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유관 공사 지지 BC주민 늘어

총리·두 수상 중 "총리가 일 가장 못해"

송유관 사업권 알버타·연방 지분참여는 부정 평가 높아

  

트랜스 마운틴 송유관 확장 공사를 지지하는 BC주민이 증가했다. 여론조사기관 앵거스리드가 최근 벌인 설문에 응답한 BC주민의 54%가 송유관 건설에 찬성했다. 두 달 전 조사에서 찬반 어느 쪽도 절반을 넘지 못했던 데 비해 이번 조사에서는 찬성이 6%포인트 늘었다. 반면 반대는 2%p 하락해 결정을 보류하다 찬성 쪽으로 기운 주민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앵거스리드는 트뤼도 총리와 존 호건 BC주수상 및 레이철 노틀리 알버타주수상의 회동 직후 여론을 조사한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송유관 공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전국 응답자 중 찬성은 55%로 2월 조사보다 6%p 증가했다. 반대는 26%로 7%p 하락했다. 잘 모르겠다거나 말할 수 없다는 수도 2%p 증가한 20%였다.

b2f9c234585939836bf7f0794b28dad5_1524074568_4936.jpg
 

 

송유관 건설 찬반에 관계없이 BC주정부의 방향이 맞는지 묻자, 응답자 세 명 중 두 명꼴인 64%가 BC주정부의 반대는 잘못된 것으로 생각해 9%p 증가했다. BC정부의 결정이 옳다는 지지율은 45%에서 36%로 떨어졌다.

 

갈등과 관련해 총리와 두 수상 중 누가 업무를 잘하고 있는지 묻자 노틀리 수상 지지도가 43%로 가장 높았고 트뤼도 총리가 36%, 호건 수상은 30%를 기록했다. 총리가 잘 못 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46%로, 추진력과 통합 시도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BC주민의 생각도 조사 결과에 나타났다. 송유관이 늘어날 경우 가장 우려하는 점에 BC주민 절반은 메트로 밴쿠버 해안에 기름이 유출될 가능성을 꼽았다. 송유관 유출이나 화석연료 고갈을 걱정하는 주민은 약 15%에 머물렀다.송유관 확장으로 얻는 경제적 이익과 환경파괴 위험에 대해서는 BC주민의 의견이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갈렸다. 이익이 더 크다는 답과 환경 파괴 피해가 더 크다는 응답이 각각 35%씩 나왔다. 이익과 위험이 비슷한 수준이라는 답은 30%였다.

 

반면 송유관 공사 허가권이 BC정부에 있지 않다는 법원 결정이 날 경우 다음 절차를 묻자 공사를 재개해야 한다는 응답이 69%로 압도적이지만 계속 금지시켜야 한다는 답은 31%에 머물렀다.

 

조사는 16일부터 양일간 온라인을 통해 국민 중 성인 212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포인트다.

 

한편 BC주정부는 트랜스 마운틴 송유관 확장 사업을 막을 권한이 주정부에 있는지 묻는 판단을 BC주 최고 재판소에 구하겠다고 밝혔다.

 

데이빗 에비(Ebby) BC법무부장관은 4월말까지 BC항소법원에 요청서를 제출하겠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했다. 에비 장관은 BC주법원 판단을 구하는 일이 헌법상 보장된 BC주의 권리를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현행법상 법적 쟁점이 있는 주요 정책에 대해 각 정부는 법원에 자문 형식의 판단을 구하는 절차가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 이광호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95 캐나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12-15세 청소년 100% 효과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4294 캐나다 [넬리 신 연방하원의원 특별 인터뷰-1] 한인과 모든 소수민족의 대변자로 활동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4293 캐나다 BC주 변이바이러스 감염자 수 전국 2위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4292 캐나다 퀘벡주, 26일부터 체육관 영업 재개 Hancatimes 21.04.02.
4291 캐나다 퀘벡주, ‘새로운 경제’에 관한 예산안 발표 Hancatimes 21.04.02.
4290 캐나다 교원협회, 학생들의 학교 복귀로 인한 3차 웨이브 경고 Hancatimes 21.04.02.
4289 캐나다 학교 스포츠 인프라 개선을 위해 약 1억 2,500만 달러 투자 Hancatimes 21.04.02.
4288 캐나다 퀘벡주 고등학생들 3월 29일부터 다시 학교로 돌아가… Hancatimes 21.04.02.
4287 캐나다 퀘벡주, 이전에 COVID-19 감염된 사람들에게 단일 백신 접종 권장 Hancatimes 21.04.02.
4286 캐나다 퀘벡주, 다음 백신 예방접종을 위한 우선순위 여전히 고민중 Hancatimes 21.04.02.
4285 캐나다 퀘벡주정부와 연방정부, 초고속 인터넷 확장을 위해 약 8억 달러 투자 Hancatimes 21.04.02.
4284 캐나다 약국들이 예방접종에 동참함에 따라 몬트리올 지역의 접종 연령 60세까지 확대 Hancatimes 21.04.02.
4283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백신 접종을 위해 민간기업을 이용할 것 Hancatimes 21.04.02.
4282 캐나다 BC주 6월말까지 18세 이상 성인 접종 가능한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2.
4281 캐나다 4월 1일 기준 전국 백신 접종률 9.18%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2.
4280 캐나다 캐나다에서 인종 증오 자체는 범죄가 아니다 밴쿠버중앙일.. 21.04.02.
4279 캐나다 캐나다, 55세 이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중단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1.
4278 캐나다 경찰 ‘아시안 증오범죄’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화상회의 개최 밴쿠버중앙일.. 21.04.01.
4277 캐나다 BC주로 1톤의 아편 몰래 들여오다 적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1.
4276 캐나다 COVID-19 이후 ‘아시안 증오범죄’ 급증 file Hancatimes 21.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