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벡의 교육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의 수가 지난 5년동안 급감하며 교원부족현상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쉘부룩 대학교 교육학부에 재학중인 Roxanne Gaudreault는 “문제는 교사라는 직업이 그렇게 매력적이지 않다는 점입니다.”라고 말한다.

Le Journal이 지난 한해 퀘벡 소재 대학교의 교육학부 12곳에 재학중인 학생수를 파악한 결과 조사에 응한 10곳의 대학 중 8곳에서는 이 문제의 심각성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의 교사를 양성하는 교과과정에 등록한 학생수는 지난 2012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라발대학교에서는 5년전에 비해 2017년도에는 학생수가 236명이나 줄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UQAM 대학교 교육학부 학장인 Monique Brodeur은 “특히 중.고등학교 교원과정에서 등록학생 부족현상은 심각하게 우려할 만한 상황입니다. 교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 이유로는 학생들이 교사라는 직업에 대해 별 흥미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예비교사들은 교생실습을 진행하는 동안 집에 까지 가져가서 처리해야 하는 과다한 업무, 팍팍한 수업, 학생관리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교사라는 직업에 곧 회의를 느끼고 된다고 털어놓았다.

UQAM 대학교에서 중,고등교사 교육과정을 마친 Gabrielle Bouchard은 “수업을 원활히 진행하는데 필요한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초등교사 교육과정에 재학중인 Emmanuelle Boisvert은  “업무는 얼마든지 처리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주당 45시간을 일하는데 32시간을 일한만큼의 보수를 받고 싶지는 않습니다.”라고 전했다.

6 5000명의 교사를 대변하는 교직원노조의 Josée Scalabrini는 “지난 10년동안 교직의 중요성을 강조해왔지만 교육당국에서는 이를 중요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예비교사의 감소현상은 이미 일선학교에서 교사부족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Lorraine Normand-Charbonneau씨는 현실이 이렇게 심각한데도 교육부에서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 같지 않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Sherbrooke대학교 교육학부 학장인 Serge Striganuk은 “이제 학업을 시작한 학생들이 졸업하게 되는 2020년경이 되면 그 결과가 확연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한편 퀘벡 총학생연합의 Simon Telles은 이와 같은 현상은 퀘벡 전 지역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한다.Nombre d’étudiants en éducation.jpg

 

이번 조사에는 퀘벡에 소재한 교육대학 12곳 중에서 10곳이 응해주었다.

학교측에 따르면 지난주 정부는 교육학부의 학생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이미지를 쇄신시키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것 같다는 입장이다. 

Carlos Leitao 재정부 장관은 교생실습에 나가는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간 15 millions $가 지급될 예정이라고 발표한 가운데 학생 한 명당 얼마씩이 돌아가게 될지는 아직 미정이다. 3개월에 걸쳐 실시되는 교육실습 기간 동안 학생들은 풀타임으로 교사직무를 수행하게 된다.

교육실습 학생연대에서 대변인직을 수행하고 있는 Antoine Côté은 이번에 발표된 정부의 지원이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반면 UQAM의 학생들은 교육실습을 실시하는 4학년뿐만 아니라 교육학부에 재학중인 전 학년 학생들에게 지원을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또한 교육실습 시 지급되는 수당은 정부지원의 형태가 아닌 급여로 산정해 달라고 요구하며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학생감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퀘벡총학생협회는 일부 학생들의 이와 같은 주장과 달리 학자금 대출을 갚아나가는데 많은 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원금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어쨌든 학생들은 교사가 되기 위한 자신들의 꿈을 접지 않기 위해서는 근무조건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주정부의 새로운 예산안에는 전년도에 비해 교육분야에 대한 5% 증액 안이 포함되어 있다.

  • |
  1. Nombre d’étudiants en éducation.jpg (File Size:91.1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15 캐나다 버나비서 또 살인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9.
2014 캐나다 코로나19 안전 조치를 위한 감시 사회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9.
2013 캐나다 BC 필수 일선 노동자 우선 백신 접종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0.
2012 캐나다 BC주 6월까지 모든 주민 1차 백신 접종 완료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0.
2011 캐나다 백신 효과는 언제나...확진자 다시 600명 대로 늘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0.
2010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브라질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 첫 출현 CN드림 21.03.22.
2009 캐나다 캐나다 학교 교실서 17세 소녀 칼에 찔려 사망 file CN드림 21.03.22.
2008 캐나다 캐나다 대표 한인 식품 기업 '21세기', 신사옥으로 확장 이전 file CN드림 21.03.22.
2007 캐나다 BC주 일일 확진자 올해 들어 2번째로 많은 737명 나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3.
2006 캐나다 캐나다 코로나19 검사 10명 중 7명...BC주 절반도 안 돼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3.
2005 캐나다 교육운전면허 차량에 5살 여아 등 3명 치여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3.
2004 캐나다 북미 아시안 여성들 죽을 만해서 죽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4.
2003 캐나다 BC 주말 3일간 확진자 1785명 추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4.
2002 캐나다 오타와그룹 통상장관, WTO 개혁 및 코로나-19 대응 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4.
2001 캐나다 애틀랜타 총격 사건에 대한 넬리 신 연방하원 의원 성명서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5.
2000 캐나다 작년 아시안 인종혐오 사건 수 BC주 전국 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5.
1999 캐나다 외교부 김건 차관보, 비세그라드 그룹 공관장회의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5.
1998 캐나다 BC 백신 접종은 늘어나는데 코로나19 상황 점점 악화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6.
1997 캐나다 BC 2월 불법마약물 사망자 15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6.
1996 캐나다 버나비 공원 불탄 사체 살해 용의자 15세 청소년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