넨시 시장, 85세 기준 150만 달러 혜택

 

 

news_img1_1529944028.jpg

(사진: 캘거리 헤럴드, 캐나다 납세자 연맹 앨버타 콜린 크렉 지부장) 

 

 

캐나다 납세자 연맹 앨버타 지부가 현 캘거리 시의원과 시장에 대한 연금 패키지가 캐나다 내 다른 대도시 시의원, 시장의 연금보다 과다해 이를 축소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주 수요일 납세자 연맹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시의원들의 연금을 위해 투입된 세금은 무려 61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동 기간 시의원들의 자기 부담금은 120만 달러에 불과해 연금 혜택을 위해 캘거리 시민들의 세금이 너무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캘거리와 달리 오타와, 에드먼튼, 밴쿠버 등의 타 대도시의 경우 시민들의 세금으로 축적된 연금은 약 420만 달러로 나타나 캘거리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콜리 그렉 앨버타 지부장은 “현 연금 제도는 지금 시의회에서 결정하지 않았지만 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반드시 개정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시의원의 임기 4년에 약 29만 달러의 연금 혜택이 주어진다. 시민들의 연금 구조와 너무나 격차가 크다. 시의원들의 연금 제도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과도한 혜택을 지적하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크렉 씨는 “지난 1993년부터 연임하고 있는 캘거리 최장수 시의원인 레이 존스 의원의 경우 지난 2012년 은퇴했다면 매년 6만 6천 달러를 수령할 수 있다. 또한, 넨시 시장의 경우 85세까지 생존한다면 총 연금 수령액은 무려 140만 달러에 달한다. 반면 그가 부담한 금액은 15만 8천 달러에 불과하다”라고 설명했다. 
납세자 연맹은 “경기 침체에 일반 시민들은 일자리를 잃지만 시의원들의 연금은 시민들의 세금으로 지원되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만약 연금 펀드에 돈이 부족할 경우 예산으로 지원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라며 덧붙였다. 
시민단체의 주장에 대해 일부 시의원은 일리가 있다며 동의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피터 데몽 의원은 ‘민관으로 구성된 시의원 보상 위원회가 4년 마다 연금 구조에 대한 권고를 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리뷰에서는 세금과 자부담 비율을 2대 1로 하는 안에 대한 반대가 나왔다. 이 구조를 1대1로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초선인 제로미 파카스 의원은 “시민들의 세금으로 과도한 연금 혜택이 주어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밝힌 바 있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75 캐나다 앨버타 아이콘 럭셔리, “페어몽 밴프 스프링스, 샤또 레이크루이스 호텔...주인 바뀐다” file 앨버타위클리 15.12.18.
6074 캐나다 앨버타 정부 재생에너지 인센티브, “에너지 단가 하락 불러...기존 업체엔 치명타” file 앨버타위클리 15.12.18.
6073 캐나다 국제유가 2009년 이후 최저치 US$36.64 기록, NDP정부는 $50수준 막연한 기대만 file 앨버타위클리 15.12.19.
6072 캐나다 미국 석유 수출 금지 해제…. “캐나다 오일 패치에 호재 가능성” file 앨버타위클리 15.12.21.
6071 캐나다 트루도 총리 밴쿠버 시청 방문, 로버트슨 시장과 화기애애 file 밴쿠버중앙일.. 15.12.22.
6070 캐나다 YVR 공항, '22일(화) 이용객 수 6만 8천 명 예상' file 밴쿠버중앙일.. 15.12.22.
6069 캐나다 캘거리 시의회, “넨시 시장의 3천만 달러 요청 승인” file CN드림 15.12.22.
6068 캐나다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세계 주식, 채권시장의 반응은... 긍정적” file 앨버타위클리 15.12.22.
6067 캐나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 “허니문 끝나고… 다가오는 현실적 도전” file 앨버타위클리 15.12.31.
6066 캐나다 2016년도 오일패치 업계, “떠오르는 주요 변수?” file 앨버타위클리 15.12.31.
6065 캐나다 새해 전날 우버 택시 탔다가…. “요금 폭탄 맞은 남성의 하소연”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4.
6064 캐나다 에드먼턴 호럴락파크 아이스캐슬 완공, “3월까지 일반 관람객 맞아”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4.
6063 캐나다 넨시 시장, “캘거리, 디트로이트와는 다르다” file CN드림 16.01.05.
6062 캐나다 캘거리, “가족 형태의 홈리스 가구 증가세” 홈리스 쉼터 공급, 싱글 중심에서 가족 중심으로 이동해야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5.
6061 캐나다 병신년 새해 에드먼턴의 “15가지 이슈들 앞서 짚어보기”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5.
6060 캐나다 중국발 토론토행 항공기 “난기류 만나… 캘거리 공항에 불시착” file 앨버타위클리 16.01.05.
6059 캐나다 블랙콤 서 신년 스노우모빌 투어 여행객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16.01.06.
6058 캐나다 컴퍼스 카드, 사용 인구 늘면서 서비스 문제 떠올라 file 밴쿠버중앙일.. 16.01.06.
6057 캐나다 써리-똑똑, 문두드려 열어주면 묻지마 폭행 file 밴쿠버중앙일.. 16.01.06.
6056 캐나다 CFIA, 한국 수입 어묵 제품 리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