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의 국영 방송인 CBC는 "두 정상이 평화와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다"라는 헤드라인으로 토론토 현지시간으로 오전 5시 31분 기사를 올렸다. 11년 만에 열린 남북 정상들은 한반도의 영원하고 확고한 평화정착을 담은 선언문을 발표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CBC는 군비축소 절차에 대해서는 이번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고, 단지 북한이 남한에서 3만 명의 미군 철수를 이전에 조건으로 내세웠다고 보도했다. CBC는 이번 정상회담에도 불구하고 아직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는 아직 살아있다는 영국 보리스 존슨 외교부장관의 말을 마지막에 언급했다. 

 

캐나다 대표 전국직인 글로브앤메일은 아침 뉴스를 통해 김정은이 역사적인 한국 대통령과의 회담을 위해 국경을 넘었다는 제목으로 65년간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조치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회담이 북한의 핵무장 해제나 제한에 대한 특별한 합의는 실패했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이번 남북 정상회담은 많은 부분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전주곡이라고 봤다. 

 

또 다른 전국지인 내셔널포스트는 '김정은 정상회담 후 북으로 귀환'이라는 제목을 달고 일본 아베의 사진을 대문짝만하게 집어넣으며 한국보다 일본의 입장을 대변하는 AP 통신 뉴스를 실었다. 한국시간으로 9시 30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환송식을 받고 돌아가는 상황을 묘사한 것을 시작으로 27일 정상회담을 시간 역순으로 소개하는 형식의 기사를 실었다. 

오후 8시 40분에는 NATO의 엔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이 '진정한 변화를 보기 전까지 (북한)제재는 지속될 것'이라는 발표를 넣었다. 또 8시 30분에는 한국의 보수 정치인들의 비판적인 부분을 먼저 올리는 등 남북 정상대화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더 보여주는 기사를 인용보도했다. 

 
캐나다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토론토 스타는 '남북정상  비핵화에는 동의했지만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는 제목으로 AP 통신으 기사를 실었다. 그러나 네셔널포스트와 달리 한국전 종전과 한반도의 비핵화를 모색했다는 내용을 먼저 소개했다.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수 많은 회의론과 수 십년간의 외교적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번에는 두 정상이 미래를 위해 공동보조를 맞췄다고 봤다. 그러나 회의론자들이은 북한이 제재의 고통을 줄이려는 외교적인 수단을 수없이 펼쳤었다고 언급했던 점을 상기시켰다.

 

CTV는 캐나다 동부현지시간 오후 11시 43분 보도를 통해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의 상징적인 제스처들'이라는 헤드라인으로 두 정상이 악수를 하거나 손을 잡고 걷는 모습들을 소개했다. 이와 함께 한반도의 비핵화와 이산가족 상봉에 대해 합의했다고 전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35 캐나다 2월 실업률 전달 대비 1.2%P 감소한 8.2%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3.
2034 캐나다 캐나다 살기 좋은 10대 도시에 BC 절반 차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6.
2033 캐나다 코로나19 대유행에 식품비 늘었다고? ...혼자가 아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6.
2032 캐나다 이번주 80세 이상 접종 예약...AZ백신 접종 유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6.
2031 캐나다 한국 여권신장에 기여한 캐나다 여성...세번째 의료선교사 제시 머레이 박사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7.
2030 캐나다 작년 캐나다 시민권 받은 한인 1254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7.
2029 캐나다 작년 영주권 신청 한국인 3491명, 북한인 1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7.
2028 캐나다 BC주 종교 모임 허용 하나?... 유월절, 이스터 맞아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8.
2027 캐나다 인감증명 관련 문서 영사 확인 위해 직접 방문 필수 밴쿠버중앙일.. 21.03.18.
2026 캐나다 오스카 최초 아시안계 남우 주연상 후보 지명된 작품 미나리---캐나다 온디맨드 상영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8.
2025 캐나다 퀘벡주 원주민 사회를 위한 사법제도 개선을 위해 1,920만 달러 지원 Hancatimes 21.03.18.
2024 캐나다 퀘벡주, 65세 이상에게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Hancatimes 21.03.18.
2023 캐나다 퀘벡주 초고속 인터넷 확대를 위해 약 7억 달러 투자 발표 Hancatimes 21.03.18.
2022 캐나다 몬트리올 지역, 곧 65세까지 백신 접종 확대 Hancatimes 21.03.18.
2021 캐나다 몬트리올 총기폭력에 시달리는 지역사회 단체를 위해 140만 달러 지원 Hancatimes 21.03.18.
2020 캐나다 퀘벡주 보건 전문가, “백신 접종 후에도 보건수칙 유지 할 것” Hancatimes 21.03.18.
2019 캐나다 몬트리올 공중보건국장, "적극적인 개입으로 COVID-19가 정체기 접어들어" file Hancatimes 21.03.18.
2018 캐나다 캐나다 보건당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 유발 징후 없다" file Hancatimes 21.03.18.
2017 캐나다 퀘벡주 COVID-19 1주년…국회와 시청서 추모 행사 등 전국적 애도 file Hancatimes 21.03.18.
2016 캐나다 애틀란타 총격 사건, 캐나다 한인도 안전하지 않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