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에 대한 이란의 보복 공격으로 중동 위기가 고조된 가운데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평화를 촉구하고 나섰지만 각국 입장에 따라 비판 대상은 엇갈렸다.

말레이시아는 이란 공습이 이스라엘 공격에 대한 대응이라는 점을 강조했고, 싱가포르는 이란 보복이 사태를 악화시킨다고 비난했다.

15일 베르나마통신과 스트레이츠타임스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외교부는 전날 성명을 통해 "모든 형태의 공격은 무고한 생명의 희생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적대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도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충돌이 즉각 중단되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해결책이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말레이시아는 이 끔찍한 상황에서 계속 고통받고 있는 팔레스타인인들의 편"이라며 "시리아 주재 이란 영사관을 악랄한 이스라엘 정권이 폭격한 것은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이슬람이 국교인 말레이시아는 가자 전쟁과 관련해 이스라엘을 비난하며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지지를 표해왔다.

반면 싱가포르는 중동 위기 고조에 우려를 표하면서도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을 규탄했다.

 

 

싱가포르 외교부는 전날 성명에서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에 대해 "충돌 확대는 긴장을 고조시키고 지역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든다"고 비판했다.

이어 "불안정한 중동 상황과 가자 전쟁이 더 넓은 지역 분쟁으로 확산할 위험이 지속되는 것이 매우 우려스럽다"며 모든 당사국에 최대한 자제력을 발휘하라고 촉구했다.

싱가포르는 지난해 10월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 당시에도 공개적으로 하마스를 비판한 바 있다.

베트남, 태국 등은 중립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팜 투 항 베트남 외교부 대변인은 당사국들이 평화적인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하며 국제법과 유엔 헌장, 유엔 결의안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과 세계 전체 안전과 평화를 위해 긴장을 고조시키는 폭력 행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태국도 전날 중동 상황에 우려를 표하며 상황이 더 악화하지 않도록 당사국들이 자제할 것을 요청했다.

태국은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자국 출신 이주노동자 약 2만8천명의 안전 보장을 위한 조치를 준비 중이다.

필리핀은 이란이 지난 13일 호르무즈 해협에서 이스라엘과 관련됐다면서 나포한 선박에 자국민 선원 4명이 탑승했다며 이들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415079500076

 

 

  • |
  1. 20240416_004310.png (File Size:212.6KB/Download: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2 프랑스 프랑스 EURO 2016 카운트다운 프랑스존 15.12.17.
701 프랑스 파리 16구 빅토르위고 대로에 « 한국인 우대 쇼핑거리 » 탄생 프랑스존 15.12.17.
700 프랑스 파리 아랍세계연구소(Institut de Monde Arabe) 급부상 프랑스존 16.01.16.
699 프랑스 프랑스의 예술가 사회보장제도 : 예술가 등록 프랑스존 16.01.16.
698 프랑스 바겐세일의 계절, 그 유래를 찾아서… 프랑스존 16.01.16.
697 프랑스 외국인의 체류에 관한 법률 개정안, 어디까지 와 있나? 프랑스존 16.01.16.
696 프랑스 프랑스 이민자, 사회융화 어려움 심각 유로저널 16.01.19.
695 프랑스 프랑스 전체 도시 절반이 인구 500명 이하로 드러나 유로저널 16.01.19.
694 프랑스 뼈를 바로 잡아 치료하는 오스테오파티 프랑스존 16.01.22.
693 프랑스 프랑스 정부, 단일 국적자에게도 국적 박탈 고려 중 유로저널 16.01.22.
692 프랑스 프랑스 통계청(INSEE)이 발표한 프랑스 인구는? 프랑스존 16.01.28.
691 프랑스 [주간 프랑스 주요뉴스 동향]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3개월 연장검토” 프랑스존 16.01.28.
690 프랑스 백악의 절벽을 좌우 날개로 달고 출항하는 항구도시 ‘디에프’ 프랑스존 16.01.28.
689 프랑스 프랑스 국가 비상사태 연장, 장기화 조짐 우려 유로저널 16.01.28.
688 프랑스 프랑스의 국가 자치단체 조직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프랑스존 16.01.28.
687 프랑스 커피 대신 시간을 주문하는 안티카페 프랑스존 16.01.28.
686 프랑스 프랑스, 주 35 시간 근무제 수정 전망 유로저널 16.01.30.
685 프랑스 프랑스 정부의 친기업 정책의 상징, 세액 공제(CICE) 폐지 위기  유로저널 16.01.30.
684 프랑스 프랑스, 국가비상사태 연장 반대 시위전국 곳곳에서 열려 유로저널 16.02.04.
683 프랑스 프랑스, 주거복지환경 악화 등  공공보건 문제 심각 유로저널 16.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