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250달러 추가 부담 전망

 

news_img1_1525712095.jpg

 

지난 주 수요일 캘거리 시의회가 향후 4년 간 재산세 인상 계획을 승인했다. 이로 인해 캘거리 주택 소유자들은 2022년까지 총 250달러의 재산세 인상분을 부담해야 될 것으로 알려졌다. 
캘거리 넨시 시장은 “지금까지 시의회는 캘거리 시민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난 수 년 간 인플레이션보다 낮은 수준에서 재산세 인상을 최대한 억제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일정 부분 재산세를 인상할 수 밖에 없는 상황”라며 향후 4년 간 재산세 인상의 불가피성을 피력했다. 
시의회는 전체 회의에서 이를 11대 3으로 통과 시켰으며 반대한 의원은 제로미 파카스, 션 추, 조지 차할 의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캘거리 시의회의 재산세 인상 승인에 따라 2019년 재산세는 2.65%에서 3.45%로 인상되며 주택 평균 인상금액은 49달러에서 64달러로 높아질 전망이다.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연 평균 2.5%에서 3% 사이의 인상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매년 58달러, 59달러, 61달러의 재산세 인상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넨시 시장은 “이번 재산세 인상 계획 또한 인플레이션 증가를 기준으로 최소한의 인상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따라서 재산세가 인상되더라도 지난 경기 침체 시 발생한 심각한 서비스 적자 부문을 메우기는 힘들다. 시민들 입장에서도 합리적인 인상이라는 평가가 나올 것으로 본다”라고 밝혔다. 
이 날 시의회는 또한 주거용 쓰레기 및 재활용 수거비를 2022년까지 30% 인상하는 것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현 블랙, 블루, 그리고 그린 카트 수거 수수료는 2022년까지 현재 매월 19.9달러까지 25.84달러로 인상될 예정이다. 
한편, 제로미 파카스 의원이 발의한 향후 4년 간 재산세 인상 0% 안은 션 추의원이 동의하며 열띤 논의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캘거리 시는 “또 다시 재산세 인상이 부결될 경우 시 세수 부족상황이 심각해 2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반 울리 의원은 “또 다시 재산세를 동결할 경우 경찰, 소방, 공원, 트랜짓 등 공공 서비스 운영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며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75 캐나다 앨버타 아이콘 럭셔리, “페어몽 밴프 스프링스, 샤또 레이크루이스 호텔...주인 바뀐다” file 앨버타위클리 15.12.18.
6074 캐나다 앨버타 정부 재생에너지 인센티브, “에너지 단가 하락 불러...기존 업체엔 치명타” file 앨버타위클리 15.12.18.
6073 캐나다 국제유가 2009년 이후 최저치 US$36.64 기록, NDP정부는 $50수준 막연한 기대만 file 앨버타위클리 15.12.19.
6072 캐나다 미국 석유 수출 금지 해제…. “캐나다 오일 패치에 호재 가능성” file 앨버타위클리 15.12.21.
6071 캐나다 트루도 총리 밴쿠버 시청 방문, 로버트슨 시장과 화기애애 file 밴쿠버중앙일.. 15.12.22.
6070 캐나다 YVR 공항, '22일(화) 이용객 수 6만 8천 명 예상' file 밴쿠버중앙일.. 15.12.22.
6069 캐나다 캘거리 시의회, “넨시 시장의 3천만 달러 요청 승인” file CN드림 15.12.22.
6068 캐나다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세계 주식, 채권시장의 반응은... 긍정적” file 앨버타위클리 15.12.22.
6067 캐나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 “허니문 끝나고… 다가오는 현실적 도전” file 앨버타위클리 15.12.31.
6066 캐나다 2016년도 오일패치 업계, “떠오르는 주요 변수?” file 앨버타위클리 15.12.31.
6065 캐나다 새해 전날 우버 택시 탔다가…. “요금 폭탄 맞은 남성의 하소연”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4.
6064 캐나다 에드먼턴 호럴락파크 아이스캐슬 완공, “3월까지 일반 관람객 맞아”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4.
6063 캐나다 넨시 시장, “캘거리, 디트로이트와는 다르다” file CN드림 16.01.05.
6062 캐나다 캘거리, “가족 형태의 홈리스 가구 증가세” 홈리스 쉼터 공급, 싱글 중심에서 가족 중심으로 이동해야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5.
6061 캐나다 병신년 새해 에드먼턴의 “15가지 이슈들 앞서 짚어보기”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5.
6060 캐나다 중국발 토론토행 항공기 “난기류 만나… 캘거리 공항에 불시착”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5.
6059 캐나다 블랙콤 서 신년 스노우모빌 투어 여행객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16.01.06.
6058 캐나다 컴퍼스 카드, 사용 인구 늘면서 서비스 문제 떠올라 file 밴쿠버중앙일.. 16.01.06.
6057 캐나다 써리-똑똑, 문두드려 열어주면 묻지마 폭행 file 밴쿠버중앙일.. 16.01.06.
6056 캐나다 CFIA, 한국 수입 어묵 제품 리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