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 밴쿠버협의회(회장 정기봉)가 주최한  '2018 남북정상회담 이후의 한반도 정세'라는 주제의 평화통일강연회가 지난 11일 오후 3시에 노스로드의 이규젝큐티브 호텔에서 열렸다.

 

김건 주밴쿠버총영사가 강사로 나온 이날 강연회는 지난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고, 또 6월 12일 북미정상회담이 싱가포르에서 열린다는 소식이 나간 이후에 열린 행사여서 많은 밴쿠버 한인들의 관심이 주목됐다.

 

김 총영사는 북한이 왜 갑자기 올해 들어 화해 제스처를 취하며 적극적으로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에 나올 수 밖에 없었던 배경에 대해 외교관으로써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석을 해 보았다.

 

그리고 향후 북한이 핵폐기를 위한 행동을 취할 지, 그리고 북미 정상회담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 지에 대해 조심스러운 예측을 내 놓았다. 김 총영사는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는 6과 9에 대한 삽화를 보여주며, 북미 협상을 하는 각자의 시각에 따라 서로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조심스러운 개인 입장을 보였다.

 

강연회를 마치고 참석자들은 언제 남북통일이 되는지, 북한을 신뢰할 수 없다며 핵무장을 할 필요성을 묻는 질문 등의 우려와 기대감이 섞인 질문을 했다. 하지만 김 총영사는 외교관답게 단정적인 대답보다 외교적인 레토릭으로 즉답은 피해갔다.

 

강연회를 마친 후 밴쿠버협의회는 각 분과별로 워크숍을 가졌다. 기획부과는 '통일을 위한 밴쿠버 민주평통의 역할', 차세대분과는 '통일한반도의 경제발전을 위한 차세대의 역할', 그리고 여성분과는 '남북한 여성비교' 등의 주제로 각각 분임토의를 진행했다.

 

이후 각 분과별로 발표를 했고, 이를 통해 여성분과가 우수분과로 시상을 하기도 했다.

 

정 회장은 "이번 워크숍은 매우 수준 높은 논의를 통해 심도 있는 주제발표의 시간이 됐다"고 평가했다.

 

한편 밴쿠버협의회는 한반도 평화통일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통일 골든벨'행사를 26일 오후 3시부터 한인회관에서 개최한다. 참가자격은 메트로밴쿠버에 거주하는 8학년 이상의 세컨더리 학생이다.  

 

한인 차세대들의 올바른 역사관과 다가오는 통일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목표로 개최되는 이 행사에서 최우수자는 500달러, 우수자는 300달러, 장려상 1명은 200달러의 상금을 받는 것을 비롯해 다양한 부상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이나 신청서 양식,  예상문제는 평통웹사이트(www.pyungtong.o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청마감은 20일까지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95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노인에 이어 성인들도 접종 시작 file CN드림 21.03.06.
4194 캐나다 이민부 이민신속처리 위해 62명 신규 채용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6.
4193 캐나다 캐나다 전국민 코로나 백신 접종 앞당겨 질 수도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6.
4192 캐나다 BC 코로나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급증세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6.
4191 캐나다 BC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급증세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5.
4190 캐나다 써리 월리지역 2명 16세 청소년 마약에 총기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5.
4189 캐나다 프레지어보건소 ,감기 독감 증상 보여도 검사 권고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5.
4188 캐나다 세계한인총연합회 창립 추진...10월 목표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4.
4187 캐나다 미 국적자 금융정보 미국 양도 법정 싸움 2라운드 돌입...한인에게도 영향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4.
4186 캐나다 팬데믹으로 쓰지 않고 쌓인 돈 천억 달러...여행, 투자 순으로 돈 풀릴 듯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4.
4185 캐나다 BC주 7월까지 성인 모두에게 1차 접종 마칠 계획...1,2차 간격 4개월로 늘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3.
4184 캐나다 국립면역자문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65세 이상에 권장치 않는다’...정부와 엇박자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3.
4183 캐나다 일선 필수인력 3단계 백신 접종 가능성 열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03.
4182 캐나다 일반인 대상 백신 예약 첫날, 노인 7만여명 예약신청 file Hancatimes 21.03.02.
4181 캐나다 통행금지 등 COVID-19관련 각종 정책, 일반 대중 지지 여전 file Hancatimes 21.03.02.
4180 캐나다 퀘벡주 새 반인종차별부 장관 임명 file Hancatimes 21.03.02.
4179 캐나다 캐나다·미국 첫 정상회담서 양국 유대관계 강화 file Hancatimes 21.03.02.
4178 캐나다 퀘벡주, 25일부터 노년층을 위한 COVID-19 1차 백신 접종 예약 시작 Hancatimes 21.03.02.
4177 캐나다 몬트리올 초등학생들 3월 봄방학 이후 학교에서 마스크 의무화 Hancatimes 21.03.02.
4176 캐나다 캐나다 정부, COVID-19관련 지원 혜택 기간 연장 Hancatimes 21.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