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0-퇴직.jpg

 

평균 퇴직 연령은 바뀌지 않았으나 연금액은 소폭 상승했다. 

보건부 '연구평가 통계국(DREES)'은 지난 5월 연례 보고서에서 2016년 현재 퇴직 실태를 밝혔다.  

이에 따른 퇴직에 관하여 알아야 할 10가지 숫자는 다음과 같다.

 

 

- 퇴직자 수 1,610만 명

퇴직자 수가 2016년에 149,000명 증가하여 1,610만 명에 달했다. 미망인 홀아비와 과부에게 지급되는 배우자 연금 수령자를 합하면 1,720만 명이다. 퇴직자 중 110만 명이 외국에 거주한다. 배우자 연금 수령자를 합하면 외국에 거주하는 연금 수령자 수는 160만 명이다.

 

- 퇴직자 1인 평균 순 연금액, 월 1,294유로

각종 분담금 공제 전의 총 연금액은 1,389유로다. 이 연금액은 2015년에 비해 0.9% 인상된 것이다. 연금액이 이처럼 약간 인상된 주 원인은 연금을 보다 적게 받는 인구가 사망하고, 연금을 더 많이 받는 퇴직자 인구로 대체되었기 때문이다. 

 

- 전체 연금 총액은 3,080억 유로

기본 연금과 보충 연금을 합한 연금총액은  3080억 유로로 국내 총생산(PIB)의 13%에 달한다. 그중 2,720억 유로가 ‘직접 권리’라 불리는 직접 연금액이고, 360억 유로는 배우자 연금액이다.

 

- 2016년 평균 퇴직 연령은 61세 8개월

이는 2015년과 같았다. 2010년 퇴직자에 비해 퇴직 연령이 1년 늘었다. 37%는 62세 이전에 퇴직했고, 28%는 62세 이후에 퇴직했다.

 

- '노령 연대수당(ASPA)' 또는 '최소 노령 보충수당(ASV)' 수혜자는 553,000명  

ASPA는 과거에 최소 노령수당이라고 불렸는데 2007년에 ASPA로 변경되었다.  

ASPA의 수혜자는 수당 최고액 (독신인 경우 현재 833,20유로)과 자신의 수입의 차이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는다. ASPA는 퇴직 연금이 거의 없거나 적은 장년층에 지급된다. 2016년에 최저 노령 수당 수혜자의 12%는 아무 연금도 받지 못하고 있었고,  6%는 배우자 연금만 받고 있었다.

 

- 여성 1인 월 평균 연금액은 1,065유로, 남성은 1,739유로 (각종 분담금 공제 전)

여성의 연금액이 남성보다 38,8% 적었다. 여성들의 활동율과 능력이 높아지면서 이 차이는 해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남여 간의 연금액 차이는 2004년에 45.8%, 2015년에 39.2%였다. 

 

- 배우자 연금 수혜자 89%가 여성 

여성이 남성보다 장수하고, 연령도 남편보다 2~3살 적은 것이 배우자 연금에 여성이 많은 이유 중의 하나다.

또 남성의 수입은 흔히 배우자 연금 상한액을 초과하므로 배우자 연금을 받을 수 없는 것도 남성이 적은 하나의 이유다. 배우자 연금이 남녀 간의 연금액 차이를 줄인다. 배우자 연금을 포함하면 여성 1인의 월 총 연금액은 1 322유로로, 남성보다 25% 적다.

 

- 퇴직자 33%, 복수의 기본 연금 받아 

예를 들어 월급 근로자였으면서 독립 기업가였던 경우인데, 남성 퇴직자의 38%가 여러 연금 수혜자이고, 여성은 28%다. 

 

- 장년 50만 명, 고용과 퇴직(연금)을 겸해 

55세 이상의 퇴직자의 3.3%인 463,000명이 2016년에 연금과 직업적 급료를 동시에 받고 있었다. 이 두 가지를 겸하는 사람 10 명 중 4명이 여성이고, 대부분(67%)은 파트타임 근로를 하고 있었다. 1946년에 출생하여 2016년에 70세가 된 사람의 13.8%가 고용과 퇴직을 겸하고 있었다.

 

- 퇴직자의 6.6%가 가난해 

이는 전체 인구의 14,2%가 가난한데 비해 노령층이 덜 가난한 것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2015년에 퇴직자의 6.6%가 빈곤선인 월 1,015유로 이하의 소득을 올렸는데, 이는 인구 전체의 빈곤층 비율(14,2%)보다 낮았음을 의미한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이진명 편집위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2 프랑스 프랑스 대학 입학 예비 등록, 1월20일~3월20일까지 프랑스존 16.02.05.
681 프랑스 제22회 브줄(Vesoul) 국제아시아영화페스티벌 프랑스존 16.02.05.
680 프랑스 펠르랭 장관, 2016년 주요정책과제 발표 프랑스존 16.02.05.
679 프랑스 프랑스 의료비 직불제(Tiers payant), 최종 채택 프랑스존 16.02.05.
678 프랑스 ISPEM, ‘우수학교 FLE 라벨’까지? 프랑스존 16.02.05.
677 프랑스 ISPEM 사건, 범죄의 재구성 프랑스존 16.02.05.
676 프랑스 프랑스, 영화에 이어 드라마 왕국으로 부상하나? 프랑스존 16.02.11.
675 프랑스 프랑스, 파리테러에도 관광대국 1위 지켜 프랑스존 16.02.11.
674 프랑스 이제는 모바일페이 글로벌 시대~!!! 프랑스존 16.02.11.
673 프랑스 퐁피두센터, 안젤름 키퍼 회고전 프랑스존 16.02.11.
672 프랑스 프랑스, 실직 수당 너무 후해 일을 안한다? 프랑스존 16.02.11.
671 프랑스 프랑스 중산층, 미국 중산층보다 훨씬 큰 비중 차지 유로저널 16.02.16.
670 프랑스 화려한 축제, 니스 카니발 프랑스존 16.02.19.
669 프랑스 프랑스인에 비친 한국 40년, Laurent barberon 사진전 프랑스존 16.02.26.
668 프랑스 한 주간 프랑스 주요뉴스 동향 (2016.2.15~2.19) 프랑스존 16.02.26.
667 프랑스 프랑스, 다년(2~4년) 체류증 신설법안 최종가결 프랑스존 16.02.28.
666 프랑스 프랑스의 정당과 선거제도 프랑스존 16.02.28.
665 프랑스 전직 프랑스 대통령에게 드는 비용은? 연간 150~250만 유로 프랑스존 16.03.05.
664 프랑스 르 피가로, “김정은을 두려워해야 하는가?” 프랑스존 16.03.05.
663 프랑스 파리 시내 ~ 공항 간 택시 요금 정액제 (forfait) 시행 프랑스존 16.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