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태 지켜보던 시민들, 파이프라인 찬성 집회 나서

 

news_img1_1523903574.jpg

(사진: 캘거리 헤럴드) 

주정부, 대 B.C주 오일 수송 제한 준비



B.C주에서는 연일 트랜스마운틴 파이프라인 확장 반대 시위가 일어 나고 있음에도 사태를 관망하던 앨버타, 캘거리 시민들이 킨더 모건의 프로젝트 중단 발표에 드디어 거리로 나섰다. 
지난 화요일 캘거리 맥두걸 센터 밖에 “Rally4Resources” 집회가 열려 많은 시민들이 B.C주의 트랜스마운틴 확장 저지와 연방정부의 수수방관에 대해 강력하게 성토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위에 참석한 리처드 레갈레이스 씨는 “도대체 트랜스마운틴 확장 프로젝트가 언제 승인된 것이냐? 지금까지 B.C주의 저지에 막혀 있을 동안 승인과 관할권을 가진 연방정부는 사실상 방관해 온 것이다”라며 연방정부를 향해 불만을 터뜨렸다. 
지난 일요일 킨더 모건이 B.C주와 앨버타 주의 갈등 사태에 대한 연방정부의 개입과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비핵심 작업을 중단하고 5월 31일까지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파이프라인 확장 프로젝트를 전면 철회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노틀리 주수상은 킨더 모건이 B.C주의 지연 작전에 의해 사업 철수를 강행하는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트랜스마운틴 주식 인수를 고려하며 트랜스마운틴 확장을 공언하며 사활을 거는 모습을 보였다. 
이 날 집회에 참석한 샤에 앤더슨 주정부 도시관계부 장관은 “앨버타는 연방정부가 이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나서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주정부는 B.C주에 대한 오일수송 제한 조치를 여전히 고려하고 있다”라며 경제 제재조치가 임박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UCP제이슨 케니 리더는 “B.C주가 트랜스마운틴을 주저 앉힐 경우 내년 총선에서 승리해 주수상이 되자마자 즉각 B.C로 가는 송유관을 잠글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킨더 모건의 사업 중단 가능성 발표에 대해 연방정부 트뤼도 총리는 “파이프라인은 건설될 것”이라며 긴급 내각회의를 소집하며 대책 마련에 들어 간 것으로 알려졌다. 
집회 참석자들은 한결같이 “앨버타도 캐나다인데 연방정부가 이런 일이 발생하도록 내버려 둔 것을 이해하지 못하겠다. 권한을 가진 연방정부가 캐나다 국가 경제를 위해 승인했다면 건설에 대한 직접적인 관리 감독을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2016년 승인 이후 계획적인B.C주의 건설 반대에 부딪힌 트랜스마운틴 파이프라인 확장 프로젝트가 좌초 위기에 내몰리면서 앨버타, 캘거리 시민들의 비난이 연방정부를 향하고 있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95 캐나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12-15세 청소년 100% 효과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4294 캐나다 [넬리 신 연방하원의원 특별 인터뷰-1] 한인과 모든 소수민족의 대변자로 활동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4293 캐나다 BC주 변이바이러스 감염자 수 전국 2위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4292 캐나다 퀘벡주, 26일부터 체육관 영업 재개 Hancatimes 21.04.02.
4291 캐나다 퀘벡주, ‘새로운 경제’에 관한 예산안 발표 Hancatimes 21.04.02.
4290 캐나다 교원협회, 학생들의 학교 복귀로 인한 3차 웨이브 경고 Hancatimes 21.04.02.
4289 캐나다 학교 스포츠 인프라 개선을 위해 약 1억 2,500만 달러 투자 Hancatimes 21.04.02.
4288 캐나다 퀘벡주 고등학생들 3월 29일부터 다시 학교로 돌아가… Hancatimes 21.04.02.
4287 캐나다 퀘벡주, 이전에 COVID-19 감염된 사람들에게 단일 백신 접종 권장 Hancatimes 21.04.02.
4286 캐나다 퀘벡주, 다음 백신 예방접종을 위한 우선순위 여전히 고민중 Hancatimes 21.04.02.
4285 캐나다 퀘벡주정부와 연방정부, 초고속 인터넷 확장을 위해 약 8억 달러 투자 Hancatimes 21.04.02.
4284 캐나다 약국들이 예방접종에 동참함에 따라 몬트리올 지역의 접종 연령 60세까지 확대 Hancatimes 21.04.02.
4283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백신 접종을 위해 민간기업을 이용할 것 Hancatimes 21.04.02.
4282 캐나다 BC주 6월말까지 18세 이상 성인 접종 가능한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2.
4281 캐나다 4월 1일 기준 전국 백신 접종률 9.18%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2.
4280 캐나다 캐나다에서 인종 증오 자체는 범죄가 아니다 밴쿠버중앙일.. 21.04.02.
4279 캐나다 캐나다, 55세 이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중단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1.
4278 캐나다 경찰 ‘아시안 증오범죄’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화상회의 개최 밴쿠버중앙일.. 21.04.01.
4277 캐나다 BC주로 1톤의 아편 몰래 들여오다 적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1.
4276 캐나다 COVID-19 이후 ‘아시안 증오범죄’ 급증 file Hancatimes 21.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