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크아웃 서비스로 영업 지속... 샐러드 뷔페 '스윗 토마토스' 전면 폐업
 
sweet.jpg
▲ 코로나19 사태로 휴면기에 잠겼던 식당들이 서서히 기지개를 펴고 있는 가운데, 한인들에게도 인기있는 '스윗 토마토스' 뷔페 식당이 전면 폐업에 나섰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코로나19 사태로 휴면기에 잠겼던 식당들이 서서히 기지개를 펴고 있다. 플로리다 각지 한식당들도 현재 대부분 문을 열고 손님을 맞고 있다.

그동안 올랜도와 탬파지역의 한식당들은 주정부의 셧다운 명령으로 실내영업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완전 휴업에 들어간 두 세개 식당을 제외하고는 모든 식당이 테이크아웃 서비스로 부분적인 운영을 지속했다.

식당들의 테이크아웃 서비스는 보통 전화나 워크인으로 주문을 받은 뒤 음식을 카운터에서 건네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또 탬파 다운타운 인근의 한 한식당의 경우 전화 문자를 사용해 고객을 실내에 들이지 않고 차에서 머물게 한 다음 준비된 음식을 직원이 직접 나와 건네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했다.

주정부의 영업재개 허가가 시작된 지 사흘째인 6일 올랜도 동부에 위치한 한식당에는 한 여성고객이 그동안 서빙 음식이 그리웠다는 듯이 문을 열자 마자 들어와 자리에 앉은 뒤 음식을 주문했다. 식당측은 "테이크아웃 손님이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에 그동안 직원들 없이 버텨낼 수 있었다"며 영업 재개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미국내 식당업이 실내 수용인원 제한, 고객 거리두기 등 일정 규제속에서도 정상 복귀를 향해 움직이고 있는 가운데, 일부 식당은 끝내 회생을 하지 못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일례로 한인들에게도 인기있는 샐러드 뷔페식당 체인인 '스윗 토마토스(Sweet Tomatoes)'는 미국내 97개 매장을 모두 폐쇄한다. 이들 매장은 그동안 영업을 중단해왔으나, 코로나19로 바뀐 영업환경으로 인해 폐업을 결정한다는 발표를 7일 내놓았다. 연방 식품의약국(FDA)은 부페 식당이 공공보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은 바 있다.

1978년 샌디에이고에서 출발한 스윗 토마토스는 플로리다에 1990년에 팜하버 지역에 지점을 열었고 코로나19 전까지 중앙플로리다에만 다섯개 체인점을 두고 있었다.
  • |
  1. sweet.jpg (File Size:32.1KB/Download:4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4 미국 정승진씨 뉴욕주 1호 아시안 상원의원 재도전 file 뉴스로_USA 16.03.30.
223 미국 뉴욕특파원이 유엔대표부 직원? 현역기자 13명 위장 의보가입 file 뉴스로_USA 16.03.30.
222 미국 백악관 ‘부활절 달걀’ 아시안 디자이너 작품 file 뉴스로_USA 16.03.28.
221 미국 43년 만에 북에서 되돌아온 '교복사진' file 코리아위클리.. 16.03.28.
220 미국 '세기의 대결' 이세돌 맨해튼 광고 시선집중 file 뉴스로_USA 16.03.24.
219 미국 대학에서 글쓰기 기술을 습득하세요 코리아위클리.. 16.03.24.
218 미국 총선투표 4월1일 올랜도 우성식품 코리아위클리.. 16.03.24.
217 미국 재미과기협 주최 수학경시대회 열린다 코리아위클리.. 16.03.24.
216 미국 재외선거 일주일 앞으로 … “투표합시다” file KoreaTimesTexas 16.03.24.
215 미국 장호준목사 여권반납 조치, 재외동포 반발 성명서 [1] file 뉴스로_USA 16.03.21.
214 미국 에드먼턴 여성회, 민주평통 에드먼턴 지회 도움으로 "탈북여성 2명 구출"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0.
213 미국 유엔안보리 '북미사일 규탄' 긴급성명 채택 file 뉴스로_USA 16.03.19.
212 미국 '젊은피' 평통위원들, "한국인인 것이 자랑스럽다" 코리아위클리.. 16.03.18.
211 미국 대학에서 직업 윤리를 습득하세요 코리아위클리.. 16.03.18.
210 미국 뉴욕총영사 ‘갑질논란’ 파문 확산 file 뉴스로_USA 16.03.17.
209 미국 말썽 일으킨 신참 연구원, 신약 개발의 '보물' 되었네 코리아위클리.. 16.03.17.
208 미국 미주전법 큰스님 법안대종사 추모재 file 뉴스로_USA 16.03.16.
207 미국 한인청소년들 ‘이노비’ 후원 콘서트 file 뉴스로_USA 16.03.16.
206 미국 13세 한인소녀화가 미공립도서관 개인전 화제 file 뉴스로_USA 16.03.13.
205 미국 대학에서 대화 기술을 습득하세요 file 코리아위클리.. 16.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