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환경운동가 백영현회장 '라일락공원' 등 특별전

 

뉴욕=민지영기자 newsroh@gmail.com

 

 

DSC_0657.jpg

 

 

"미스김라일락이 모국 한국과 미국을 잇는 우정의 나무가 되기를 바랍니다."

 

미국의 환경운동가가 미스김라일락을 70년만에 모국에 보내는 귀향(歸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1492그린클럽의 백영현 회장이 21일 뉴저지 테너플라이의 KCC 동포회관에서 미스김라일락에 관한 특별한 전시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5월25일부터 6월10일까지 열리는 이 전시의 제목은 '70년만의 귀향! 미스김라일락'이다. 미스김라일락은 1948년 미국의 식물학자 엘윈 미더가 북한산에서 수수꽃다리 열매를 무단 채취(採取)해 미국에 가져간 후 품종개량을 통해 만들어냈다. 미스김라일락이라는 이름은 서울에서 연구를 돕던 한국인 타이피스트의 성을 딴 것이다.

 

기존의 라일락보다 작으면서도 진보라색의 꽃봉오리가 만개시 하얀색으로 바뀌며 매혹적인 향기를 뿜어 라일락으로 가장 인기있는 품종이다. 아이로니컬하게도 1970년대부터 고향인 한국에서 비싼 로열티를 물고 역수입하는 나무이기도 하다.

 

미스김라일락은 자신의 뜻과는 상관없이 미국인 가정에 입양(入養)되는 기구한 삶속에서도 훌륭하게 성장한 입양아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백영현 회장은 "15년전 미스김라일락을 처음 만날 때 우리 민족의 기구한 삶과 너무나 닮았다고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미스김라일락이 품고 있던 애달픈 사연을 알게 되면서 언젠가는 이 나무들을 고향으로 돌려보내야겠다고 생각했다. 모국에 돈을 받고 팔려가는게 아니라 당당하게 금의환향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미스김라일락에 관한 역사와 한국에 기증되는 나무들, 뉴저지 오버펙 파크에 조성되는 라일락 공원 프로젝트가 소개될 예정이다. 백영현 회장은 그간 확보한 미스김라일락 수백주를 한국에 기증하고 그중 한그루를 북한산에 식수(植樹)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미스김라일락이 근 70년만에 고향에 돌아오는 의식인 셈이다.

 

 

미스김라일락2.jpg

 

 

전시에서는 북부 뉴저지 최대 공원인 오버펙 파크의 원대한 구상도 발표된다. 백영현 회장은 지난해부터 뉴저지 버겐카운티 정부와 함께 100만평의 부지에 달하는 오버펙 파크를 센트럴 파크 못지 않은 자연정원으로 만든다는 청사진을 펼쳐왔다. 전시의 부제를 ‘오버펙을 위한 꿈(Dream for Overpeck)’이라고 단 것도 그 때문이다.

 

미스김라일락을 비롯한 세계 10여개국의 다양한 라일락 품종들이 피어나는 라일락공원을 비롯, 소나무와 무궁화, 유채꽃, 연산홍 등 한국산 식물들을 대규모로 조성되는 것이다.

 

백영현 회장은 "사람(Human 人)과 나무(Tree 木)의 한자를 합치면 휴식(Rest 休)을 의미하는 단어가 된다. 자연과의 조화없이 사람은 존재할 수 없다. 미스김라일락을 앞세운 오버펙 파크 프로젝트는 날로 심화되는 지구온난화현상과 탄소수치를 막기 위한 캠페인도 벌이게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미스김라일락이 더 이상 가슴 아픈 과거를 지닌 나무가 아니라 한국과 미국의 아름다운 미래와 우정을 상징하는 나무로 기억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꼬리뉴스>

 

美평화공원 미스김라일락, 한국산소나무 기증식 (2015.10.29.)

환경평화운동가 백영현회장 페어론 평화공원 5주년행사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4631

 

  • |
  1. DSC_0657.jpg (File Size:188.8KB/Download:28)
  2. 미스김라일락2.jpg (File Size:132.7KB/Download:3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4 미국 플로리다주 재외동포 5만2천여명, 시민권자 과반 훨씬 웃돌아 file 코리아위클리.. 19.10.14.
323 미국 제4회 한인 차세대 리더십 간담회 성황리에 마쳐 코리아위클리.. 19.10.14.
322 미국 제3회 주니어 리더십 컨퍼런스, 올해 더욱 빛났다 코리아위클리.. 19.10.14.
321 미국 미주독립운동의 요람 ‘흥사단’ file 뉴스로_USA 19.10.19.
320 미국 메트로시티은행, 나스닥 상장으로 '새로운 장' 열어 코리아위클리.. 19.10.22.
319 미국 ‘제18차 세계한상대회’ 22일 개막 코리아위클리.. 19.10.29.
318 미국 "기소중지 재외국민 자수하여 살 길 찾자" 코리아위클리.. 19.10.29.
317 미국 애틀랜타총영사관 재외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코리아위클리.. 19.10.29.
316 미국 올랜도 한국축제 올해 4회째 개최 코리아위클리.. 19.10.29.
315 미국 올랜도한인회, 10월 행사로 올해 무료 서비스 마무리 코리아위클리.. 19.10.29.
314 미국 애틀랜타 한인밀집지역 호텔 투숙 조심해야 코리아위클리.. 19.10.29.
313 미국 북한 16개 예배당 등 처소교회 500여개 존재 코리아위클리.. 19.10.29.
312 미국 뉴욕서 코리아평화 국제대행진 뉴스로_USA 19.11.01.
311 미국 ‘더 튠’ 워싱턴 가든콘서트 file 뉴스로_USA 19.11.03.
310 미국 뉴욕 이윤주 ‘모바일 디자이너’ 화제 file 뉴스로_USA 19.11.03.
309 미국 “소녀상철거? 일본, 망상에서 깨어나라” file 뉴스로_USA 19.11.06.
308 미국 박민성 후보, 올랜도 한인회장 당선 코리아위클리.. 19.11.06.
307 미국 플로리다낚시회 그루퍼 토너먼트 '대성황’ 코리아위클리.. 19.11.15.
306 미국 '거친 음식' 건강 요리 익히고 꽃꽂이도 배우고 코리아위클리.. 19.11.15.
305 미국 잭슨빌-창원, '35년 자매결연' 맞아 성대한 행사 코리아위클리.. 19.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