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몬톤 최대 행사 중에 하나인 헤리티지 페스티벌이 3일 막을 내렸다. 시민의 날(Civic holiday)에 맞춰 매년 8월 첫 주 토, 일, 월 3일 동안 열리는 페스티벌은 올해 8월1일부터 3일까지 윌리엄 홀레락 파크에서 진행되었다.
첫날에는 홀레락 파크 Amphitheatre에서 시민권 수여식이 있었다. 이날 수여식에는 14개국 출신국의 83명이 시민권을 받아 캐나다 시민이 되는 기쁨을 누렸다. 헤리티지 페스티벌에서 시민권 수여식이 열리는 것은 연례행사로 1987년 처음 페스티벌에서 시민권 수여식이 열렸다.
이번 페스티벌에는 62개 파빌리온에서 85개 나라의 문화, 전통, 음식이 소개 되었다. 52번 파빌리온을 배정받은 한국은 조선시대 전통의상, 소품, 헤어스타일을 소개하고 부채춤, 사물놀이, 태권도 등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페스티벌에는 한인단체들과 교회에서 번갈아 가며 자원봉사를 했다.
행사가 진행되는 3일 중 하루는 날씨가 심술을 부리는 페스티벌은 이번에도 행사 첫날 비가 내려 주최측을 애 태웠으나 오후에 접어들며 하늘이 개어 페스티벌 끝나는 날까지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었다.
주최측에 따르면 첫 날에는 사나운 날씨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찾지 않았으나 둘째 날에는 첫날보다 관객들이 약 30% 늘어났다. 3일간 페스티벌을 찾은 사람들은 4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날씨는 Food Bank 기부에도 영향을 미쳤다. 작년에는 기부 목표가5만톤이었으나 목표를 초과하는 5만5천톤의 기부와 51,000달러가 넘는 현금 기부를 받았다. 올해도 5만톤을 목표를 정했는데 일요일 정오까지 2만톤의 기부를 받았다. 그러나 주최측은 목표량 5만톤을 채우기에는 어렵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헤리티지 페스티벌은 Servus가 주 스폰서로 에드몬톤 국제공항, save on food 등 12개 업체가 스폰서를 맡고 있다. (오충근 기자)
  • |
  1. 4.jpg (File Size:66.2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1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시민들 25%, 코로나 규제 지나치게 엄격 - 주수상 코로나 대처 만족도도 51%로 떨어져 CN드림 20.08.26.
700 캐나다 캐나다인 절반, ‘올해는 인생 최악의 해’ - 젊은층은 더 비관적으로 생각 CN드림 20.08.26.
699 캐나다 코비드가 강타한 취약계층 - 유색인종 실업률 백인보다 두배 이상 높아 CN드림 20.08.17.
698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스몰 비즈니스, 줄줄이 문 닫았다. - 경제 전문가들, “자영업, 고난은 지금부터” CN드림 20.08.17.
697 캐나다 캐나다 에드먼튼 마스크 착용 의무화 예외 카드 발급 - “증거 제출 없이 발부, 오용의 여지 있어” 우려 file CN드림 20.08.17.
696 캐나다 넬리 신 캐나다 연방국회의원, 캘거리 방문, 한인사회 주요 인사들과 첫 만남 가져 file CN드림 20.08.17.
695 캐나다 한국전 휴전 기념일 행사 열려 - 캐나다 앨버타 주의사당 광장에서 간략하게 열려 CN드림 20.08.04.
694 캐나다 팬데믹이 낳은 영웅, 힌쇼 박사 - 케니 주수상의 팬데믹 점수는 59% file CN드림 20.05.18.
693 캐나다 온라인 학습 전환으로 학생 건강문제 대두 - 중학생들 신체건강 자신감 낮아 CN드림 20.05.18.
692 캐나다 코비드, 자동차 시장 강타 - 새차 판매 75% 줄어 file CN드림 20.05.18.
691 캐나다 레스토랑들, 좌석 50% 운영으로는 수익성 없어 - 규정 맞추면 유지 힘들어 file CN드림 20.05.18.
690 캐나다 야외 모임 인원 50명으로 늘어나 - 사회적 거리두기 지켜야 file CN드림 20.05.18.
689 캐나다 BC 회사, 한국에서 COVID-19 임상시험 시작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7.
688 캐나다 부모가 집에서 공부하는 자녀를 위해 분위기를 “만화화”하는 방법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7.
687 캐나다 고대 요법, 현대 과학을 만나다 file 밴쿠버코리안.. 20.05.01.
686 캐나다 COVID -19 환자를 대상으로 한/캐나다 임상시험계획 file 밴쿠버코리안.. 20.04.24.
685 캐나다 외국 국적 한인들, 모국 방문시 단기비자 필요 file CN드림 20.04.20.
684 캐나다 식당들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 이어가 file CN드림 20.04.20.
683 캐나다 캘거리 한인여성회 주관 ‘세계 여성의 날’ 행사 열려 CN드림 20.03.17.
682 캐나다 역사적인 캐나다 – 한국 자유무역협정 5 주년 CN드림 2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