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8-7.jpg

 

주 프랑스 한국문화원(원장 박재범)은 2016년 5월 4일부터 6월 22일까지, 재불 청년작가협회의 33회 정기 전시회인 « Le dessin à dessein » 전을 기획하였다. 

지난해에 이어 « 데생 »을 주제로 열리는 두 번째 전시로, 17명의 청년작가협회 작가들의 데생이란 매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담은 작품들로 꾸며진다. 올해는 특히 « 공동 작업 »이라는 과제와 « 밑그림 »을 뜻하는 데생의 의미를 함께 생각해 보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 작가들을 엮어준 단체의 역할과 그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협업의 다양한 가능성과 비젼을 다루고자 하였다.  

요즘 사회전반에서 대세로 떠오른 협업, « 코워킹 coworking »은 작업을 구성 또는 조직하는 유형의 하나로, 공동 작업 공간을 지칭하는가 하면 교류와 소통을 지향하는 사람들의 네크워크를 뜻하며 예술계에서도 적잖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사실 예술적 협업의 역사는 몇 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만큼 길지만 가까운 과거에서 그 예를 찾아보면 이해가 보다 쉬워진다. 상이한 매체의 결합을 통해 장르의 경계를 해체하고 실험적 예술,  콜라보레이션을 추구한 플럭서스 운동, 적극적 관객 참여를 작품의 일부로 끌어온 키네틱 아트, 영화나 게임 또는 다양한 전문 영역이 융합된 패턴을 응용한 새로운 협력 모델들이 그렇다. 듀오 또는 그룹으로 작업하는 이들의 출현은 대개 예술계에서 작가의 절대적 입지와 역할에 대한 담론의 거부와 맞물리기도 하였고, 완전히 다른 또 하나의 레지스터에서는 정치, 경제 또는 사회적 목적의식이 예술적 액티비즘, 행동주의에 편입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공동 작업에서 최종 목표와는 별개로 진행 과정에서의 대화와 의견교환 그리고 여기에 할애하는 시간은 작업의 방향과 성격을 좌우하며, 어디에 의미를 두느냐의 문제가 있지만, 작업 성패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정지나와 조주원, 최윤희, 한요한이 참여한 « Psychobjetgraphie »는 이런 작가들 간의 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이들의 대화는 엽서나, 데생, 소품 등 일련의 « 오브제 »를 통해 릴레이식으로 이루어지며, 순차적 도표 모양으로 벽면에 배치된다. 김희연과 백승수, 이지선이 참여한 « L’arbre noir » 또한 각기 다르지만 작업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찾고자 하였는데, 서로 다른 매체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이들이 함께 만들어낸 일종의 무의식 세계로 안내한다. 

« La Q.U.B.E. » (La Question Basique mais Essentielle)나 « Cohabitation » 또는 « 2016 Paris Utopie » 프로젝트는 주어진 주제에 따른 각 작가의 해석을 나란히,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이들간의 공통분모를 찾거나 같음에서 다름을 찾는데 주목하고 있다. « Le dessin à dessein »전은 이렇듯 공동 작업의 진행과정, 프로세스 자체에서 제기되는 각종 문제적 측면을 부각시키는 반면, 여기서 발생하는 결과물은 이차적인 요소로 간주하게 된다. 

데생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보여주는 개별적인 작품들도 만날 수 있는데, 윤귀덕은 그린다는 행위보다 이미지가 각인되는 과정에 대한 관심을 그 소멸과정에서 찾았고, 색과 모티브 등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담아내는 형상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중점을 두는 박지현, 회화에서의 재현 문제를 영상과의 관계에서 관찰하는 션혜영의 영상작품 등이 있다.

