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생활 이야기] 난 태극기를 들었을까. 촛불을 들었을까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송석춘(독자) = 지난 주말 낮 최고 기온이 섭씨 30도가 될 것이라는 일기 예보가 있어 나는 오후에 집뜰에 나가 나무들을 관리했다. 과연 햇빛은 강렬했다.

나는 과실나무 밑에 심어 놓은 3포기의 고추나무 밑 가지를 쳐주고 잡풀을 제거해 주었다. 세 포기만 잘 키우면 두 늙은이 풋고추는 마음껏 먹을 수 있다.

눈을 들어 보니 감나무와 대추나무에도 어느덧 잎이 솟았고 아보카도 나무에는 수많은 콩알 만한 사이즈의 열매가 맺혔다. 그동안 단내 나는 꽃향기를 선사했던 오렌지나무에는 꽃이 지고 열매가 맺힌 것이 보였다. 나는 이런 땅에서 산 지가 내 80평생에서 반이 훌쩍 넘었다.

나무에서 난 과실들은 동네사람들과 나누기도 한다. 그러나 이웃으로 15년 넘게 산 백인 부부에게는 우리집 과일을 돌리지 않는다. 할멈은 자신이 직장생활 할 때 너무나 잘난 척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웃집 부부가 바로 그런 사람이라고 한다.

잘난 척 하는 사람을 싫어하는 할멈인지라 새로 들어선 '잘난' 트럼프 정부에도 관심이 가는가 보다. 오늘 아침 산책길에 새 정부의 복지 정책에는 사람들이 불만이 없느냐고 묻더니 미국은 여전히 가난한 사람들을 보조해 수 있는 나라가 아닌가 하고 자문한다.

나는 할멈이 왜 이런 질문을 하는지 짐작할 수 있다. 미국에 이민와서 초기에 최저임금으로 일곱식구가 아둥바둥 살면서 너무나 고생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어려웠으면 정부의 보조나 더 나아가 아이들 무료 점심까지 신청을 할 수 있었을 텐데 나름 자존심때문이었는지 나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할멈의 고생이 클 수 밖에 없었다. 그래도 지금까지 살아온 것은 미국이 그럴 만한 나라인 탓이다. 우리가 땀흘려 노력한 만큼 열매를 따 먹을 수 있는 그런 나라 말이다.

뒷뜰에 심은 과실수들을 가꾸고 열매 맺히는 것을 평화롭게 바랄 볼 수 있는 땅에서 살다보니 본국의 상황이 절로 떠오른다. 이곳에서 땀의 열매를 흡족하게 먹고 있는 나에게는 태극기 집회와 촛불 집회 따위가 딴 세상의 일이 될 수도 있다. 미국인들이 말하기 좋아 하는 '잇츠 낫 유어 비즈니스'(너가 상관할 일이 아니다)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땅이 어떤 땅인가. "젊은 시절에 정비공으로 태평양을 건너왔지만 내 그림자는 아직도 대한민국 땅에 드리워져 있습니다. 결코 떼어낼 수도 자를 수도 없는 나에게 있어 대한민국은 나의 그림자입니다" 라고 나의 자서전 격인 '기름때 묻은 원숭이의 미국 이야기' 에 적은 것 처럼 한국은 나의 고국이다. 지금도 할멈은 미국 텔레비전에서 한국에 관한 뉴스만 나오면 '빨리 오라'고 고함을 친다.

내가 고국을 떠난 것은 '누이좋고 매부좋은' 식으로는 도저히 살지 못했던 유별난 결벽증탓이었다. 내 평생에 수고하지 않고 남의 것을 받아 먹은 것은 삶은 감자 두개 달걀 한개이다.

전라도 어느 산골에서 최일선에 있는 자식을 면회간다는 어느 노부부는 내가 군대생활하면서 야간대학에 간다고 하자, 기차안에서 내 손을 잡고 자기 자식 까막눈만 면하고 제대시켜 달라고 부탁하며 감자와 달걀을 손에 쥐어주었다. 그들은 군인이면 다 같은 부대에서 근무하는 줄 알고 그같은 청탁(?)을 한 것이었다.

어쨋든 고국을 떠나 이곳에 있지만 만약 내가 한국에서 살고 있다면 나는 태극기를 들었을까, 촛불을 들었을까. 아마도 나는 태극기도 들고 촛불도 들지 않았을까. 나도 살면서 분노가 오르는 순간들이 있었지만 평생 데모 한 번 못해보고 저 세상으로 갈 것 같다.

  • |
  1. song.jpg (File Size:32.0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84 미국 더불어 민주당 이종걸 의원과 함께한 동포 간담회 뉴스코리아 18.04.01.
883 미국 '가요대스타' 양수경 팬 사인회 성황리에 종료 뉴스코리아 18.04.01.
882 미국 KAPN, 칼리지 멘토링 1기 수료생 배출 KoreaTimesTexas 18.04.02.
881 미국 영주권·시민권 처리속도? 웹사이트에서 확인! KoreaTimesTexas 18.04.02.
880 미국 양수경 사인회 당첨자, “국악보급에 써 주세요” 항공권 기증 KoreaTimesTexas 18.04.02.
879 미국 뉴욕 가라데도장서 ‘다케시마’ 홍보 file 뉴스로_USA 18.04.02.
878 미국 달라스에 펼쳐진 ‘국악 성찬’ … 한인들 “엄지 척” KoreaTimesTexas 18.04.03.
877 미국 우리 소리와 춤의 향연, 달라스 한인 사회의 심금을 울리다 뉴스코리아 18.04.04.
876 미국 한미 연합회 DFW지부, 한인 사회 발전을 위한 행사 개최 뉴스코리아 18.04.09.
875 미국 “달라스 이민사 한눈에 보여줄 이민사 박물관 연다” 뉴스코리아 18.04.09.
874 미국 2020 인구 조사 시민권자 여부 기입해야 … “그 여파는?” 뉴스코리아 18.04.09.
873 미국 제1차 미주한상대회 달라스서 21일(토)부터 개최 뉴스코리아 18.04.09.
872 미국 “달라스 여성들의 문화 공간이자 봉사의 계기 되길” 뉴스코리아 18.04.09.
871 미국 추신수·오승환 시즌 첫 만남 … 추신수 승리 뉴스코리아 18.04.09.
870 미국 중남부연합회, 17대 신임회장 당선 공고 “보류” 뉴스코리아 18.04.09.
869 미국 LA서 안점순할머니 추모제 file 뉴스로_USA 18.04.09.
868 미국 ‘뉴욕아리랑’ 워크샵 file 뉴스로_USA 18.04.09.
867 미국 아시안계 변호사들의 멘토 잠들다 file 뉴스앤포스트 18.04.10.
866 미국 억하심정에 산삼 훔쳤다가 쇠고랑 file 뉴스앤포스트 18.04.10.
865 미국 美포트리기림비 모금운동 박차 뉴스로_USA 18.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