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박근혜 게이트니 최순실 게이트니 하면서 식물 대통령, 국정마비 사태 속에서도 유난히 일본과 관련된 사안들을 강해 처리하고 있어 진짜 이 나라를 농단하는 숨은 실세들이 누구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생긴다.

 

100만 명 이상이 모여 박근혜에 대한 하야와 탄핵 등을 요구하는 혼란 속에서, 화해치유재단은 지난 16일 생존 위안부 피해자 23명에 현금 지급을 강행했다. 이어 국방부는 지난 23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을 일방적으로 밀어 붙여 서명을 했다. 그리고 교육부는 28일 국정역사교과서를 공개하며 내년 이를 학교에 채택을 강행할 움직을 보인다.

 

최순실 사태로 박근혜 정권이 식물상태에 빠지며 더 이상 정상적인 통치 행위가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다른 어떤 정책보다 국민의 감정을 격앙되게 할, 논란의 소지가 많은데, 무엇인가에 쫓기 듯 밀어 붙인 사안들은 우연하게 모두 일본과 관련된 부분들이다.

 

일본군 위안부, 일본과의 군사정보보호협정. 그리고 현재 정계, 재계, 언론계, 학계 등의 기득권자들의 대부분이 모두 친일 행위와 군사독재 정권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가운데 친일사관으로 대변되는 뉴라이트 학자들이 대거 참여한 국정 역사교과서의 강행까지 모두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일본과 연루된 건들이다.

 

다분히 분란의 소지가 많은 사안들을 지금 최순실 게이트나 박근혜 게이트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박근혜 대통령의 행정부가 더 큰 논란을 자초하면서까지 밀어 붙였을까?

 

결국 이런 사안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의지보다는 다른 이해 당사자들의 필요에 의해 강행 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모든 국민을 좌절하게 만든 박근혜 대통령의 실제 모습은 국민들만 몰랐을 뿐 박근혜 대통령과 최태민, 최순실로 이어지는 비정상적인 관계는 이미 1977년 중앙정보부에서 최태민에 대해 조사를 하면서 국정교과서에서 표시한 당시 군사정권을 받들고 있던 친일 인사나 독재자 친위 세력들은 다 알고 있었던 일이다. 또 1990년 육영재단에서 최태민의 전횡과 그를 비호한 박근혜의 문제 때문에 박지만과 박근령이 당시 노태우 대통령에게 최태민으로부터 박근혜를 구해달라고 탄원을 할 정도였다. 최태민이 박근혜를 업고 전횡을 일삼던 영남대학교 문제 때도 지금 새누리나 족벌 언론사들은 박근혜가 최태민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사실을 다 알고 있었다.

 

한나라당의 전여옥 전의원의 책에서도 박근혜의 말투나 생각이 유아적이라는 사실이 이미 언급됐었다.

 

그러나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를 빼고 문재인 야권 대선 후보에 대한 대항마가  없었던 새누리로 대표되는 기득권 세력은 이미 박근혜-최순실의 문제점을 알고 있지만 국민들은 그런 내막을 모른다는 이유로 박근혜를 대선 후보로 내세울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특히 자신들의 지지기반인 TK와 노년층은 박정희 독재자에 대한 무족건적인 향수로 박근혜가 어떤 인물인지도 모르고 찍어 줄 거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이처럼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 정치의 문제점이 문출 유출 사건 등으로 돌출됐을 때도, 채동욱 검찰총장 사태 때도 외부로 세어나가지 못하게 비호해 온 세력들이 결국 올 여름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의혹을 제기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측근 정치에 대한 경고를 보냈다.

 

하지만 청와대와 새누리 진박 김진태 의원이 대우조선 관련 기사로 조선일보의 송희영 주필을 물러나게 하면서 박근혜-최순실 측근 정실 정치에 대해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막말방송, 저질방송으로 재승인을 받지 못하고 퇴출위기에 몰렸던 일부 종편들이 갑자기 품위 있게 심층취재와 증거자료를 들이대며 박근혜 게이트 관련 특종을 터트리고 있다.

 

반대로 그 동안 대통령 취임 전부터 모든 의사결정을 최순실에게 의존해 왔다던 박근혜 대통령이 갑자기 고도의 전략을 세워 검찰 수사에 대응하고 야당 정치권과 책임 총리를 임명한다 안한다를 놓고 수 싸움을 하는 모습은 최순실이라는 사적 실세에 이끌려 다니던 모습과는 너무나 다른 모습이다.

 

결국 지금 청와대의 위기관리자는 검찰에 구속되거나 사정권에 있는 최순실도, 우병우도, 김기춘도  아닌 보이지 않는 진짜 실세 집단이 농단을 하는 것으로 의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이들이 일본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강행 처리하는 데에서 이들의 발생 근원과 실체를 대충 어림짐작 해 볼 수 있다.

 

표영태 기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1 캐나다 캘거리 한인학교 학습 발표회 가져 CN드림 16.06.28.
400 캐나다 에드먼튼 한국어 학교 종업식 열려 CN드림 16.06.28.
399 캐나다 캐나다 BC주 조개류 및 수산물 페스티벌 그리고 BC 수산물 EXPO file 밴쿠버코리안.. 16.06.30.
398 캐나다 캘거리 택시기사, 운전 중 '묻지마 폭행' 당해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1.
397 캐나다 앨버타, '토네이도' 시즌 맞아 비상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1.
396 캐나다 이기천 총영사, 스티브김 BC주 자유당 후보와 오찬 간담회 가져 밴쿠버중앙일.. 16.07.13.
395 캐나다 제3회 한남챌린지 장학금 수여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16.07.13.
394 캐나다 이민자 자녀, 물놀이 사고율 높아 밴쿠버중앙일.. 16.07.13.
393 캐나다 42대 한인회, 새 집행부 구성 완료 밴쿠버중앙일.. 16.07.13.
392 캐나다 디자인의 이해 및 대학입시 포트폴리오 설명회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391 캐나다 바하의 선율에 젖은 날에는..(어울림 캘거리 통기타 동호회를 찾아서)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390 캐나다 캘거리 아트클럽 Rimbey Rodeo Parade에 참가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389 캐나다 한국과 BC주, 경제 및 문화 교류 확대 밴쿠버중앙일.. 16.07.30.
388 캐나다 밴쿠버한인노인회, 대한노인회 밴쿠버지회로 승인 밴쿠버중앙일.. 16.07.30.
387 캐나다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 헌화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16.07.30.
386 캐나다 레드디어 한글학교, Westerner day 퍼레이드 참가 CN드림 16.08.03.
385 캐나다 홍현민 위클리프 선교사 초청 세미나 열려 CN드림 16.08.03.
384 캐나다 새생명교회 노회창립 및 성찬식 행사 가져 CN드림 16.08.03.
383 캐나다 캘거리 축구대회에 한인 청년들 출전 CN드림 16.08.03.
382 캐나다 밴쿠버이북도민회 '2016 하계 야유회 개최' 밴쿠버중앙일.. 16.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