이번 전시오프닝에는 몇가지 이벤트가 마련되는데, 한요한 작가의 가벼운 해프닝식 퍼포먼스 «  Stretch Sketch »가 특이할만하다. 이 작품은 데생이 본 작업에 앞서 행해지는 준비 과정이라면, 퍼포머나 무용수에게 스트레칭은 몸을 푸는 워밍업 과정으로 데생 작업과 동일시 된다는 데서 그 의도를 찾을 수 있겠다. 또한 이번 전시 기간동안 청년작가협회 작가들의 영상 프로젝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계획 중이며 문화원 사이트를 통해 일정을 수시로 공고할 예정이다. 

1983년 창설된 청년작가협회는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한국작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매년 정회원 작가들을 중심으로 문화원에서 열리는 정기전과 프랑스 또는 해외에서의 각종 전시 프로젝트를 통해 회원 작가들 간의, 또는 세계각지의 외부 작가들과의 정보 공유와 나눔, 예술적 교류를 지향하고 있다. 올해는 17명의 정회원과 5명의 신입회원으로 구성되어 총 22명의 작가가 활동 중이다.

 

오프닝 / 2016 년 5월 4일 수요일 18 시부터

전시기간 : 2016년 5월 4일 ~ 6월 22일

매주 월요일~금요일 (9시 30분~18시), 매주 목요일은 20시까지, 토요일은 14시~19시

 

주 프랑스 한국문화원

2, avenue d’Iéna, 75116 Paris

Tel. 01 47 20 83 86

www.coree-culture.org

 

백승수, 최윤희, 하유미, 한요한, 홍보라, 정을, 정인수, 조주원, 정지나, 김기주, 김희연, 

이은경, 이지선, 박혜정, 박지현, 션혜영, 윤귀덕

-전시 큐레이터 전상아-

 

【한위클리 편집부】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3 프랑스 한국영화 축제의 장, 제11회 파리한국영화제 프랑스존 16.10.06.
302 프랑스 한불축제의 서막을 알리다 프랑스존 16.10.06.
301 프랑스 한글로 써 내려간 프랑스인들의 한국여행기 프랑스존 16.10.21.
300 프랑스 STX 프랑스의 운명은? 프랑스 정부, 국유화 의향 없다 프랑스존 16.10.21.
299 프랑스 프랑스, 13개 지역권 새 이름 확정 프랑스존 16.10.21.
298 프랑스 일-드-프랑스 나비고(Navigo) 적자, 유류세 인상으로 메운다 프랑스존 16.10.21.
297 프랑스 파리에 마약 중독자들을 위한 슈트 실 개장 프랑스존 16.10.21.
296 프랑스 프랑스 대통령 선거 후보자 경선, 어떻게 하나? 프랑스존 16.10.21.
295 프랑스 대통령께 보내 온 편지, 무엇이 담겨있을까? 프랑스존 16.10.21.
294 프랑스 파리의 낭만을 즐기는 로맨틱라이프 ‘보들레르의 눈’ 프랑스존 16.10.21.
293 프랑스 “파리한국영화제 개막” ‘터널’ 파리에서 전석 매진 프랑스존 16.10.29.
292 프랑스 미래식품보고서, 파리국제식품박람회 프랑스존 16.10.29.
291 프랑스 ‘프랑스-한국, 130년의 교류’ 출간 프랑스존 16.10.29.
290 프랑스 곽수영 개인전, 명멸하는 심상의 투영들 프랑스존 16.10.29.
289 프랑스 지중해 한국문화 전파 선구자, 몽펠리에 꼬레디씨 프랑스존 16.10.29.
288 프랑스 한묵, 파리의 가을 속으로 영면하다 프랑스존 16.11.04.
287 프랑스 프랑스 한인사회의 건강한 여론을 만들겠습니다 프랑스존 16.11.04.
286 프랑스 최순실 게이트 후폭풍, 파리까지 밀려온다 프랑스존 16.11.04.
285 프랑스 최순실 게이트 후폭풍, 파리까지 밀려온다 (III) 프랑스존 16.11.18.
284 프랑스 무너진 정의를 바로 세우자 프랑스존 16.11.18.