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이슈 강연, 기고, 국제연대 활동

 

 

Newsroh=민병옥기자 nychrisnj@gmail.com

 

 

해외최초의 위안부 소녀상(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한 가주한미포럼이 조직을 정비하고 더욱 활발한 활동에 나서고 있다.

 

가주한미포럼은 15일 그동안 사무국장을 맡아오던 김현정(Phyllis Kim)씨를 대표로 추대하고, 피해 할머니들의 인권과 명예회복을 위해 다각적인 활동에 매진(邁進)하기로 했다.

 

 

2015년 글렌데일 소녀상 (2).jpg

글렌데일 소녀상 앞에서 이용수할머니와 김현정 가주한미포럼 대표

 

 

위안부 문제 및 활동소개 강연으로 레드랜드 대학교와 캘스테이트 풀러턴, 미주민주참여포럼에서 강연을 가진데 이어, 데일리 고등학교와 산타 클라라 대학교와 UCLA에서도 김현정 대표가 강연 일정을 조율(調律)하고 있다.

 

가주한미포럼은 지난해 10월 23일부터 YTN 라디오 칼럼 방송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지속적으로 환기하고 있으며 할머니 증언기록 프로젝트와 다큐멘터리, 소설 ‘용의 딸들’ 영화제작을 위한 투자자 모집 활동을 벌이고 있다.

 

또 국제연대활동으로는 지난해 12월 15일 동북아역사재단이 주최한 ‘일본군 위안부 연구성과와 과제’ 학술대회에서 미국에서 진행된 지난 10년간의 활동에 대해 발표해 주목을 받았고 오는 3월 7-9일 서울에서 열리는 제15차 아시아연대회의에 김현정 대표가 가주한미포럼과 위안부정의연대 대표로 참석한다.

 

이밖에 미국 등 타도시에서 기림비를 건립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단체가 연락을 주면 언제든지 자료와 조언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김현정 대표는 평창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일본 아베총리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미국, 호주, 독일 및 한국에 세워져 있는 '위안부' 동상을 철거하라고 요구했다는 로이터 보도와 관련, “세계시민들이 '위안부' 문제를 인류보편적인 여성인권문제로 인식하고, 각자 자기 지역에서 중요한 인권문제로 생각하여 세운 기림비를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철거하라고 한 이 요구는, 일본의 전쟁범죄를 은폐 삭제하려는 시도”라고 엄중한 비판을 가했다.

 

김현정 대표는 “글렌데일 등 각국의 시민들과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세운 기림비는 해당국 시민들과 지방정부의 인권수호 의지이자, 표현의 자유인데 이를 외국의 대통령이 철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기본 상식이 결여된 요구가 아닐 수 없다”고 개탄했다.

 

그는 “피해자를 기억하고자 세운 기림비를 가해국 수장이 피해국 대통령에게 철거하라 말라는 언급을 한다는 것 자체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뻔뻔하고 저열한 발상이다. 진정 일본의 국격에 먹칠을 하고 있는 것은 아베총리가 아닐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김현정 대표는 “매년 역사왜곡 로비자금으로 5억달러의 예산을 세워 집행하는 아베정권은 시도때도 없이 소녀상 철거와 역사왜곡을 위해 컨설턴트와 로비회사를 고용해 기회를 노리고 있다”면서 “소녀상과 기림비가 세워진 각 도시에 거주하는 동포분들은 이러한 아베정권의 노림수를 인지하고 시 정부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했다.

 

 

글로벌웹진 www.newsroh.com

 

 

<꼬리뉴스>

 

한국나눔의집 할머니 2월 14일 별세

 

한국 나눔의 집에 기거하던 생존자 할머니가 별세했다는 슬픈 소식이 들려왔다.

 

나눔의집 거주하던 일본군'성노예' 피해 할머니 한 분이 2월14일 아침 6시 40분경 타계했다. 향년 88세. 유가족의 뜻에 따라 장례절차와 신원 등은 모두 비공개로 진행된다.

 

할머니는 16세였던 1945년 일본 오카야마로 연행되어 일본군'성노예' 피해를 당하는 고통을 겪었다. 해방 후 고향으로 돌아왔고, 2012년 10월부터 나눔의 집에서 생활해 왔다.

 

할머니의 별세로 일본군'성노예'피해 생존자는 30명으로 줄었다.

 

나눔의 집은 “할머니의 마지막 가시는 길, 많은 분들께서 마음을 모아 극락왕생을 빌어주시길 바란다”며 할머니의 명복을 빌었다

 

한편, 90세의 연세에도 활발할 활동을 이어가는 이용수 할머니는 추운 날씨에도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 리셉션에 참석, 평화의 올림픽에서까지 "위안부 합의 이행"과 "소녀상 철거"를 주장하며 망발을 일삼고 있는 아베에게 압박을 가했다.

 

 

 

 

 

 

  • |
  1. 2015년 글렌데일 소녀상 (2).jpg (File Size:121.0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64 미국 한민족통일문예제전 작품 공모 코리아위클리.. 17.05.18.
1863 미국 신은미씨, 북한 수재 구호미 들고 방북 코리아위클리.. 17.05.18.
1862 미국 "5·18 민주화운동,온 국민이 기억하는 자랑스러운 역사" file 뉴스코리아 17.05.19.
1861 미국 “한인 2세들과 함께 한 사랑의 경로잔치 한마당” 뉴스코리아 17.05.20.
1860 미국 “학생‧교사, 지난 한 학기도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뉴스코리아 17.05.20.
1859 미국 재외동포 문학상, 5월 31일 마감 file KoreaTimesTexas 17.05.20.
1858 미국 (영상)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 … 뭉클한 감동 KoreaTimesTexas 17.05.20.
1857 미국 “SB4 통과 이후 어스틴 반대집회 열기 뜨겁다” 뉴스코리아 17.05.20.
1856 미국 달라스 총영사관 승격 서명자 '대망의 1만명 돌파!' file 뉴스코리아 17.05.21.
1855 미국 달라스 한국노인회 김건사 신임회장 선출 file 뉴스코리아 17.05.21.
1854 미국 뉴욕한인회 이사진 등 집행부 구성 file 뉴스로_USA 17.05.22.
1853 미국 이노비, 뉴욕호스피스병동 클래식 연주 file 뉴스로_USA 17.05.22.
1852 미국 고태화작가 알재단 현대미술공모전 금상 file 뉴스로_USA 17.05.22.
1851 미국 팰팍 기림비 다시 세워졌지만.. file 뉴스로_USA 17.05.22.
1850 미국 PGA 바이런 넬슨 오픈, 한국계 선수들 '탑 10에 3명 입상' 뉴스코리아 17.05.22.
1849 미국 재미한인지도자대회 워싱턴 개최 file 뉴스로_USA 17.05.23.
1848 미국 美소녀상 앞 中‧대만할머니 추모제 file 뉴스로_USA 17.05.23.
1847 미국 ‘김지영 앙상블 공연’ 워싱턴 성황 개최 file 뉴스로_USA 17.05.23.
1846 미국 김세권 목사, '삶을 흔드는 창세기 읽기' 출판기념회 성료 KoreaTimesTexas 17.05.24.
1845 미국 노인회 파행, 선거로 일단락 … 불씨는 “여전” KoreaTimesTexas 17.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