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주 아파트의 7.1% 비거주자 소유

비거주자 소유 주택가격 상대적 고가

 

밴쿠버와 토론토의 높은 주택가격이 외지인 또는 외국인의 투자 때문이라고 보고 해당 정부가 나서서 가격 안정을 위해 다양한 과세 정책을 내놓고 있는데 실제로 밴쿠버와 토론토의 주택들이 비거주자에 의한 소유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편이라는 통계가 나왔다.

 

연방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17년도 캐나다 주택통계 자료에 따르면, BC주 주택중 3.5%가 캐나다에 거주하지 않은 외국인 소유이며, 주택가치로만 따지만 4.3%나 해당된다. 특히 BC주 아파트 중 7.1%가 바로 비거주자 소유로 나타날 정도였다. 

 

메트로밴쿠버 전체 주택 20개 중 한 개는 비거주자 소유로 전국에서 최고 수준이었는데, 메트로밴쿠버 도시 중 밴쿠버와 리치몬드는 7%나 해당됐다. 광역토론토도 메트로밴쿠버에 비하면 2% 포인트가 낮았다. 토론토시만은 비거주자 소유비율이 3.9%로 나타났다.

 

이처럼 BC주와 온타리오주 전체로 비거주자의 소유비율이 높은 편이지만 이는 메트로밴쿠버나 광역토론토 등 도시 지역에 집중이 됐을 뿐 외곽으로 나가면 소유비율이 점차 낮아지며 여느 주와 같은 수준이 된다.

 

결과적으로 캐나다에 거주하지 않는 외국인 소유의 주택 비율은 높은 곳은 메트로밴쿠버가 전국에서 최고로 높고 이어 광역토론토로 전국에서 주태가격이 제일 높은 도시이자 캐나다 전체 평균 주택가격을 25% 이상 높게 만드는 도시에 집중된 셈이다.

 

자본 여력이 있는 외국인들에 의한 주택소유가 결국은 대도시의 주택 가격 상승에 일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메트로밴쿠버와 광역토론토의 외국인 거주 주택가격이 거주자의 주택가격에 비해 높은 편이다. 이는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아파트 할 것 없이 모든 형태에서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메트로밴쿠버에서 비거주자의 아파트 평균 가격이 70만 3000달러로 거주자의 가격보다 17만 3000달러가 높았다. 단독주택은 비거주자의 주택가격이 230만 달러로 거주자 주택보다 77만 5000달러 비쌌다. 

광역토론토는 그나마 메트로밴쿠버보다 나은 편이어서 단독주택은 평균 가격이 98만 4000달러로 거주자 주택보다 14만 4000달러, 아파트는 42만 6000달러로 3만 6000달러가 비싼데 그쳤다. 

 

이번 통계에서 특이한 점 중 하나는 전국의 모든 주택 소유자의 성별을 보면 여성이 높았다. BC주의 경우 전체 주택의 52.9%가 여성 소유다. 메트로밴쿠버만 따지만 이 수치는 53.8%로 올라가고, 빅토리아는 54.3%나 된다. 주택형태별로 보면 단독주택의 52.3% 그리고 아파트의 56.7%가 여성 소유다. 메트로밴쿠버와 빅토리아의 단독주택의 여성 소유율은 52%로 나타났다.

 

온타리오의 경우 전체 여성 소유율이 52.4%로 나타났다. 온타리오주 대도시만 보면, 단독주의 51.4%가, 아파트의 57.3% 여성이 소유했다. 광역토론토만 보면 여성이 단독주택의 52.2%를 그리고 아파트는 56.5%를 가지고 있다.

 

BC주에서 연령별로 주택 소유 비율을 보면, 35세 이하가 8.7%를, 35-54세가 37%를 그리고 55세 이상이 54.3%를 소유하고 있다. 35세 이하의 주택 소유 비율이 가장 낮은 도시는 빅토리아(6.6%), 그리고 가장 높은 도시는 아보츠포드-미션(10.6%)이었다.

 

BC주의 도시들만 고려해, 35세의 주택형태별 소유 비율을 보면 단독주택은 6.6%로 낮아지고, 그리고 아파트는 13.7%로 나타난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15 캐나다 인기 밴드 밴쿠버 공연, 가짜 티켓 사기로 1백명 넘게 피해 밴쿠버중앙일.. 15.04.01.
6214 캐나다 오늘부터 개정 주류법 시행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1.
6213 캐나다 밴쿠버, 캐나다 대도시 중 교통 체증 1위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1.
6212 캐나다 페리 승객 물에 빠지는 사고 발생 밴쿠버중앙일.. 15.04.03.
6211 캐나다 1월, 캐나다 국내총생산 0.1% 마이너스 성장 밴쿠버중앙일.. 15.04.03.
6210 캐나다 홍콩 신문, '퀘벡은 밴쿠버 이민의 뒷문' 보도 밴쿠버중앙일.. 15.04.03.
6209 캐나다 YVR 공항, 위험 인물 적발 위해 SPOT 도입 적용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3.
6208 캐나다 미션 형무소에서 2급 살인범 탈옥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4.
6207 캐나다 BC 주정부 이민, 신청 잠정 중단 밴쿠버중앙일.. 15.04.04.
6206 캐나다 카나코드 레이놀즈 CEO, 하와이에서 철인 3종 경기 중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4.
6205 캐나다 포트 무디, 1차대전 참전 용사 기리는 참호 완성 file 밴쿠버중앙일.. 15.04.09.
6204 캐나다 밴쿠버 대표, 캐나다 플레이스와 스탠리 파크 선정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0.
6203 캐나다 잉글리쉬 베이에서 벙커유 누출 사고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1.
6202 캐나다 밴쿠버 아빠밴드, 사랑과 추억을 노래하다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1.
6201 캐나다 UBC 회장 집 부근, 남성 시신 발견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4.
6200 캐나다 잉글리쉬 베이 연료 누출 사고, 정화 작업 마무리 단계 file 밴쿠버중앙일.. 15.04.14.
6199 캐나다 기름 오몀 밴쿠버 해변 대부분 재개장, "안전 판단" file 밴쿠버중앙일.. 15.04.22.
6198 캐나다 애보츠포드, 은행 직원 실수 개인정보 도난 범죄로 둔갑 밴쿠버중앙일.. 15.04.22.
6197 캐나다 22일(수), 91번 고속도로에서 초경량 비행기 비상 착륙 file 밴쿠버중앙일.. 15.04.24.
6196 캐나다 의학용 마리화나, 밴쿠버와 BC주 핫 이슈 떠올라 밴쿠버중앙일.. 1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