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거스리드 조사결과

주택소유자 70% 반대

 

렌트 광고에 반려동물 금지라고 쓰여 있는 경우가 많은데 대체적으로 많은 캐나다인들이 이런 광고에 동의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기관 앵거스리드연구소가 발표한 집주인이 반려동물을 가진 세입자의 입주를 거부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조사결과에서 63%의 응답자가 지지를 표명했다.

 

그러나 자세하게 응답자를 분석해 보면 집 소유주들의 70%가 거부할 권리를 지지한 반면, 세입자 중에는 절반(50%)만 지지를 했다. 부모나 형제자매 등 다른 가족에 얹혀 사는 경우도 반려동물을 가진 세입자에 대해 거부(64%)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별로 보면 퀘벡주와 온타리오주 주민들은 애완동물을 가진 세입자에 더 호의적으로 집주인이 거부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해 43%와 39%만이 각각 지지를 보냈다. 

 

BC주는 전국 평균보다 1% 포인트 높은 64%의 주민이 반려동물 주인을 세입자로 받아들이지 않을 권리가 집주인에게 있어야 한다고 대답했다.

 

전국에서 가장 반려동물을 가진 세입자에 냉담한 주는 사스카추언주로 80%가 집주인의 거부권을 지지했다. 이어 알버타주와 뉴펀런들랜드가 74%로 높게 나타났다.

 

 

세입자가 많은 3대 대도시의 조사결과를 보면 메트로밴쿠버는 집주인의 거부권에 지지하는 비율이 61%로 광역토론토의 62%와 몬트리올의 54%의 중간에 위치했다.

 

 

지지정당별로 봤을 때 BC주의 경우 자유당 지지자가 가장 반려동물 주인이 세입자로 오는 것을 반대하는 비율(79%)이 높았으며 녹색당도 58%로 과반을 넘겼지만, NDP 지지자는 45%만이 반대를 해 진보적일수록 반려동물에 대한 호의도도 높은 것으로 보였다.

 

온타리오주는 보수당이 집주인의 거부권에 대한 지지율(69%)이 가장 높았고, 자유당이 중간(54%)를 보였으며, NDP는 여기서도 39%만이 집주인의 권리를 지지했다.

 

 

연령별로 보면, 18-34세의 젊은 경우 집주인의 거부권에 대한 지지가 56%로 나타났으며, 35-54세는 65%, 55세 이상은 67%로 나이가들수록 반려동물 주인이 세입자로 오는데 부정적이었다. 

 

소득별로 볼 때, 10만 달러 이상의 고소득자의 76%, 5만-10만 달러 미만 소득자의 65%, 그리고 5만 달러의 소득자는 54%가 지지를 했다. 즉 소득이 낮을수록 반려동물 소유 세입자의 편에 섰다.

 

결국 나이많은 부자는 반려동물을 데려오는 세입자를 거부할 확률이 높은 셈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35 캐나다 이번에는 모더나 백신 공급 차질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0.
4334 캐나다 주밴쿠버총영사관 민원예약 절차 일부 변경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7.
4333 캐나다 강력한 접촉 차단 없으면 확진자 2배로 급증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7.
4332 캐나다 BC주 응급상황조치 13개월도 넘겨...27일까지 또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7.
4331 캐나다 살다보니 ICBC가 보험금 리베이트도 주네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6.
4330 캐나다 써리RCMP, 월리 모델 총격사건 조사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6.
4329 캐나다 BC주 응급상황조치 13개월도 넘겨...27일까지 또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6.
4328 캐나다 코로나19 확산 퀘벡주 일부 지역 패쇄조치 연장, 통금 시간 되돌려 file Hancatimes 21.04.15.
4327 캐나다 몬트리올 필수 근로자들, 4월 9일부터 백신 접종 예약 가능 Hancatimes 21.04.15.
4326 캐나다 퀘벡주, 직장 근무시 의료용 마스크 착용 의무화 Hancatimes 21.04.15.
4325 캐나다 몬트리올 및 다른 적색구역, 다음주부터 규제 강화 Hancatimes 21.04.15.
4324 캐나다 55세 이상의 퀘벡 주민, 4월 8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가능 Hancatimes 21.04.15.
4323 캐나다 전문가들 몬트리올에도 추가적인 제재 요구 Hancatimes 21.04.15.
4322 캐나다 필수 인력-유학생 9만 명, 영주권 우선 부여 기회 준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5.
4321 캐나다 BC주민 소득 신고, 혼자 힘으로 해결 63%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5.
4320 캐나다 주토론토총영사관, 29일 한-캐나다 오픈 세미나 밴쿠버중앙일.. 21.04.15.
4319 캐나다 이번주 45세 이상 백신 접종 등록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4.
4318 캐나다 변이바이러스로 4차 대유행 시작 예고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4.
4317 캐나다 캐나다인 절반 이상,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에 불안감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4.
4316 캐나다 백신접종 1백만 명 돌파 BC주, 코로나19 상황 발표는 두려워 file 밴쿠버중앙일.. 21.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