 영화 제목 '아일라'는 슐레이만이 소녀에게 두 사람이 만났던 그날 유난히 밝았던 달을 떠올리며 지여준 이름인 터키어로 '달'이라는 뜻이다.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이 영화는 터키-한국 수교 60주년 기념으로 양국이 공동 제작한 작품으로, 2017 터키-한국 문화의 해를 기념하여 작년 10월 27일부터 3일간 서울에서 열린 '터키영화제'의 개막작으로는 상영됐다.  

 

이 영화에 앞서 MBC 다큐멘터리 '아일라-푸른 눈의 병사와 고아 소녀' 편을 통해서도 소개된 실화다.

 

총영사관은 이번 한국과 터키 영사관의 공동 영화 상영을 위한 공식 행사로 양 국 관계자 등의 리셉션 등도 있을 예정이고 영화 상영 후에는 감독과의 질의 응답 시간도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총영사관은 이보다 4일 앞선 24일 오후 1시에 UBC(UBC Liu Institute Multipurpose Room)에서 BC주 한국어 말하기 대회가 개최된다며 한인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들만이 참여하는 이 대회에는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뉘어 경합을 벌인다. 이와 함께 한국을 알리는 홍보동영상과 K-POP 공연 등으로 한국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심는 기회가 될 예정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35 캐나다 BC주민 소득 신고, 혼자 힘으로 해결 63%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5.
1934 캐나다 필수 인력-유학생 9만 명, 영주권 우선 부여 기회 준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5.
1933 캐나다 전문가들 몬트리올에도 추가적인 제재 요구 Hancatimes 21.04.15.
1932 캐나다 55세 이상의 퀘벡 주민, 4월 8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가능 Hancatimes 21.04.15.
1931 캐나다 몬트리올 및 다른 적색구역, 다음주부터 규제 강화 Hancatimes 21.04.15.
1930 캐나다 퀘벡주, 직장 근무시 의료용 마스크 착용 의무화 Hancatimes 21.04.15.
1929 캐나다 몬트리올 필수 근로자들, 4월 9일부터 백신 접종 예약 가능 Hancatimes 21.04.15.
1928 캐나다 코로나19 확산 퀘벡주 일부 지역 패쇄조치 연장, 통금 시간 되돌려 file Hancatimes 21.04.15.
1927 캐나다 BC주 응급상황조치 13개월도 넘겨...27일까지 또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6.
1926 캐나다 써리RCMP, 월리 모델 총격사건 조사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6.
1925 캐나다 살다보니 ICBC가 보험금 리베이트도 주네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6.
1924 캐나다 BC주 응급상황조치 13개월도 넘겨...27일까지 또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7.
1923 캐나다 강력한 접촉 차단 없으면 확진자 2배로 급증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7.
1922 캐나다 주밴쿠버총영사관 민원예약 절차 일부 변경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7.
1921 캐나다 이번에는 모더나 백신 공급 차질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0.
1920 캐나다 이틀 연속 코로나19 감염 중 환자 1만 명 넘겨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0.
1919 캐나다 경상 교통사고 재판으로 가거나 최대 5만 달러까지 받거나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0.
1918 캐나다 2살 이하 어린이 코로나19로 BC주 최연소 사망 밴쿠버중앙일.. 21.04.21.
1917 캐나다 사회봉쇄 강화조치 5월 24일까지 다시 연장 밴쿠버중앙일.. 21.04.21.
1916 캐나다 코퀴틀람 라파지레이크 공원서 총격 살인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