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주한미포럼 등 한중커뮤니티 열어

 

뉴스로=민병옥기자 nychrisnj@yahoo.com

 

 

중국과 대만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추모제(追慕祭)가 캘리포니아 글렌데일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열렸다.

 

가주한미포럼이 20일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중국의 첸야벤(陈亚扁) 할머니와 천롄화(陳蓮花) 할머니 추모제를 거행했다. 이날 추모제엔 한국과 중국계 커뮤니티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불교와 기독교식 추모의식이 차례로 진행됐다.

 

 

중국대만할머니 추모2.jpg

 

 

가주한미포럼의 김현정 사무국장은 “두분 할머니는 각기 대만과 중국에서 일본의 야만적인 범죄를 증언하고 이들의 죄악을 폭로하는 활동을 하신 분들”이라며 “지난해 이용수 할머니와 함께 중국과 대만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했을 때 직접 뵙고 손 잡아드렸던 할머님들이셨기에 더욱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김현정 사무국장은 “우리 할머니들 뿐 아니라 중국 할머니, 대만 할머니, 필리핀 할머니, 인도네시아 할머니들이 겪으셨던 끔찍한 일을 기억하고 방지하는 것이 바로 우리 딸들과 손녀들을 위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현정 국장은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의 아베총리와의 통화에서 2015년 말 밀실협상을 통해 이루어졌던 한일 합의 파기 내지는 재협상을 시사했다”면서 “이번에는 절대 한일간 양자협상으로 끝내서는 안된다. 위안부 문제는 10여개국 수십만명의 여성들이 피해를 당한 반인륜 전쟁범죄이며 세계여성인권문제인만큼 모든 피해국 피해자들이 해결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052017 중국대만할머니 추모1.jpg

Grandma Chen Yabien from China(left) and Grandma Chen Lienhua from Taiwan (right)

 

Chen Yabien 陈亚扁

1927 – 2017 (May 11, 2017)

 

Grandma Chen was one of the original litigants against Japan in the lawsuit for justice for the CW. After her death there is only one Chinese CW survivor litigant left. The total number of known CW survivors in china is now less than 20.

 

Professor Su Zhiliang who researched the Chinese CW issue and founded the CW Museum in Nanjing and Shanghai helped coordinate her funeral according to her minority tradition.

 

Chen Lien-hua 陳蓮花

1924 - 2017 (April 20, 2017)

 

Chen Lien-hua (陳蓮花), one of three known surviving former “comfort women” in Taiwan, died of intestinal infection on Thursday (Apr 20, 2017) at the age of 93, said the Taipei Women’s Rescue Foundation, a group that advocates for the rights of former World War II comfort women.

 

Born in Taiwan in 1924, Chen was given up for adoption and from a young age worked at a factory. When she was 19, a Japanese person came to the factory under the guise of recruiting “caregivers” and took more than 20 women, including Chen, by boat to the Philippines.

 

After arriving in the Philippines she and the other women were forced into “sexual slavery” for Japanese soldiers. After nearly two years in the Philippines, she was one of only two of the more than 20 Taiwanese women taken as comfort women who returned to Taiwan alive, the foundation said.

 

Chen married a Taiwanese man she met in the Philippines, who was a Japanese Imperial Army soldier.

 

Chen was initially reluctant to tell people her story for fear of being shamed, but later she agreed to help the foundation and others raise awareness about this often overlooked period in history.

 

She said she was touched by the care and support shown to her by social workers and others working for redress and fighting for justice for the women.

 

Chen often attended public activities to tell her story and criticize the then-Japanese military’s inhumane treatment and urge the Japanese government to apologize.

 

In December last year she attende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Ama Museum.

 

“Seeing all of you with so much love in your heart, taking care of Amas; I am really grateful,” she said at the ceremony.

 

Ama means “grandma” or “elderly woman” in Hoklo (commonly known as Taiwanese).

 

However, as she predicted, Chen did not receive an apology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for her sexual slavery, the foundation said on Friday.

 

She told international media with tears in her eyes: “We are very old. We may be long gone when Japan is happy enough to make compensation.”

 

The last two known Taiwanese surviving former comfort women are Aborigines who live in Hualien County, the foundation said.

 

 

  • |
  1. 052017 중국대만할머니 추모1.jpg (File Size:134.3KB/Download:14)
  2. 중국대만할머니 추모2.jpg (File Size:154.6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24 미국 출장소, DFW 한국학교 협의회 신년회 개최 … 권예순 교장, 차기 회장으로 선출 뉴스코리아 18.02.10.
1023 미국 한인사회 건강관리·교육 책임지는 간호사협회로 뉴스코리아 18.02.10.
1022 미국 뉴욕설날 퍼레이드 뉴스로_USA 18.02.13.
1021 미국 美NJ서 평창기념 올림픽포스터전 file 뉴스로_USA 18.02.13.
1020 미국 포트워스 한국 여성회 “지역사회 성장동력” 다짐 KoreaTimesTexas 18.02.13.
1019 미국 DFW 한국학교협의회, 권예순 신임회장 선출 KoreaTimesTexas 18.02.13.
1018 미국 달라스 국악 대축제, 국보급 국악인 대거 출연 KoreaTimesTexas 18.02.13.
1017 미국 뉴욕서 제6회 오픈포럼 file 뉴스로_USA 18.02.13.
1016 미국 뉴욕 사찰 설날 합동차례 file 뉴스로_USA 18.02.13.
1015 미국 김영준 총영사 ”애틀랜타 무역관 설립 추진” file 뉴스앤포스트 18.02.14.
1014 미국 김일홍 회장, 핸델 연방하원 만났다 file 뉴스앤포스트 18.02.15.
1013 미국 세종솔로이스츠, 설맞이 나눔콘서트 file 뉴스로_USA 18.02.16.
1012 미국 김덕수 사물놀이패 초청 뉴욕, 필라 국악축전 file 뉴스로_USA 18.02.16.
1011 미국 박영남 자서전 ‘흔적과 편린’ 출간 KoreaTimesTexas 18.02.16.
1010 미국 의리의 호남향우회, 화합의 정기총회 KoreaTimesTexas 18.02.16.
1009 미국 달라스여성회-한미은행, 구정맞이 양로원 방문 KoreaTimesTexas 18.02.16.
1008 미국 텍사스 자동차 보험료 1,810달러 … 전국 6위 KoreaTimesTexas 18.02.16.
1007 미국 텍사스, 세금환급액 전미 ‘최고’ KoreaTimesTexas 18.02.16.
1006 미국 워싱턴문화원 신년맞이 작은 음악회 file 뉴스로_USA 18.02.17.
1005 미국 2018년 한인연합체육대회 잭슨빌서 열린다 코리아위클리.. 18.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