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4일부터 28일까지 밴쿠버시 전역에서 열리는 밴쿠버 공예 축제에한국 전통도자기와 함께 한국의 전통공예인 한지 공예품들도 선보이고 있어, 우수한 한국의 전통공예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orean Arts & Crafts Association of Canada(대표, Michelle Kim)의 초대로 참가한 김유경 작가에 대해 소개한다.(편집자 주)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게 된 배경은?

 

캐나다에서 2014년 여름행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현지인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요청을 경험하면서 본 사업을 일시적인 행사에서 정기적인 사업으로 발전시켜 한국 사회와 문화 뿐만 아니라 현지 한인 이민사회에도 직간접적인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가졌다. 이를 계기로 다문화사회인 캐나다에서 한국 이민사회이 입지를 굳건히 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활발한 활동을 기획하면서 2015년 전시회와 교육의 규모를 확장할 사업 기반을 다졌다. 

현지 학교에서 공예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이민 2세들이 전통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긍심을 가지는 것을 현장에서 보면서 교육사업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미래 현지 한인사회의 큰 자신이 될 것을 확신했다.

 

이번에 전시장소와 작품들은?

 

823c0a6b09915758604cbff3e8538cd6_1525981225_5305.jpg
 

12일부터 Crafted Vancouver에는 봄 놀이 편으로 -고무줄 놀이, 딱지 치기, 말뚝박기 (인형 20점 정도) 등이 처음으로 전시되는데 한지 생활 공예품 - 뒤주, 소반, 접시 등도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전시 장소는 한국 이천도자기 전시장인 그랜빌 아일랜드에 위치한 전시장인 Performance Works(1218 Cartwright St)에서 있을 예정이다.

 

이번 행사참가에 따른 기대효과는?  

한지의 예술성과 활용성을 알려 한국 전통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 현지에서 한지와 그 공예품들을 판매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지속적인 전시 및 체험 수업 활동이 현지 한인 교민들에게는 자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현지 학교에서 한지 공예가 정규 미술 수업 및 방과 후 수업 내용으로 편성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한지 재료 자체의 특성이 주는 편안함, 자연스러움을 살려 미술 치료 분야로도 활동을 확대시키므로써 캐나다내에서의 한국의 위상을 높혀 현지 한인 이민자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 고취시키고 그 결과 한국 이민 사회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한지 공예 뿐만 아니라 다른 한국 전통 공예도 현지인들에게 쉽게 전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계획은? 

상시 행사로 년 4회 정도를 계획 중이다. 5월 어버니날, 8월 한국문화의 날, 9월 K-DAY, 그리고 12월 Korea Winterfest 등이다. 또 현지 학교에서 방과 후 체험 수업도 진행 중이다. 

 

 

김유경 작가 경력

1991년 미대 졸업 후 미술관 근무 1994년 김유경 공방 운영

2010년부터 한국 - 초,중, 고등학교과 박물관, 문화센터 공예 강의

2014년부터 캐나다 - Mother's Day, Korean Heritage Festival, Korean Community Day, Korean Winter-fest 등에서 전시회 및 공예 수업 그리고 현지 초,중,고등학교에서 한지 공예 체험 수업

2014년 버나비 시청에 한지 인형 작품 전시 - 이후 버나비시장으로부터 감사장 받음

2014년 광주문화재단 국제교류 작가 선정

2017년 광주문화재단 지역문화 전문이력 작가 선정 -  '닥종이 인형으로 말하는 희망의 5·18' 프로젝트' -  모두 100명이 넘는 사람이 닥종이 인형 만들기에 참여했다.

현재, 닥종이랑 협회 대표, "픔" 한국 문화교류 센터장, 문화예술교육사(문화체육관광부)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75 캐나다 통행금지 등 COVID-19관련 각종 정책, 일반 대중 지지 여전 file Hancatimes 21.03.02.
2074 캐나다 일반인 대상 백신 예약 첫날, 노인 7만여명 예약신청 file Hancatimes 21.03.02.
2073 캐나다 일선 필수인력 3단계 백신 접종 가능성 열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3.
2072 캐나다 국립면역자문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65세 이상에 권장치 않는다’...정부와 엇박자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3.
2071 캐나다 BC주 7월까지 성인 모두에게 1차 접종 마칠 계획...1,2차 간격 4개월로 늘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3.
2070 캐나다 팬데믹으로 쓰지 않고 쌓인 돈 천억 달러...여행, 투자 순으로 돈 풀릴 듯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4.
2069 캐나다 미 국적자 금융정보 미국 양도 법정 싸움 2라운드 돌입...한인에게도 영향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4.
2068 캐나다 세계한인총연합회 창립 추진...10월 목표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4.
2067 캐나다 프레지어보건소 ,감기 독감 증상 보여도 검사 권고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5.
2066 캐나다 써리 월리지역 2명 16세 청소년 마약에 총기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5.
2065 캐나다 BC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급증세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5.
2064 캐나다 BC 코로나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급증세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6.
2063 캐나다 캐나다 전국민 코로나 백신 접종 앞당겨 질 수도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6.
2062 캐나다 이민부 이민신속처리 위해 62명 신규 채용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6.
2061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노인에 이어 성인들도 접종 시작 file CN드림 21.03.06.
2060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정부예산안, 부채 사상최대 기록 file CN드림 21.03.06.
2059 캐나다 대중교통에 등장하는 코로나19 예방 기술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9.
2058 캐나다 보건당국 메트로밴 백신 접종센터, 예약 방법 등 상세정보 공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9.
2057 캐나다 BC주민 66% "가능한 빨리 백신 맞겠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9.
2056 캐나다 캐나다 새로운 COVID-19 백신 승인 Hancatimes 21.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