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ylGe3W+.jpg

 

 

2000년생 국적포기, 올해 3월 31일 마감

 

놓치면 향후 20년간 병역의무 부과

출생신고 안했어도 국적이탈 신고해야

부모중 한 명만 한국인이어도 해당

 

[i뉴스넷] 최윤주 기자 editor@inewsnet.net

sentence_type.png

 

 

미국에서 태어났으나 출생 당시 부모 국적이 한국이라면 자동으로 한국 국적을 보유하게 된다. 이들 한인 2세 중 남성의 경우 만 18세가 되기 전 국적이탈 신고를 마쳐야만 병역의무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 있다.

 

올해 18세가 되는 2000년생 선천적 복수 국적자 한인 남성의 국적이탈 신고 마감은 올해 3월 31일까지다. 마감일을 넘기면 만 38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까지 국적이탈 신고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앞으로 20년동안 국적이탈할 수 없다는 얘기다.

 

특히 미국 태생이기 때문에 한국에 출생신고 조차 되어 있지 한인 2세 청소년은 출생신고부터 한 후에 국적이탈 신고를 해야 하기 때문에 서둘러야 한다.

2000년 이후에 태어난 18세 미만의 청소년은 재외공관을 이용해 언제든지 국적 이탈 신고가 가능하다.

 

▷국적이탈 신고, 누가 해야 하나?

 

올해 국적 이탈 신청이 마감되는 대상은 2000년 출생자들이다. 200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태어난 선천적 복수 국적 한인 2세 남성들은 생일과 상관없이 3월 31일 이전에 국적이탈 신고를 마쳐야 한다.

 

이 기간동안 국적 이탈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중국적을 갖게 돼 한국내 병역의무 대상자가 된다.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원하지 않는 이중국적으로 인해 사관학교 진학이나 연방공무원 취업 등 공직 진출의 길이 막히는 중대한 장벽에 부딪히게 된다.

 

▷한국에 출생신고를 안했어도 국적이탈 신고를 해야 하나?

 

한국에 출생신고를 하지 않은 한인 2세 시민권자도 예외는 아니다.
미국에서 한국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한인 2세는 혈통중심의 한국 시민권과 속지주의를 채택한 미국 시민권을 동시에 가진 선천적 이중국적자에 해당한다. 부모 중 한 명만 한국 국적자라도 자녀는 이중국적자가 된다.

 

▷ 마감일인 3월 31일 이후에 태어난 2000년생은 시간이 좀 더 있나?

 

만 18세라는 개념 때문에 생일에 맞춰 국적포기를 하면 큰 낭패를 겪기 십상이다. 생일과 관계없이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난 한인 2세 남성 중 한국 국적이탈을 원한다면 무조건 3월 31일까지 국적이탈 신청을 접수해야 한다.

 

▷마감시한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

 

선천적 이중국적을 가진 한인 남성이 국적이탈 신고마감을 제때 하지 못했을 경우, 병역을 마치거나 병무청으로부터 병역면제를 받기 전까지는 만 38세까지 한국 국적을 이탈할 수도 없고 병역의 의무로부터 자유로워질 수도 없다.

 

무엇보다 1년 중 90일 이상 한국에 장기체류할 경우 병역의무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병역의무에 구애받지 않고 한국을 출입국하기 위해서는 24세가 되는 해 1월 1일부터 25세가 되는 해 1월 15일 사이에 재외공관을 통해 ‘국외이주’ 사유로 국외여행 허가를 받으면 37세까지 병역을 연기할 수 있다.

단, 한국에 6개월 이상 체류하거나 취업 등 영리활동을 하게 되면 국외여행 허가가 취소돼 병역 의무가 부과된다.


▷한국 출입국 시 미국 여권을 사용하면 되지 않나?


현행 국적법과 병역법에 따르면 복수국적자는 대한민국 여권으로 출입국해야 한다. 미국에서 태어나 대한민국 여권이 없거나 출생신고가 되지 않아 한국 여권을 발급받지 못했을 경우 1회에 한해 미국 여권으로 입국할 수 있다.

