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파리 뉴욕 등 세계 10개도시 참여

 

 

Newsroh=황룡 칼럼니스트

 

 

Screen shot 2019-04-19 at 1.25.17 PM.png

 

 

'4.27 민(民)+평화손잡기'가 베를린과 파리, 뉴욕, 나고야,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레바논, 아일랜드, 뉴질랜드, 남아공 등 세계 여러 곳의 동포들이 글로벌 행사로 참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 중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과 북의 영역을 잇는 곳이 있습니다. 뉴욕 함마슐드 광장 UN 남측대표부에서 북측대표부까지 시민들이 손에 손을 잡고 '4.27 민(民)+평화손잡기'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다음에는 한라산에서 백두산까지 한반도를 종으로 남과 북, 북과 남의 민중들이 손에 손을 잡고 잇게 되면 좋겠습니다.

 

남북평화통일을 염원하시는 모든 분께서는 금주 4,27(토) 열일 제처 놓고서 4.27 DMZ 평화통일기원 인간띠잇기 손잡기 릴레이에 모두 남녀노소 가족이 다 함께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발트의 길’

 

인간이 만든 세상에서 가장 긴 인간띠

1989년 8월 23일,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의 600km 인간띠가 만들어졌습니다.

저녁 7시 600㎞가 넘는 길에 참여한 200만명의 사람들은 손을 잡고 15분 동안 ‘자유’를 외쳤습니다.

이렇게 발트 3국은 전쟁이나 충돌 없이 러시아로부터 독립했고, ‘노래하는 혁명’이라 불리우는 ‘발트의 길’ 인간띠는 세계사에 기록되었습니다.

 

 

* 4월 27일! (토)

 

휴전선 500km에 50만명의 인간띠로 분단과, 증오와 반목을 사랑으로 녹여버리고자 합니다.

분단의 상징이 평화와 생명의 공간이 되고,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가 세계평화의 발원지가 되고, 이곳에서 새로운 생명문화가 피어나도록, 손에 손을 잡고 한반도를 꼭 끌어안을 것입니다.

 

고성~인제~양구~화천~철원~연천~파주~고양~김포~강화(평화누리길 500Km)가 하나의 띠가 되어 온 세계에 우리민족의 평화와 통일의 염원을 선포할 것입니다.

 

<전국본부>

DMZ평화인간띠운동본부 http://www.dmzpeacechain.com

참가문의 1855-0427 /02-747-0427

온라인 신청서:https://bit.ly/2CvVfIP

 

 

 

 

 

 

  • |
  1. Screen shot 2019-04-19 at 1.25.17 PM.png (File Size:508.4KB/Download:6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 독일 블루카드 시행 2년, 1만 7,000명 이상 전문인력 독일로 유로저널 14.08.06.
15 독일 대부분 독일 거주 외국인, 독일 국적 취득 원하지 않아 유로저널 14.07.24.
14 독일 외국으로 떠나는 독일 퇴직자들 점점 늘어 유로저널 14.06.25.
13 독일 EU의 미래: 보수와 사회민주주의 그리고 우익 포퓰리즘이 함께 file 유로저널 14.06.06.
12 독일 이민가기 매력적인 국가 독일, OECD국가 중 2위 차지 file 유로저널 14.05.28.
11 독일 EU가 유럽 시민들에게 주는 이득은? 유로저널 14.05.26.
10 독일 독일, 빈번한 의료진 과실로 교통사고 사망자 수 5 배 file 유로저널 14.05.25.
9 독일 증가하는 독일 대학 신입생, 대학 붕괴 경고 file 유로저널 14.05.14.
8 독일 독일, 이민국가로 급부상해 file 유로저널 14.05.10.
7 독일 유럽재판소, „독일어능력 증명 없이 이주 쉬워져야“ file 유로저널 14.05.10.
6 독일 혼자사는 독일 직장인, 수입의 절반은 세금 유로저널 14.04.28.
5 독일 독일 이주가정 자녀, 앞으로 이중국적 허용 file 유로저널 14.04.05.
4 독일 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가, 독일 file 유로저널 14.03.25.
3 독일 OECD, 유로존 사회 분열 경고 file 유로저널 14.03.24.
2 독일 폴란드, 우크라이나 사태로 정치와 경제 모두 불안 유로저널 14.03.20.
1 독일 독일, 2030년에도 전문인력 부족할 것 유로저널 1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