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설문조사 등 국민 의견 수렴해 12월 말까지 최종 결정
 

pass.jpg
▲ 한국 차세대 전자여권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한국 차세대 전자여권에 대한 여론이 분분하다. 무엇보다 전자여권의 표지가 기존의 녹색에서 남색으로 바뀐 것에 대한 논란이 주류를 이룬다.

일부 네티즌들은 새 표지 칼러를 두고 ‘북한 여권과 같은 색깔이다’ ‘민주당 색깔이다’ 라는 의견과 함께 ‘예산 낭비다’ 라는 지적도 올렸다.

한국 여권은 1988년부터 형태와 양식이 변화하는 가운데서도 녹색 표지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녹색 여권이 촌스럽고 문화적 맥락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고, 지난 3월에는 녹색 여권을 쓰는 건 이슬람 국가가 대부분이라며 표지를 남색으로 바꿔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등장하기도 했다.

세계 각국 여권 표지 색상은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검은색 등이다. 이중 남색을 포함한 파란색 계열이 대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새 여권은 2007년 여권 디자인 개선 공모전 최우수작(서울대 김수정 교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지난 6월 초 시안을 선보였고, 이후 기존 공모안에 색 보정과 글씨체 보완 등 세부적 과정을 거친 다음 15일 최종안을 내놓았다.

최종안 중 표지 디자인은 2가지로, '대한민국 여권'과 'REPUBLIC OF KOREA PASSPORT' 문구, 정부 문양이 들어가는 위치가 다르다. 표지 이면과 속지에는 페이지마다 우리 전통 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문양이 새겨진다.

신원정보면의 경우 기존의 종이 재질에 사진전사식 인쇄에서 벗어나 폴리카보네이트(PC·플라스틱 일종) 재질에 레이저로 새겨 넣는 방식을 이용, 여권의 보안성을 강화했다.

문체부와 외교부는 자체 누리집과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새 여권을 소개하고, 새 여권 디자인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등을 실시한 뒤 12월 말까지 하나를 선택, 2020년 하반기부터 신규 발급이나 재발급 여권에 사용할 예정이다. 따라서 새 여권 표지 색상도 남색, 진회색, 적색 중 선호도 결과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84 미국 보딩스쿨을 보내는 이유(2) 코리아위클리.. 16.11.12.
583 미국 * 트럼프 韓사드 재검토할까 file 뉴스로_USA 16.11.11.
582 미국 “내려와라 박근혜!” 뉴욕등 美 9개도시 주말 연속시위 file 뉴스로_USA 16.11.10.
581 미국 역대 최고의 코리안 페스티벌 『출정준비 끝!』 KoreaTimesTexas 16.11.10.
580 미국 달라스에 걸린 『박근혜 하야하라』 file KoreaTimesTexas 16.11.10.
579 미국 '암투병' 우병만목사 자선 감동 file 뉴스로_USA 16.11.10.
578 미국 2016 미 대선, 달라스-포트워스의 표심은? file KoreaTimesTexas 16.11.09.
577 미국 뉴욕뉴저지 한인들 美대선 ‘핫라인’ file 뉴스로_USA 16.11.09.
576 미국 클린턴, 오바마부부와 마지막 총력전 file 뉴스로_USA 16.11.08.
575 미국 ‘박근혜 퇴진’ 뉴욕등 대규모집회 file 뉴스로_USA 16.11.08.
574 미국 “비상 범국민회의 결성하라” 美동부민주포럼 성명서 file 뉴스로_USA 16.11.06.
573 미국 韓신진작가 3인 워싱턴서 미디어아트전 성황 file 뉴스로_USA 16.11.06.
572 미국 서머타임 11월 6일 해제 코리아위클리.. 16.11.06.
571 미국 미주 한인들, ‘민주와 평화를 향한 대선 승리 캠페인’ 코리아위클리.. 16.11.06.
570 미국 평통 마이애미협의회 ‘2016 마이애미 청년컨퍼런스’ 코리아위클리.. 16.11.06.
569 미국 올랜도 주은혜교회, ‘주민과 함께’ 한국축제 개최 코리아위클리.. 16.11.06.
568 미국 보딩스쿨을 보내는 이유(1) 코리아위클리.. 16.11.06.
567 미국 워싱턴한인들 美정치인 낙선운동 눈길 file 뉴스로_USA 16.11.05.
566 미국 美 도서관서 창작국악밴드 공연 file 뉴스로_USA 16.11.04.
565 미국 재외동포 장학생 177명, 모국 역사문화 체험 file 뉴스로_USA 16.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