이 경우 90일까지는 무비자로 한국에 있을 수 있지만, 이 보다 오래 체류할 경우 한국에서 출생신고를 한 후 대한민국 여권을 가져야 한다.

▷ 국적이탈, 어떻게 하는 건가?

 

이미 한국에 출생신고가 되어 있다면 신고절차는 간단하다.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영주권 또는 시민권 사본, 신청인의 미국 여권 원본, 출생증명서 원본, 가족관계 증명서, 반송봉투 2통, 컬러사진((3.5cm X 4.5cm) 1매 등만 있다면, 공관에 비치된 국적이탈 신고서 등의 필요서류를 작성한 후 쉽게 국적 이탈 신고를 마무리할 수 있다.

 

문제는 한국에 출생신고가 되어 있지 않은 선천적 복수 국적자. 
대부분의 한인 부모들은 미국에서 자녀를 낳은 후 한국에 출생신고를 하지 않으면 선천적 복수 국적자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는 큰 오산이다. 출생지와 상관없이 한국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면 자녀는 무조건 대한민국 시민권을 갖게 된다. 이런 경우 국적 이탈을 하기 위해서는 출생신고부터 해야 한다.


국적이탈을 위해 출생신고를 해야 하는 모순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법률적으로 이 절차를 밟아야만 이중국적에서 오는 불이익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출생신고를 해야 할 경우 당일로 국적이탈이 될 수 없기 때문에 가급적 빨리 공관을 방문하는 게 좋다.
 

국적 이탈 신청 수수료는 18달러이며 자세한 신고절차와 구비서류는 달라스 출장소 웹사이트(usa-dallas.mof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문의사항은 달라스 출장소 972-701-0180~2로 전화하면 된다.

 

 

Copyright ⓒ i뉴스넷 http://inewsnet.net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44 미국 ‘미주전법 큰별’ 故 성원스님 49재 봉행 file 뉴스로_USA 17.06.25.
1743 미국 포트워스 한국여성회 “미혼모들 돕기 위해 나섰습니다!” 뉴스코리아 17.06.25.
1742 미국 6.25 발발 67주년 달라스 기념식 “전쟁의 아픔은 현재 진행형” KoreaTimesTexas 17.06.25.
1741 미국 한인사회 ‘소녀상 후원’ 계속 이어져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6.
1740 미국 얼마남지 않은 6.25 참전용사들에 경의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6.
1739 미국 “위안부는 매춘부” 日총영사 발언 파장예고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7.
1738 미국 재미과기협 신임회장단 중심 한미학술대회 개최 뉴스코리아 17.06.27.
1737 미국 고려대 뉴욕교우회 골프대회 한 까닭 file 뉴스로_USA 17.06.27.
1736 미국 파행겪은 달라스 노인회, “환골탈태 하겠다” KoreaTimesTexas 17.06.27.
1735 미국 달라스, K-POP으로 ‘들썩’ KoreaTimesTexas 17.06.28.
1734 미국 평화의 소녀상 제막은 한인사회 축제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8.
1733 미국 “소녀상 건립에는 한마음이에요”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8.
1732 미국 “일본 총영사는 사과하라!”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8.
1731 미국 文대통령 28일 방미..장진호전투비 헌화 file 뉴스로_USA 17.06.28.
1730 미국 “여러분이 주인공”…미주체전 공식 마무리 KoreaTimesTexas 17.06.29.
1729 미국 달라스 한인회, ‘한국 알리미’되다! KoreaTimesTexas 17.06.29.
1728 미국 “2세 교육이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9.
1727 미국 제일은행 ’제일IC뱅크’로 이름 변경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9.
1726 미국 강일출 할머니 일행 애틀랜타 도착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9.
1725 미국 美케빈 김 변호사,한인 첫 CUNY 이사 file 뉴스로_USA 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